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호

힘겨운 ‘산후풍’ 익모초로 열기·부종 가라앉혀

  • 입력2010-09-02 15:4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힘겨운 ‘산후풍’ 익모초로 열기·부종 가라앉혀
    직접 겪어본 당사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힘든 병이 산후풍이다. 현대의학에선 “검사 결과 아무 이상도 없는데 아프다고 한다”면서 심지어는 신경과에서 진단받으라고 넌지시 권하기도 한다. 나의 지인은 출산 후에 고열이 났는데 이를 낮춘다고 산부인과 병원에서 등에 얼음찜질을 했다고 한다.이후 뼛속을 파고드는 냉기를 이기지 못해 한여름에도 내복을 입고 뜨거운 찜질을 하는 바람에 남편과 각방을 쓰고 있다.

    출산을 바라보는 시각은 현대의학과 한의학 사이에 차이가 있다. 현대의학에서 분만은 아기를 낳는 전체 과정을 일컫는다. 이에 따르면 출산은 세 단계를 거치는데, 수축이 시작되어 자궁목이 확장되는 단계, 아기가 나오는 단계, 태반이 나오는 단계로 기계적으로 구분해 설명한다. 이후 단계인 출산 후 조리과정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언급이 없다.

    이에 비해 한의학에선 산고를 겪고 난 이후의 산모 건강에 더 큰 관심을 갖는다. 출산 후 산모의 몸은 자연에서 비유를 찾는다면 뜨거운 여름과 같다. 태반 속의 태아를 있는 힘껏 밀어내다보니 근육도 늘어나고, 인대도 늘어나고, 심지어 뼈와 관절마저 늘어난다. 출산하면서 골반뼈가 늘어나는 과정을 보면 이런 지적은 더욱 생생하다.

    출산 후 조리과정은 이완된 조직을 본래대로 수축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출산을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소모하고 난 뒤 이완된 조직에 필요한 것은 얼음이나 물이 아니라 소모된 에너지를 다시 보충해주는 것이다. 출산 후 산모의 몸은 퉁퉁 부어 있고 축 늘어져 있다. 예컨대 수건이나 이불에 물기가 있으면 축 내리 처진다. 축 처진 천을 본래대로 수축시키려면 물기를 짜내고 햇볕에 널어 말려서 다리미질을 해야 한다. 출산 후 이완된 몸도 수분을 쫓아내고 열을 가해야 정상 상태로 수축해 근육과 관절이 제자리로 천천히 돌아간다.

    ‘산후풍’이란 몸에 바람이 든다는 표현이다. 무에 바람이 든다는 표현과 비슷하다. 무에 왜 바람이 들까. 김장용 무는 보통 꽃대가 생기지 않으나 꽃대가 올라오면 무에 바람이 든다. 꽃을 피우기 위해 자신의 굵고 튼실한 뿌리에 촘촘히 박힌 영양분을 끌어올린 탓에 조직이 푸석해지고 꺼칠한 섬유질만 남기 때문이다. 산후풍 또한 2세를 출산하기 위해 자신의 내부 혈액과 기운을 많이 소모해 내부의 영양분이 빠져나간 탓에 외부 온도에 저항할 수 없는 상태다. 그러므로 사지 관절에 한기가 들어와 굳어지고 차가워진다는 뜻이다.



    산후풍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물은 익모초(益母草)다. 이름 그대로 부인들, 특히 산모를 위한 약이다. 물가에서 잘 자라며 여름이 되면 시들어간다고 해서 ‘하고초(夏枯草)’라는 별명도 붙었다. 무더운 여름에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고 흙도 타들어 가지만 물은 도리어 충만하다. 인체도 출산을 할 때는 열이 나고 진액을 소모하지만 부기가 생겨 물이 많아진다.

    익모초는 물가에서 자라므로 부종을 내리며, 여름이 되면 수렴하여 시들므로 몸의 열기를 가라앉히고 떠오르는 양기를 수렴한다. 그래서 전통 민속에는 유두(음력 6월6일)에 익모초를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으며, 한여름 더위로 입맛이 없으면 익모초 생즙을 마신다. 당나라 측천무후는 익모초를 갈아서 얼굴에 발라 서늘하게 만들고 촉촉한 윤기를 더하는 특효약으로 사용했다. 아기가 가려운 피부염을 앓을 때도 열을 식히는 익모초를 달여서 그 물로 목욕을 시켰다.

    힘겨운 ‘산후풍’ 익모초로 열기·부종 가라앉혀
    李相坤

    1965년 경북 경주 출생

    現 갑산한의원 원장. 대한한의사협회 외관과학회 이사, 한의학 박사

    前 대구한의대 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

    저서 : ‘콧속에 건강이 보인다’ ‘코 박사의 코 이야기’


    산후풍의 원인은 4가지다. 혈허형은 혈액이 모자라는 경우다. 출산 시나 산후에 출혈이 과다하거나 평소 혈액이 부족한데 출산을 해 경맥, 관절이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해 굳는 것이다. 외감형은 산후 몸이 허약하고 관절이 늘어난 상태에서 감기처럼 차가운 기운을 만나거나 바람을 쐬어서 생긴다. 어혈형은 분만 과정에서 형성된 피 찌꺼기가 몸 안에 축적되어 도랑에 수초가 낀 것처럼 혈류를 방해하는 것이다. 피부가 검푸른색이거나 아랫배가 아프고 오로(惡露)가 그치지 않는 것이다. 신허형은 부신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데다 출산이 인체에 큰 부담을 주어 생긴다. 신(腎)의 경락이 통과하는 허리, 무릎, 발꿈치에 통증이 잘 일어나고 귀에 소리가 나서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

    산후풍은 인체가 느끼는 고통 중에서도 가장 큰 산고를 겪은 뒤에 생기는 질병이다. 꾸준한 관리와 가족의 배려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 된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