- ‘취미활동이라고 할 만한 게 딱히 없다’는 대학생이 많다. 밥도 혼자 먹고 강의도 혼자 들으며 무리의 외곽을 빙빙 도는 학생이 적지 않다. 이들을 지칭하는 ‘아싸(아웃사이더의 줄임말)’라는 용어까지 생겼다. ‘행위’와 ‘관계’로부터의 도피. 고려대 학생들이 대학가의 ‘무취미족’과 ‘아싸족’을 취재했다.
“내세울 취미가 없는 대학생이 많다. 그런데 이력서는 꼭 취미란을 둔다. 이 칸을 비워두면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할 것 같아 적당히 메운다. ‘사람은 취미라고 부를 만한 것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도 일종의 편견이고 차별이다. 이력서에서 취미란을 없애야 한다.”
현실도피형 수면
요즘 20대 대학생 중엔 A씨처럼 특별한 취미 없이 사는 이가 적지 않다. 취미는 ‘즐기기 위해 하는 일’이므로, 취미를 넓게 해석하면 이 세상에 취미가 없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취미는 어떤 육체적·전문적 활동이 수반된, 말 그대로 취미란에 적을 만한 취미다. 예컨대 사진, 서예, 등산, 하이킹, 수영, 클래식 감상 같은 전형적 취미활동을 뜻한다.취재 결과, ‘취미 없음’을 주장하는 대학생들은 매우 소극적인 활동으로 취미를 대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무취미 활동은 대체로 잠, 멍때리기, 대리체험, 취업준비로 유형화할 수 있다.
B씨(21·서강대 국어국문과)에겐 잠자기가 유일한 취미다. “잠을 잘 때는 어떤 잡생각도 들지 않고 힘도 안 들어서 좋다”고 한다. 그는 “평일 내내 학교에서 수업과 과제에 치여 산다. 그러다 보면 주말에는 집 밖에 나가기도 싫다. 주로 잠을 자며 체력을 보충한다”고 했다. 그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보통 오후 1시까지 늘어지게 잔다. 이어 점심을 먹은 뒤 누워서 텔레비전을 보면서 또 잔다. 저녁을 먹고 나서도 텔레비전을 보면서 잔다.
주말에 몰아서 자는 B씨와 달리 C씨(20·이화여대 경영학과)는 평일에 틈틈이 잔다. 할 일이 많이 쌓여 있어도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잠부터 자고 본다는 것이다. C씨는 “일단 자고 일어나면 피로가 풀리기 때문에 의욕이 조금이라도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귀가한 뒤에도 과제가 쌓여 있을 때가 많다”며 “그것들을 물끄러미 보면서 그냥 잔다. 일종의 현실 도피인 셈이다. 잠 외엔 취미가 없다”고 말했다.
2012년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 대학생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17분으로 한국인 평균 수면 시간 6시간 44분보다 짧았다. 잠을 적게 잔 이유는 과제(31.7%), 공부(19.7%) 등이었다. 이렇게 잠자는 시간이 부족하다 보니, 일부 학생들은 특별한 취미생활 없이 틈만 나면 잠을 청한다.
D씨(25·고려대 경영학부)의 유일한 취미는 ‘멍때리기’다. D씨는 “많은 일을 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접하다 보면 머리가 복잡해진다”며 “그럴 땐 20~30분 동안 멍때린다. 그러고 난 뒤엔 머리가 맑아지고 능률이 오르는 것 같다”고 했다. 평소의 뇌는 기초값과 활성값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지만 과로에 시달리면 뇌가 기초값으로 돌아가지도, 활성화하지도 못한다. 멍때리면 뇌는 기초값을 찾는다고 한다.
“스마트폰 볼 힘도 없다”
E씨(24·부산대 건축학과)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거나 창밖 구경을 하곤 한다”고 말했다. “학과 특성상 밤을 새워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같은 학과의 몇몇 친구도 멍때리는 습관을 갖고 있다. 다들 지쳐 있고 시간을 내 취미활동을 할 형편이 안 된다”고 전했다.멍때리기는 연소증후군(burnout syndrom)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연소 증후군은 한 가지 일에 몰두한 사람이 극도의 피로감으로 인해 무기력증, 자기 혐오, 직무 거부 등에 빠지는 증세다. 그러나 멍때리기는 능동적으로 무기력 상태에 빠진다는 점에서 연소증후군과는 다르다.
서울 월곡동에 사는 직장인 F씨(26)는 강남의 직장까지 통근하는 두 시간 동안 완벽하게 멍때린다고 한다. 그는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뭔가를 볼 힘도 없다. 출퇴근길 두 시간 동안 퀭한 눈으로 우두커니 있는 게 내 유일한 취미인 셈”이라고 말했다.
상당수 대학생은 취미활동도 ‘대리적’으로 즐긴다. 등산이나 낚시 같은 취미활동을 직접 하는 게 아니라, 남이 산을 오르거나 낚싯대를 던져놓고 기다리는 지루한 영상을 하염없이 보면서 대리적으로 즐기는 것이다. 많은 젊은이가 온라인 게임을 취미로 삼고 있지만, 무취미족은 온라인 게임조차 직접 하지 않으며 주로 남이 하는 게임을 관전하는 데 만족한다. 무취미족은 스마트폰, 인터넷, 텔레비전을 십분 활용하는 셈이다.
G씨(22·고려대 교육학과)의 유일한 취미활동은 학교와 학원, 그리고 아르바이트를 오가는 자투리 시간에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다. G씨가 주로 보는 비디오는 BJ(1인 방송인)들의 게임 실황방송이다. G씨는 “직접 게임을 하려면 돈도 들고 시간도 많이 든다. 직접 게임을 하는 것보다 실황방송을 통해 게임 스토리를 즐기고 BJ들의 반응을 보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라고 설명했다.
더 풍부한 회원 전용 기사와 기능을 만나보세요.
아싸로 사는 김모(24·여·고려대 중어중문학과)씨는 학생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한다. 김씨는 “친구들과 식사를 하려면 따로 약속을 잡아야 해 번거롭고 돈도 많이 든다. 혼자 학식(학생식당)에서 먹는 게 편하고 좋다”고 말했다.
아싸는 밥도 혼자 먹을 뿐만 아니라 수업도 혼자 듣는 편이다. 아싸로 사는 최모(22·여·서강대 경제학과)씨는 독강(혼자 듣는 강의)인 수업이 대부분이다. 최씨는 “결석을 하면 (놓친 내용을) 물어볼 사람이 없기 때문에 칼같이 출석한다”며 “필기를 공유할 친구가 없어 수업을 열심히 듣는다”고 말했다.
설문 응답자의 68%는 아싸에 대해 ‘성실한 학생인 것 같다’고 답했다. 문모(23·여·연세대 경영학과)씨는 “주변에 아싸로 사는 친구들이 있다. 대개 학점 관리를 잘하고 자기 일을 열심히 한다는 이미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모(23·경찰대 법학과)씨는 “아싸는 성적에 신경을 많이 쓸 것 같다”고 말했다.
몇몇 아싸는 취업 준비를 위해 자발적으로 아싸가 됐다고 말한다. 이들은 “친구들과 만나느라 공부 일정이 망가지는 게 싫다. 또 친구들과 만나면 내 근황을 말해줘야 하는데 여기에 에너지가 너무 많이 든다. 그렇다 보니 자연히 홀로 남게 됐다”고 털어놨다.
설문 응답자의 73.3%는 아싸에 대해 “이기적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아싸가 학과 행사 같은 단체활동에 잘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인식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이모(21·서울과학기술대 건설시스템공학과)씨는 “아싸는 학교 수업만 듣고 (수업 외) 학교생활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류모(23·여·고려대 교육학과)씨도 “인간관계에 관심이 없는 것 같고 과 행사에 가야 한다는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전화번호 20개만 남아”
이에 대해 아싸들은 “주류가 더 문제”라고 말한다. 아싸로 사는 김모(21·여·인덕대 실내건축학과)씨는 “나는 선천적으로 술을 잘 못 마시는데, 학과 행사는 술자리가 대부분이어서 참가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성모(22·여·서울대 경제학과)씨는 “친구가 별로 없는 사람에겐 학과 모임이 너무 어색하고 불편하다”고 했다. 주모(19·여·고려대 영어영문학과)씨는 “내가 낄 곳도 없고 나를 챙겨주는 사람도 없어 학생들 모임에 별로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일부 학생들은 “학기 초에 자리를 잡지 못하면 이후 내내 무리에 끼지 못하고 겉돌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어울리려고 애쓰느니 차라리 혼자 대학생활을 하자’고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몇몇 아싸는 주류 학생들의 배척으로 인해 아싸가 됐다고 말한다. 이들은 ‘비자발적 아싸’로 불린다. K대에 재학 중인 R씨(28)는 군 복무 후 대학에 입학하는 바람에 동기들보다 나이가 두 살 많다. 이 때문에 동기들이 자신을 불편하게 여겼다고 한다. R씨는 자신이 비자발적 아싸가 된 과정을 이렇게 설명했다.
“어느 날 내가 동기 7명에게 번개를 쳤는데 한 명도 답을 안 했다. 다음 날 이들은 카톡으로 온갖 허무맹랑한 핑계를 늘어놓기 시작했다. 이들이 시험기간 내게 노트 빌려달라고 할 땐 통화가 정말 잘됐다. 동기며, 친구며, 선후배며, 알고 보면 덧없는 존재라는 걸 깨달았다. 꼭 필요다고 여겨지는 전화번호를 빼고 나머지 전화번호들을 내 휴대전화에서 다 지웠다. 가족, 친지를 포함해 20개 번호만 남더라. 이후로 혼밥을 시작했고 아싸로 살게 됐다.”
김동욱 고려대 교수는 “‘아싸’라는 말만 없었을 뿐, 내가 대학생일 때도, 혼자서 자기 할 일만 하던 학생이 더러 있었다”고 회고했다. 정형렬 고려대 교양교육실 주임은 “아싸를 반드시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뚜렷한 주관을 갖고 획일화한 삶을 거부하는 태도로 이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요즘 아싸가 되는 대학생들은 민주화 같은 공공적 가치에 전혀 관심이 없다는 점, 주변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아예 하지 않는다는 점, 철저하게 개인주의로 산다는 점에서 특별해 보이는 게 사실이다.
※ 이 기사는 고려대 미디어학부 ‘미디어 글쓰기’ 수강생들이 작성했습니다.
무취미족 취재 | 구영경(고려대 영어교육과), 김경훈(교육학과), 김태희(경영학부), 주원쓰(미디어학부)
아싸족 취재 | 남훈희(고려대 영어영문학과), 이경은(교육학과), 최해정(미디어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