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망우리 별곡-한국의 碑銘문학 2

도산 안창호와 태허 유상규

“공동묘지 태허 옆에 묻어달라”… 묵살된 도산의 유언

  • 김영식 수필가, 번역가 japanliter@naver.com

도산 안창호와 태허 유상규

1/5
  • 망우리공원 도산 안창호 묘지터 인근에는 애국지사 유상규(劉相奎·1897~1936)의 무덤이 있다. 도산을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상해 임시정부에서 도산의 비서로 일한 유상규를 아는 이는 드물다. 도산의 정신적 아들이기도 했던 그는 경성의전 부속병원의 의사로, 독립운동가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불혹의 나이에 타계한 유상규의 자취를 쫓던 필자는 감춰졌던 도산의 유언, 도산과 그의 관계, 알려지지 않은 고인의 업적을 발굴했다.
도산 안창호와 태허 유상규

망우리공원의 태허 유상규 묘와 도산 안창호의 묘지터(원 안).

망우리공원 관리사무소 앞에 난 오르막길을 50m쯤 걸어가다 보면 순환로가 나오고 그 왼쪽으로 20여 분을 가면 동락천 약수터가 나온다. 약수터에서 물 한 잔 마시고 위를 올려다보면 오른쪽에 애국지사 유상규의 연보비가 서 있다.

“도산의 우정을 그대로 배운 사람이 있었으니 그것은 유상규였다. 유상규는 상해에서 도산을 위해 도산의 아들 모양으로 헌신적으로 힘을 썼다. 그는 귀국해 경성의학전문학교 강사로 외과에 있는 동안 사퇴 후의 모든 시간을 남을 돕기에 바쳤다.”

이 글은 춘원 이광수가 쓴 ‘도산 안창호’에 나온 문장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웬만한 애국지사라면 그의 글이 남아 있을 터. 그렇다면 왜 이 연보비에 후일 친일 문인으로 낙인찍힌 춘원의 글이 실렸을까. 유상규에 대한 기록을 그만큼 찾기 어려웠다는 얘기다. 서울시는 망우리묘지의 공원화 작업 때 흥사단에 의뢰해 고인의 글을 받으려 했으나 여의치 않자 어쩔 수 없이 춘원의 글을 올렸다 한다. 우리가 유상규라는 이름 석 자를 쉬 접하지 못하는 까닭이다.

필자는 고인의 장남 유옹섭(76)씨의 도움으로 그와 관련된 글을 두루 찾을 수 있었다. 사실 그는 생전에 많은 글을 발표했으나 본명 대신 아호를 필명으로 썼기에 후세인은 그 글의 저자가 고인인지 알 수 없었다. 말은 있었지만 말의 주인을 알 수 없었고, 주인은 있었지만 주인의 말은 사라진 셈. 필자가 찾아낸 ‘주인의 말’은 후술하기로 하고 일단 연보비의 뒷면을 소개하면 이렇다.

찾지 못한 말



도산 안창호와 태허 유상규

태허 유상규의 연보비.

“1897 평북 강계군 강계읍 서부동에서 출생,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조직한 임정 조사원 강계지역 책임자로 독립운동 자료조사 및 수집 등 활동, 1920 상해에서 임정요인 안창호 선생의 비서로 활동하며 흥사단 원동지부에 가입, 1925 도산 안창호 선생의 주창으로 조직된 ‘수양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 1927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1931 수양동우회 강령 선전과 발전을 위해 ‘청년개척군’ 조직을 협의하는 등 활동, 1990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연보비 옆길로 20m쯤 올라가면 고인의 묘가 나온다. 비석의 앞면에는 “愛國志士江陵劉公諱相奎(애국지사강릉유공휘상규)/ 配孺人淸州李氏(배유인청주이씨)”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 ‘휘(諱)’는 고인의 이름을 의미하고 ‘유인(孺人)’은 양반이되 벼슬이 없던 사람의 아내에게 붙이는 호칭이다. 후에 다른 이의 묘를 소개할 때 다시 나오겠지만, 숙부인(淑夫人)은 3품 이상의 당상관, 단인(端人)은 정/종 8품 관리의 부인에게 주는 작위다. 비석의 뒷면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1/5
김영식 수필가, 번역가 japanliter@naver.com
목록 닫기

도산 안창호와 태허 유상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