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희랍·로마의 분노론<br>손병석 지음, 바다출판사
화를 안으로만 삭이는 이에게는 우울증이라는 꼬리표가, 화를 시도 때도 없이 엉뚱한 대상에게 표출하는 이에게는 분노조절장애라는 낙인이 찍히곤 한다. 분노를 분노의 원인이 되는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못하는 게 이 모든 문제의 뿌리일 것이다. 분노의 뿌리가 되는 문제 자체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선량한 사람을 ‘뭔가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몰아가는 것이다. 진짜 문제는 각종 정신질환 자체가 아니라 사람들을 괴롭고 아프게 만드는 사회구조에 있다.
남녀노소의 분노를 자극하는 모든 문제는 실상 우리 사회의 잠재적 화약고다. 이 분노의 씨앗은 이미 우리 사회 깊숙이 뿌리를 내렸다. 이 분노는 억울한 사람, 상처 입은 사람, 슬픔에 빠진 사람의 마음 깊숙한 곳에 싹을 틔워 언제 마법의 콩나무처럼 미친 듯이 자라나 하늘 높이 치솟는 무서운 불길이 될지 모른다. 어릴 때부터 극심한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힘들게 대학을 졸업하면 취업대란에 내던져지고, 결혼적령기에는 전월세 대란을 겪으며, 결혼해 아이를 가지면 또 그 아이를 이 힘든 세상에서 키워내느라 육아 스트레스에 짓눌리며, 중년부터 일찍이 노후자금을 걱정해야 하는 한국인. 우리의 이 분노를 진정한 공동체의 문제로 사유하지 않는 한, 분노를 개인의 문제로만 한정하는 한, 분노를 발생시키는 사회의 근본 문제는 전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사회의 건강 척도 ‘분노’
이 책은 한 사회의 건강을 측정하는 척도를 바로 ‘분노’로 바라본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에서 세네카의 ‘분노론’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분노라는 감정의 원인과 결과, 그 해결과 통제의 방식에 따라 인류의 역사가 어떻게 요동쳐왔는지를 고찰한다. 나아가 분노가 개인과 공동체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고, 분노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그 사회의 통치방식이 달라져왔음을 증언한다.
무엇보다도 분노의 통제와 실현은 영웅이 지닌 최고의 미덕 중 하나였다. 예컨대 오디세우스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집에 돌아와, 자신의 아내 페넬로페에게 온갖 감언이설로 구혼한 남자들, 자신의 명예를 훼손한 그 모든 남자를 잔인하게 살해한다. 오디세우스의 분노가 매우 잔인하게 표출된 것은 사실이지만, 역사가 그를 영웅으로 기억하는 것은 자신의 분노를 침착하게 통제하고 전략적으로 이용해 마침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놀라운 이성 때문이라는 것이다. 프로메테우스는 자신의 분노를 인간을 향한 이타적 분노로 승화시키고, 마침내 자신이 제우스의 분노를 온전히 감당함으로써 불멸의 영웅이 되었다. ‘분노를 어떻게 통제하고, 활용하고, 더 커다란 목적으로 승화시키는가’가 영웅의 위대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었던 것이다.
이 책에서 특히 마음을 끄는 대목은 ‘정의로운 분노’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의 문제다. 분노를 자신이 당한 일에 대한 복수의 쾌락을 향한 눈먼 질주로 이끌지 않고, 개개인의 사적인 분노를 공동체의 더 나은 삶을 향한 분노로 승화시키는 사례가 있다. 그중에서도 ‘뤼시스트라테’의 분노 해결법은 사회적으로는 절대적 약자였던 여성이 사적 분노를 공적 분노로 지혜롭게 고양시킨다는 점에서 현대인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늘 소모적인 전쟁에 빠져 일상을 돌보는 일을 등한시하는 남편들에 대한 분노로 똘똘 뭉친 아테네 여성들은 ‘가정’이라는 최소단위의 공동체 운영을 파업함으로써 남성들을 분노하게 만든다.
이 작품은 남편과의 성관계를 거부하는 여성들의 집단 파업으로 유명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전쟁과 경쟁과 지배에 몰두하는 남성적 권력’에 대한 여성들의 분노다. 남성의 분노는 사회를 통제하고 유지시키는 생산적 감정으로, 더 나아가 ‘남성성’을 증명하는 강력한 징표였다. 그런데 여성들의 분노는 ‘비여성적’이며, ‘여성답지 못한 것’이며 나아가 억제하고 제거해야 할 쓸데없는 감정으로 치부되었던 것이다. 서로 치고받고, 복수하고, 죽이고, 단죄하는 남성적 정치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녀들은 서로 챙기고, 감싸주고, 보듬어주는 치유의 정치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