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허만섭 기자의 아규먼트

충무로국제영화제의 몰락과 광화문 한자 현판 걸기

  • 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충무로국제영화제의 몰락과 광화문 한자 현판 걸기

1/3
충무로국제영화제의 몰락과 광화문 한자 현판 걸기

2010년 제4회 충무로국제영화제 포스터. 광화문에 설치되는 한자 현판.

8월9일 오후 서울 중구청 별관 3층의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에선 긴장이나 분주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정초신 조직위 부집행위원장(영화감독)은 “영화제가 코앞으로 다가왔으면 지금쯤 ‘전쟁터’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라며 한숨을 쉰다.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이하 충무로영화제)는 개막일(9월2일)을 한 달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총체적 난국이라고 한다. 이 영화제는 사단법인인 조직위가 대회준비를 맡고 있지만 예산은 서울시와 중구청이 지원하는 구조다. 지난해 3회 대회 땐 60억원이 확보됐지만 올해 4회 대회의 경우 중구의회는 7억원만 승인했다. 그나마 “내년부턴 영화제를 안 하는 조건”(정 감독)이라고 한다. 서울시 예산은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 되어 영화제 조직위 측은 기자회견 예정시간 30분 전 회견을 취소하기도 했다. 일부 서울시의원은 “올해부터 당장 그만두라”는 완강한 태도라고 한다.

서울의 ‘문화주체성’ 위기

게다가 영화제 조직위원장인 박형상 중구청장은 선거법위반 혐의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 김수영 집행위원장(영화감독), 도동환 이사장도 사의를 표명했다고 한다. 영화 ‘몽정기’로 알려진 정 감독이 부집행위원장으로서 대신 이끌어나가야 할 처지인데 그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충무로영화제는 몰락하고 있다”며 연신 담배를 꺼내 문다. “지난해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 4개 스크린에 70편만 상영하고 마무리하려고 해도 현재로선 그럴 여력조차 부족하다”는 거다.

충무로영화제는 한국영화의 메카 ‘충무로’라는 최고의 상징성, 국가규모 재정능력을 가진 서울시의 풍족한 지원, 인구 2000만의 수도권 영화시장이라는 좋은 여건을 갖고 출발했다. 지방의 여타 영화제에 비해 언론으로부터 더 많은 스포트라이트도 받았다. 이 때문에 규모나 인지도 면에서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국내 양대 영화제로 급성장했다. 이런 영화제가 어쩌다가 ‘품위 있는 사망’조차 쉽게 허용되지 않는 망신스러운 지경에까지 몰린 것일까. 일각에선 다소 직설적인 표현이지만 서울의 영화인, 시 당국, 정치인의 자질 부족 때문으로 본다.



한 영화인은 “지난해 제3회 영화제의 집행부가 ‘방만 경영’ 비판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흥행이 저조한 영화를 비싸게 들여오고 홍보비를 과다집행하고 대행사 선정에 잡음을 일으키고 측근을 직원으로 채용해 논란이 일었다고 한다.(내일신문 2009년 9월30일자 보도) 급기야 중구의회는 충무로영화제 조사특위를 만들더니 3회 영화제 사무국을 지난 4월 검찰에 고발했다. 이런 잡음이 예산삭감의 중요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화제의 ‘철학의 빈곤’도 도마에 오른다. 초기엔 고전 명화를 주로 상영하는 것으로 정체성을 잡아나갔지만 회를 거듭하면서 그 성격이 모호해졌다고 한다. 유명 스타들을 영화제에 초청해 대중의 이목을 끌어보려 했지만 지난해의 경우 영화제 개막일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하고 폐막일에 배우 장진영씨가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이마저 여의치 않았다. “쏟아 부은 예산에 비해 볼륨감, 볼거리가 없다”는 이야기가 터져 나왔다. 한 영화제 전문가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충무로영화제와 다른 부분은 ‘아시아 영화의 중심’이라는 확실한 콘셉트로 관객을 끌어들이는 점”이라고 했다.

1/3
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충무로국제영화제의 몰락과 광화문 한자 현판 걸기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