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명사 에세이

역사와 교육에 관한 네 가지 단상

  •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역사와 교육에 관한 네 가지 단상

1/2
역사의 파노라마를 다채롭게 엮어내며 한 시대를 이끌고 나가는 힘을 흔히 시대정신(Zeistgeist, Genius Seculi)이라고 한다. 그것을 감지하려고 지식인은 촉각을 곤두세운다. 그런데 난 그전에 역사의 저변을 만들어주는 힘에 더 주목하는 편이다. 그 힘은 출산과 교육이 아닐까?

만약 출산이 끊긴다면, 인류는 생물학적으로 단종(斷種)된다. 그러면 인간의 역사는 더 이상 있을 수 없다. 가임연령의 세대가 아이 낳기를 꺼리는 요즘이 두려운 까닭은, 우리나라의 미래가 없어질지도 모른다는 불길한 예측 때문이다. 아이를 낳는 일은, 그러니 역사를 만드는 일이다. 만약 교육이 없어진다면? 전통은 끊기고, 새로운 세대는 백지장에서 다시 시작해야만 한다.

이제부터 하려는 이야기는 사실 거창한 것이 아니다. 서론이 여러분의 기대를 키웠다면, 좀 민망스럽다. 나의 아이들을 바라보며 느끼는 소박한 네 가지 단상을 소개하려고 하니 말이다.

첫째가 대학 새내기가 됐다. 대학생활을 즐겁게 하니 흐뭇하다. 누구나 다 알겠지만, 그건 저절로 된 것은 아니다. 녀석은 전투를 치르듯이 공부했고, 고행을 하듯이 몸과 마음을 혹사하며 수년을 견뎌냈다. 지긋지긋했을 거다. 그런데 마지막 순간이 정말 힘들었다. 모든 사정을 고려해서 최적의 학교에 지원했다. 합격자 명단에 녀석의 이름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우리는 아낌없이 기뻐하며 축하 기념 여행을 떠났다.

그런데 돌아오던 날 차 안에서 전화 몇 통을 주고받더니, 녀석 표정이 굳어지며 말이 없다. 그리고 갑자기 운다. 뭐니? 이유는 간단했다. 비슷한 수준이라 믿었던 친구가 S대에 합격했다는 것. “축하해야죠. 걘 뭔가 좀 달랐던 것 같아요….” 우리는 말없이 녀석의 울컥거리는 호흡을 느끼고만 있었다. 겨우 꺼낸 말. “너도 잘했어. 비교하지 마. 넌 너고, 걘 걔야. 쿨~하게 잊어.” 완전 뻔한 멘트. 씨알도 안 먹혔다.



그 후, 녀석은 내내 우울했고, 고민했고, 새벽이 될 때까지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이다 지쳐 쓰러졌다. 마침내 꺼낸 말. “아빠, 저 재수하고 싶어요.” “왜?”하고 물었다. “제가 초라해서 못 견디겠어요. 전 정말 잘하고 싶었는데…. 이것밖엔 못했어요. 정말 죄송해요.” 가슴이 아리다. 먹먹하다. 난 녀석이 정말 기특한데. 누가 이 녀석을 울리는가? 얜, 왜 이런 생각을 하나? 열심히 했는데, 왜 죄송할까? “넌 지금 19년밖에 안 살았어. 넌 앞으로 지금껏 살아온 것의 세 배는 더 살 거야.” 밤이 깊어지도록, 며칠 동안 우리는 참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누구랑 싸우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성실하게 살면서 자기만의 삶을 만들어가는 일에 관해. 성적으로, 재산으로, 권력으로 줄 세우고, 누구 위에, 누구 밑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곁에서 함께 살 수 있는 삶에 관해. 그리고 앞으로 아파해야 할 많은 일에 관해 . 누구 말대로, 아프니까 싱싱한 청춘이겠지?

둘째는 동물을 참 좋아한다. 그래서 수의사가 되고 싶었고 이과를 선택했다. 그러나 동물을 좋아하는 취향과 수의사가 되기 위해 해야 할 의무가 삐걱거렸다. 수학, 과학 등의 과목이 녀석을 괴롭혔다. 애를 써도, 수업 시간에 집중도 이해도 안 된단다.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선, 네가 꼭 해야만 하는 것을 이 악물고 해내야 해.” 녀석, 그런 건 자기도 다 안단다. 한동안 공부 안하고 빈둥거렸다. 새벽같이 나가서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 귀에도 안 들어오는 수업을 6~7시간씩 들어야 하니. 왕성한 시기에 좀이 쑤실 법도 하다. 결국 학교 측과 논의 끝에 문과로 옮겼다. 오로지 수학 과학의 짐을 벗기 위해서. 그런데 여전히 공부를 안 한다. “왜 안 하니?” “왜 공부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전 이제 꿈이 없잖아요. 뭘 하며 살아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건 절망이었다. “그럼 나하고 시골 내려가서 개, 닭 키우며 살까?” 괜히 말했나 보다. 버럭, 놀리지 말고 나가시란다. “알았다. 네가 하고 싶을 때 해라. 학교 졸업하고 한 10년쯤 지나고 시작해도 괜찮다. 물론 각오해야 할 일이 적진 않겠지만…. 개, 닭 기르자는 것도 진심이다.”

역사와 교육에 관한 네 가지 단상

동해 여행을 함께 한 김헌 교수 가족.



1/2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목록 닫기

역사와 교육에 관한 네 가지 단상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