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슈 추적

정수장학회 ‘언론사 매각’ 대화록 평지풍파

박근혜 아킬레스건 터져 타격 부산지역에선 플러스 요인

  • 송국건| 영남일보 서울취재본부장 song@yeongnam.com

정수장학회 ‘언론사 매각’ 대화록 평지풍파

1/2
  • ● 정수장학회 ‘강탈’ 의혹, 대선용 ‘꼼수’ 쟁점화
  • ● 최필립 이사장 “MBC는 만났을 뿐, 부산일보는 희망사항”
  • ● 부산 민심 “골칫덩이 해결…절묘한 카드 될 수도”
  • ● “대화 도청 누가 했나” 수사까지 갈 수도
정수장학회 ‘언론사 매각’ 대화록 평지풍파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 지원용 언론사 지분매각을 추진했다는 의혹을 받는 정수장학회와 이사장 최필립 씨.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의 아킬레스건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정수장학회 문제가 마침내 대선 정국의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불길을 댕긴 것은 ‘한겨레’의 10월 13일자 기사 내용이다. 한겨레는 “정수장학회가 MBC 지분 30%와 부산일보 지분 100% 등 갖고 있는 언론사 주식 매각을 비밀리에 추진해온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또 “정수장학회는 수천억 원에 이르는 매각 대금을 활용해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 및 노인층, 난치병 환자 등을 위한 대규모 복지사업을 계획 중인 사실도 드러났다”고 전했다. 10월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도 덧붙였다.

한겨레에 따르면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은 이진숙 MBC 기획홍보본부장과 10월 8일 만난 자리에서 “(10월 19일 발표에는) 정수장학회가 (MBC 지분 30% 매각 대금으로)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반값 등록금’을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겨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부산일보 매각 대금에 대해선 “그 돈은 부산·경남지역 노인정이나 난치병 환자 치료시설에 전액 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10월 15일자 기사에서 최 이사장과 이 본부장, 이상옥 MBC 전략기획부장이 서울 중구 정동 정수장학회 사무실에서 만나 한 시간가량 나눈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10월 8일 정수장학회 비밀회동 대화록’에서 발췌한 것이었다. 기사에 따르면 이 대화록에는 대선을 의식한 발언이 여러 차례 나온다.

선심성 의혹 담긴 대화록

“…그래도 (매각발표 형식의) 그림은 좀 괜찮게 보일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게 굉장히, 말하자면 정치적으로 임팩트가 크기 때문에요.”(이진숙)



“이걸(기자회견) 하게 되면 비꼬는 말이 상당히 나올 거라고.”(최필립)

“네, 맞습니다. 박근혜에게 뭐 도움을….”(이진숙)

“뭐 대선 앞두고 잔꾀 부리는 거라고 해가지고 이야기는 나올 거야.”(최필립)

“이야기 나오겠죠.”(이진숙)

정치권은 발칵 뒤집혔다.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정수장학회가 대선 국면에서 언론사 주식을 팔아 박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선심성 지원을 하려 한다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한 까닭이다. 정수장학회는 박 후보가 10년 동안 이사장을 지낸 장학재단으로, 박정희 대통령 시절 ‘강탈’ 됐다며 야권과 언론·시민사회단체로부터 끊임없이 사회환원 요구를 받아왔다. 이와 관련해 부산일보 노조는 2년 동안 파업을 되풀이하고 있다.

‘노무현-김정일 NLL 비공개 대화록’ 의혹으로 수세에 몰려 있던 민주통합당은 정수장학회 문제를 반전의 카드로 삼았다. 특히 부산 출신으로, 그동안 부산일보 파업사태에 적극 동조했던 문재인 후보는 이번 대선의 격전지로 떠오른 부산·경남 민심을 잡는 호기로 판단해 국정조사와 청문회 실시를 요구하며 박근혜 후보를 압박했다. ‘장물’인 정수장학회를 대선에 이용하겠다는 것이냐고 몰아붙였다.

‘강탈’과 ‘꼼수’ 이슈 될 듯

같은 부산 출신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 측도 공영방송인 MBC의 민영화 등을 아무런 공론화 과정 없이 밀실에서 추진한 점을 비판하면서, 민감한 선거 시기에 장학회 지분을 팔아 특정해서 쓴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가세했다. 새누리당은 “정수장학회와 박 후보는 현재 관계가 없고, 이번 사안 역시 정수장학회와 MBC 사이에 불거진 문제일 뿐”이란 입장이지만 속으론 여론동향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정수장학회 부분은 박 후보의 대선가도에 놓인 여러 지뢰밭 가운데 하나로, 박정희 대통령의 공보비서관을 지낸 최 이사장이 지뢰밭을 밟아버린 만큼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이 즉각 최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진 전원의 사퇴를 요구한 데는 꼬리를 잘라 파문을 단기간에 수습해야 한다는 박 후보 진영의 절박감이 묻어 있다. 그렇다면 최 이사장 스스로 박 후보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린 꼴이 된 이번 파문은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 이사장은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MBC 이진숙 본부장을 만난 것은 맞지만 MBC 측으로부터 브리핑을 들은 것이 전부다. MBC 매각은 장학회에서 결정할 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부산일보 매각에 관련해선 “이사회에서 결정할 문제이며, 현재 재판이 걸려 있어서 (매각은) 꿈같은 희망사항”이라고 일축했다. 또 자신을 겨냥한 퇴진론에 대해 “남의 일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말라. 내가 (장학회에서) 인기가 있는데 누가 나한테 그럴 수 있는가”라며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특히 세 사람만의 대화가 녹취록 형태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 누가 자신을 함정에 집어넣으려고 한 것 같다고 말했다.

1/2
송국건| 영남일보 서울취재본부장 song@yeongnam.com
목록 닫기

정수장학회 ‘언론사 매각’ 대화록 평지풍파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