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으로 긴 단어는 29자의 floccinaucinihilipilification이다. 전문용어가 아닌 일반용어로는 가장 길다. 3자(ism)를 더해 floccinaucinihilipilificationism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단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영국 시인 윌리엄 셴스톤(William Shenstone)이다. 셴스톤은 1741년 한 편지에 ‘I loved him for nothing so much as his flocci-nauci-nihili-pili-fication of money(나는 아무 이유 없이 그를 사랑한다, 그의 돈에 대한 경시까지도)’라고 썼다. 이 단어는 라틴어 복합어다.
♣ flocc : 양털(fleece=a piece of wool)처럼 경시하다(make light of)
nauci : few = almost nothing = trifle
nihil : nothing = something valueless
pili : small hair(작은 머리털)처럼 trifle(하찮은)
fication : doing = making
결국 making light of a few trifles of nothing(하찮은 일을 경시하기), 또는 the act of estimating something as worthless(어떤 것을 무의미하게 여김)이란 의미다.
스코틀랜드 작가 월터 스코트(Sir Walter Scott)는 1826년, nauci를 pauci(소수·소량)로 바꾸어 말했다. I have arrived at a flocci-pauci-nihili-pili-fication of money, and I thank Shenstone for inventing that long word(나는 돈을 경시하는 마음가짐에 도달했다, 그리고 나는 그렇게 긴 단어를 만들어낸 셴스톤에게 감사한다).
미국 상원의원 제세 헬름스(Jesse Helms)는 1999년 CTBT(The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핵실험금지조약)와 관련해 “I note your distress at my floccinaucinihilipilification of the CTBT(내가 CTBT를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점에 대해 귀하가 염려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압니다)”라고 말했다. 이땐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았다.
▼ 하이픈으로 연결한 복합형용사 (Hyphenated Compound Adjective)
하이픈(hyphen)은, 그리스어로 ‘함께’를 뜻한다. 우리말로는 연자(連字)부호라고 하는데, 문자 그대로 글자를 연결하는 고리다. 위의 긴 단어에서 본 것처럼 하이픈은 음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요즘은 신조어 표기 때 혼란을 줄이려고 쓰기도 한다.
◈ Know-It-All(안다니 박사)
know-it-all은 ‘안다니’ ‘안다니 박사’란 의미로 사용되고, know-it-alls는 ‘백과사전’ ‘만물사전’ ‘없는 지식이 없는 사전’이란 의미로 쓰인다. He sticks his nose into everything(그는 사사건건 다 간섭해)! He´s such a know-it-all(그는 되게 아는 체해)!
Wikipedia, the ultimate Web site for know-it-alls, says this: A know-it-all is a person who believes that he or she is extremely knowledgeable, and is determined to demonstrate his or her perceived intelligence at every opportunity. A know-it-all boasts about being an expert on a given subject, although his or her actual knowledge is often (but not always) limited or non-existent.
(모르는 게 없는 최고의 웹사이트, 위키피디아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A know-it-all’(안다니 박사)은 스스로 아는 것이 엄청 많다고 믿는 사람으로, 시도 때도 없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자신만만하게 과시하는 사람이다. 안다니 박사는 흔히(늘 그런 건 아니지만) 아는 게 별로 없거나 전무한데도 주어진 주제에 대해 전문가인 양 떠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