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몸살림운동가 김철의 ‘스스로 건강법’

만성 소화불량, 퇴행성 관절염

등뼈, 다리뼈 바로잡으면 속 편하고 걷는 게 즐겁다

  • 김 철 몸살림운동가 www.momsalim.or.kr

만성 소화불량, 퇴행성 관절염

1/7
  • 현대의학은 소화불량의 원인을 효소의 부족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을 닳아 없어진 연골에서 찾는다. 체하면 소화제를 먹고 관절염이 심하면 수술을 한다. 하지만 ‘몸살림운동’에서는 그 원인을 등뼈의 이상과 정강이뼈(경골)의 틀어짐에서 찾는다. 만성 소화불량과 퇴행성 관절염, 접질린 발목을 간단한 동작과 운동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만성 소화불량, 퇴행성 관절염

고관절 바로잡는 1번 방석 숙제

요즘 몸살림운동 수련장에서는 ‘신동아’ 독자들의 문의전화로 곧잘 승강이가 벌어지곤 한다. 이 운동의 취지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치료’를 받기 위해 방문하겠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곳은 치료를 하는 곳이 아니라 운동을 통해 스스로 건강해지도록 돕는 수련장이다. 우리는 병원처럼 개별적으로 치료하지 않고 정기수련이나 특별수련을 통해 운동법을 가르치는데, 그 방법은 홈페이지에 공개해놓았다. 필자가 쓴 책이나 몸살림운동 홈페이지 동영상을 보고 스스로 운동해보다가 정 안 되면 그때 수련에 참가해 배우라고 거듭 권한다.

‘스스로 건강법’의 참뜻

만성 소화불량, 퇴행성 관절염
여기에서 ‘스스로 건강법’의 의미를 짚고 넘어가자. 이 말에는 우리 몸은 스스로 나을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약과 수술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 들어 있다. 웬만한 병은 우리 몸의 자연치유력을 살리기만 하면 저절로 물러간다는 얘기다.

사람들은 아프면 반사적으로 무슨 약을 먹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곧 자신은 전문가가 아니라는 생각에 양방이든 한방이든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 약 처방을 받는다. 병의 종류나 정도에 따라 수술을 하기도 한다. 나의 건강을 보장해주는 것은 약과 수술이고, 이런 치료를 통해 건강을 돈으로 살 수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병을 만든 주체도 자신이며, 병에서 벗어나 건강해지는 것도 자신의 몫이라는 게 필자의 근본 생각이다. 자신이 몸을 굽히고 바르지 않은 자세로 살아왔기 때문에 병이 온 것이고, 따라서 자신이 책임을 지고 몸을 바르게 펴야 건강해진다는 주장이다. 몸살림운동에서는 이런 원리를 모르고 ‘치료’만을 목적으로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냉담하다. 이런 분들은 몸살림운동에서 도움을 주어도 아무 소용이 없다. 잠시 좋아지는 것 같지만, 몸을 펴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원상태로 돌아가고 만다.



무엇보다 망가진 몸을 스스로 펴려는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몸살림운동에서 권하는 운동은 모두 틀어진 뼈대가 제자리로 돌아가고, 굳은 근육이 풀리며, 약해진 신경이 트이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병이 침범하지 못하고, 침범한 병도 스스로 물러간다. 필자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이런 원리를 일반에 널리 이해시키기 위함이다.

이번 호에서는 먼저 소화불량에 대해 알아보자. 가령 음식을 먹고 체하든가 소화가 안 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대개는 소화제를 먹거나 손가락을 딴다. 손가락을 따는 행위는 위 신경에 영향을 주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소화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등 구부정하면 소화 안 돼

체했다는 말은 위의 윗부분에 있는 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먹은 음식물을 밑으로 내리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은 판막과 연결된 신경이 약해져 있기 때문. 이 신경은 흉추(가슴 부위의 뼈, 등뼈) 4번에서 뻗어나온 자율신경으로, 판막과 연결되어 있다. 이 뼈가 틀어지면 먼저 주변의 근육이 굳고, 이것이 신경선을 눌러 뇌로부터 위 판막으로 가는 정보의 전달을 막는다. 구부정한 상태에서 음식을 먹으면 체하는 것은 등을 구부리면 흉추 4번이 틀어지기 때문이다.

1/7
김 철 몸살림운동가 www.momsalim.or.kr
목록 닫기

만성 소화불량, 퇴행성 관절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