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슈 인물

연구기금 100억 지원받은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장 천명훈

“생명윤리 존중하는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재생의학 대세”

  • 최영철 동아일보 주간동아팀 기자 ftdog@donga.com

연구기금 100억 지원받은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장 천명훈

1/2
  • 배아줄기세포 연구로 국민적 영웅이 된 황우석 서울대 교수에게 천주교 서울대교구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배아(胚芽) 단계에서 줄기세포를 얻는 황 교수의 연구 방식이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반대의사를 개진했던 가톨릭계가 성체(成體)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에 100억원을 쾌척한 것. 천명훈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장을 만나 지원의 의미와 성체줄기세포 연구 계획을 들어봤다.
연구기금 100억 지원받은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장 천명훈
가톨릭계의 이번 ‘거사’는 10월5일 한국 천주교 서울대교구(교구장 정진석 대주교)가 성체줄기세포 연구발전을 위해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단장 천명훈·가톨릭의대 교수)에 100억원이라는 거액을 쾌척하면서 비롯됐다. 이날 서울대교구는 교구차원의 생명운동을 이끌어갈 생명위원회(위원장·염수정 주교)와 성체줄기세포 연구지원사업을 수행할 세포치료사업단 출범식도 함께 열었다. 성체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서울대교구가 쾌척한 100억원은 정부지원이 아닌 사립학교 재단에서 특정연구를 위해 지원한 금액으로는 최고의 액수다.

천주교측은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성공하면 궁극적으로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그 효용성을 잃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천주교측이 성체줄기세포 연구를 생명존중의 가치를 실현하는 척도로 바라보고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위원장인 염수정 주교는 “어림잡아 150만명이 넘는 태아 생명(배아)이 우리의 무관심 속에 죽임을 당하고 있다”며 “더 이상 침묵하거나 소극적 대응만으로 우리의 책무를 다했다고 할 수 없다”고 이번 지원의 의의를 밝혔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생명 파괴

그렇다면 성체줄기세포 연구를 실질적으로 진행하고 지원할 세포치료사업단은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배아줄기세포는 완성된 인간, 즉 성체가 되기 전 수정란(배아) 상태에서 획득하는 까닭에 줄기세포를 얻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생명(배아)에 위협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세포치료사업단의 견해다. 천명훈(千命薰·53) 세포치료사업단장은 “황 교수의 연구는 어쩔 수 없이 인간배아를 파괴해야 하는 측면이 있다. 황 교수측은 난자에 체세포를 이식해 만든 배아의 경우 수정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만큼 생명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이 배아도 자궁에 착상되면 복제양 돌리나 이번에 복제된 스너피와 같이 엄연한 생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의과학자인 세포치료사업단의 연구진은 배아를 생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성체줄기세포는 아기를 낳을 때 나오는 태반에서 추출한 탯줄 혈액이나 골수, 췌담도, 지방 등에서 추출이 가능한 까닭에 생명 파괴와는 무관하다는 게 세포치료사업단의 주장이다.

세포치료사업단은 생명윤리 문제는 논외로 하고, 연구 자체로만 평가하더라도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황 교수의 연구보다 이미 한 발짝 앞서고 있다고 주장한다. 성체줄기세포는 분화기능이 좋고 암을 유발하지 않으며 임상 적용이 용이한 반면, 배아줄기세포는 증식력은 우수하지만 암을 일으킬 수 있고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하기 위해 또 한 번의 복제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 세포치료사업단은 또 인체 이식 후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마저 언제 해결될 수 있을 지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반면 성체줄기세포는 이미 치료단계에 들어가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성체줄기세포로 면역계를 재생해주는 조혈모세포에 대한 연구, 즉 골수이식은 이미 수천건이 넘었으며 말초혈관이 막힌 경우(동맥경화 등) 골수세포를 이용해 혈관을 재생하는 치료법도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중 하나다. 이외에 골질환(특히 무혈성 괴사질환) 치료에도 골수에 있는 성체줄기세포가 이용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의 경우 수정란을 제공할 사람을 찾기 어려운 반면 성체줄기세포는 공여자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성체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제대혈은 이미 여러 생명공학 회사가 각각 몇천 에서 몇만개의 제대혈을 확보하고 있으며, 골수도 자신의 골수세포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세포 공급에 큰 문제가 없다. 골수정보은행에 등록된 사람이 공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어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도 넓다.

1/2
최영철 동아일보 주간동아팀 기자 ftdog@donga.com
목록 닫기

연구기금 100억 지원받은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장 천명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