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라이온즈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많은 돈을 쏟아 부음으로써 어느 정도 전력 향상을 이뤘는지는 모르지만 그만큼 적(敵)을 만든 것도 사실이다. 삼성라이온즈 마니아를 제외한 프로야구 팬 대부분은 “어디, 돈으로 우승 할 수 있나 보자”며 2005년 시즌을 벼르고 있다.
돈이 우승 보장하진 않는다
100년 역사의 미국 메이저리그 팬은 좀 심하게 표현하면 26차례나 우승한 뉴욕 양키즈와 비(非)뉴욕 양키즈 팬으로 나뉜다. 뉴욕 양키즈를 제외한 29개 구단은 다들 자신의 프랜차이즈에서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뉴욕 양키즈 팬은 뉴욕뿐만 아니라 전국에 분포해 있다. 거액을 투자해 우승도 여러 번 했고, 그만큼 스타플레이어도 여럿 배출했기 때문이다.
60년 안팎의 일본 프로야구 역사를 봐도 그렇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일본시리즈에 29차례 진출해 20차례나 우승을 차지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응원하는 팬은 다른 11개팀 팬을 합한 수에 필적한다. 그래서 일본 프로야구 팬을 요미우리 자이언츠 팬과 비요미우리 자이언츠 팬으로 나눠야 한다는 말이 나올 만도 하다.
삼성라이온즈가 명문팀으로 도약하기 위해 우승을 많이 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은 맞다. 그리고 좋은 선수들을 데려와 전력을 향상시키는 지름길을 택한 것도 틀리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때와 정도가 있는 법이다. 지금 나라의 시장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태로 빠져들었고, 민속씨름의 LG씨름단이 한 해 20여억원의 운영비가 부담스러워 해체되는 판에 불과 세 선수에게 160억원을 쏟아부은 것은 아무래도 지나쳐 보인다.
그렇다고 돈이 반드시 우승을 보장해 주는 것도 아니다. 단체 스포츠에서 돈의 위력은 삼성라이온즈의 경우처럼 팀 전력 보강을 위해 우수한 선수를 영입하는 데서 발휘된다. 선수단 이동이나 숙박, 훈련비 등 팀 운영에 따른 일반 비용에서는 재력 있는 구단과 없는 구단 간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몸값이 비싸고 우수한 선수가 많아도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한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돈으로는 살 수 없는 다른 전력 요소가 성적에 더 크게 작용한 사례가 많은 것이다. 2004시즌 메이저리그의 뉴욕 양키즈와 2004~2005시즌 스페인 프로축구 프리메라리그의 레알 마드리드, 2003시즌 미국 남자프로농구의 LA레이커스 등이 좋은 예다. 이 팀들은 모두 막대한 자금력으로 세계 최고의 야구, 축구, 농구 선수를 끌어 모았으나 우승에 실패(뉴욕 양키즈, LA레이커스)했거나 시행착오(레알 마드리드)를 겪고 있다.
해태, 19년간 9차례 우승
한국 프로야구 기아타이거즈의 전신인 해태타이거즈는 많은 돈을 투자하지 않고도 우승을 밥 먹듯이 거머쥔, 세계 프로스포츠계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대표적 성공사례다. 해태타이거즈는 전체 선수의 연봉 합계가 프로야구 팀 가운데 중위권이나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그런데도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시즌부터 기아타이거즈로 바뀌기 전인 2000년 시즌까지 19년 동안 무려 9차례나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확률이 50%에 가까웠던 것이다. 이는 뉴욕 양키즈(약 26%)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약 30%)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것이다.
더구나 1986년부터 1989년까지는 정규리그 4연패의 위업을 달성했다. 그리고 앞으로도 영원히 깨지지 않을 불멸의 기록을 세웠는데, 바로 한국시리즈 승률이다. 해태는 9차례 한국시리즈에 진출해서 9번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진출만 놓고 따지면 우승 확률이 100%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