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기의 라이벌

캐논 vs 니콘

카메라 시장 ‘장군멍군’

  • 신원건 | 동아일보 사진부 기자 laputa@donga.com

캐논 vs 니콘

1/3
캐논 vs 니콘

스포츠 포토라인은 캐논과 니콘의 ‘첨단기술’ 경연장이다. 흰색 망원렌즈는 캐논, 검은색은 니콘이니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겼다!”

2002년 한일월드컵 한국팀의 첫 경기 폴란드전이 열린 부산 아시아드경기장. 당시 캐논 카메라의 국내총판을 맡고 있던 LG상사 지홍민 과장(현 지논코퍼레이션 대표)은 경기가 시작되기도 전에 팀원들을 얼싸안고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월드컵 첫 승을 확신해서가 아니었다. 사진기자들이 밀집한 포토라인에 ‘하얀 대포’들이 대거 포진해 있었기 때문이다.

축구장 포토라인엔 300~500mm 망원렌즈(일명 ‘대포’)를 장착한 카메라를 든 사진기자들이 몰려 있게 마련인데, 어떤 메이커의 촬영장비인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캐논은 렌즈 경통이 흰색이고 니콘은 검은색이다. 그런데 이날은 흰색이 대다수였다. 지 대표는 “2002년 이전 국내 포토라인엔 ‘검은색’이 주류였는데 이날은 ‘흰색’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캐논이 한국 언론시장에서 ‘첫 승’을 거둔 날이었다”고 회고했다.

올림픽, 월드컵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취재하는 사진기자들이 어떤 촬영장비를 들고 있느냐는 캐논과 니콘 마케터들에게 초미의 관심사다. 대형 스포츠 경기는 세계적인 자동차 경주인 포뮬러1(F1)에 견줄 만하다. 자동차 회사들이 F1을 통해 자사의 기술력을 과시하듯, 캐논과 니콘은 올림픽, 월드컵 등을 통해 자사의 첨단기술을 선보여왔다. 언제부터 캐논과 니콘이 올림픽과 월드컵을 점령했을까. 첨단 이미징(Imaging) 기술은 왜 일본이 주도하고 있을까.

양사의 카메라 개발은 1930년대부터 시작됐다. 일본인들은 ‘모방의 천재’답게 독일 카메라들을 따라 만들면서 광학기술과 메커니즘 기술을 축적했다. 이들이 롤 모델로 삼은 메이커는 ‘라이카’와 ‘콘탁스’.



독일 카메라 모방으로 시작

캐논 vs 니콘

‘손으로 들고 찍을 수 있는’ 첫 번째 카메라 ‘Leica UR’. 35mm 필름 카메라의 원형이다.

이름만으로도 여전히 사진가의 로망인 라이카는 손에 쥐고 다닐 수 있는 소형 카메라를 처음 선보인 메이커. 이전엔 카메라가 너무 크고 무거워 마차에 싣고 다니는 경우도 허다했다. 1913년 처음 개발된 라이카는 훗날 35mm 필름 카메라의 원형이 되는데, 1930년대에 이미 1/1000초의 셔터 스피드를 과시했다. 삼각대에 고정시키지 않고 들고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나온 것이다. 이에 질세라 카를 차이스(Carl Zeiss)사도 1932년에 ‘콘탁스’를 내놓는다.

이 무렵에 나온 카메라들이 오늘날 콤팩트 카메라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거리계 연동식’(Range finder·이하 ‘RF’) 카메라로, ‘콘탁스1’과 ‘라이카2’가 그것이다. RF 카메라엔 삼각측정법을 이용한 거리 측정기가 내장됐다. 삼각측정법은 군대의 포병이나 토목공사 기사들의 측거기를 응용한 것인데 뷰파인더를 통해 두 이미지를 일치시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다.

캐논과 니콘은 이들 소형 독일 카메라에 충격을 받고 카메라 개발을 꿈꾼다. 1930년대 당시 일본에서 라이카는 400엔 이상에 판매됐다. 은행에 취직한 유명대학 졸업생 평균 초임이 월 70엔이던 시절이다. 캐논과 니콘은 개발만 하면 가격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라이카와 콘탁스를 분해해 복제를 시도한다.

1930년대는 일본의 군국주의와 독일의 히틀러 제국주의가 동맹을 맺기 시작할 무렵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군사동맹이 기술제휴로 이어져 양국은 비약적인 공업 발전을 이루게 된다. 캐논은 라이카로부터, 니콘은 콘탁스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카메라 산업에 뛰어든 것.

필자가 카메라를 처음 만져보던 시절, 니콘과 캐논은 렌즈의 초점 림, 조리개 림, 줌 림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돼 있어 의아했다. 캐논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큰 수치가 적혀 있는데 니콘은 이와 반대였다. 알고 보니 이유는 간단했다. 독일의 라이벌 기업이던 라이카와 콘탁스의 렌즈 방향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캐논과 니콘은 이런 세세한 부분까지 몽땅 모방해 카메라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 무렵 카를 차이스는 회사명을 ‘자이스 이콘(Zeiss Ikon)’으로 바꿨는데, 심지어 니콘은 회사 이름까지 모방했다. 이콘(Ikon) 앞에 ‘N’을 붙인 것. 1917년 ‘일본광학공업주식회사’로 시작한 니콘은 1946년부터 카메라 브랜드를 ‘니콘’으로 바꾼다. N은 ‘닛폰’(Nippon·日本)의 약자로 알려져 있다.

니콘은 1920년대부터 쌍안경과 현미경을 만드는 등 본격적인 광학제조사의 위용을 갖췄지만, 캐논은 광학기술의 토대 없이 1930년대부터 곧바로 카메라 메커니즘에 도전한다. 창업자인 요시다 고로 회장은 불교에 심취해 있었고 특히 관음보살을 좋아해 첫 카메라(라이카 복제품)에 ‘Kwanon’(콰논·‘觀音’의 일본식 발음)이란 이름을 붙였다. ‘Canon’이란 이름은 1936년부터 썼는데 ‘콰논’을 외국인이 발음하기 쉽게 바꾼 것이다(일본인들은 ‘캬논’이라 한다).

라이카 ‘M3’의 충격

캐논의 첫 카메라는 ‘한사 캐논’이라고 명명되는데, 재미있는 것은 렌즈를 니콘으로부터 조달받았다는 사실. 니콘의 50mm 렌즈를 장착했다. 카메라 메커니즘은 캐논, 광학 분야인 렌즈는 니콘이 각기 맡아 사실상 일본의 첫 상용화 카메라를 개발했다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이름에 ‘한사’가 붙은 것도 중세 유럽 도시 상인 조합처럼 캐논과 니콘이 손을 잡은 것을 의미했다. 이 당시엔 양사가 향후 수십 년 동안 서로 세계 카메라 시장 패권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라이벌로 성장할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1/3
신원건 | 동아일보 사진부 기자 laputa@donga.com
목록 닫기

캐논 vs 니콘

댓글 창 닫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