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특집 | 세월호를 보내며〈Interview〉조광현 UDT전우회 명예회장

“민간 잠수사, 통제하는 게 옳았다”

세월호 사건 오해와 진실

  • 조성식 기자 | mairso2@donga.com

“민간 잠수사, 통제하는 게 옳았다”

1/5
  • ● 최정예 잠수사 20명 뽑아놓고 투입 못한 사연
  • ● 초기에 세팅 바지(setting barge) 안 댄 게 결정적 실수
  • ● 크레인으로 선체 고정하고 구멍 뚫어 선내 들어갔어야
  • ● 3등 항해사나 조타수 잘못 아니다
“민간 잠수사, 통제하는 게 옳았다”
전문가가 안 보인다. 세상이 뒤집히는 대형 참사를 수습하는 과정에 전문가 집단의 컨트롤타워가 안 보였다. 대신 행정가와 관료, 정치인이 설쳐댔다. 그들은 보고받을 줄만 알았지 지휘할 줄을 몰랐다. 바다와 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없으니 대책은커녕 상황 파악도 힘들었다. 세월호 사건의 피해가 커진 결정적인 이유다.

UDT(Underwater Demolition Team·수중파괴대)전우회 명예회장 조광현(74) 씨는 사건이 발생한 후 바쁘게 움직였다. 사고 현장의 해군 및 해양경찰 지휘부에 수중 탐색과 관련해 조언을 하고 민간 잠수부 투입에도 관여했다. 4월 29일엔 서울시의 긴급 요청에 따라 한강유람선을 관리하는 직원 200명을 상대로 2회에 걸쳐 특별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세월호 사건과 관련해 각종 방송에 20여 회 출연하고 해경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을 신문에 기고(동아일보 5월 8일)하기도 했다.

조씨는 1998년 한국수상레저안전연합회를 설립해 초대, 2대 회장을 지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트·요트 조종 면허시험 제도를 도입한 단체가 바로 안전연합회다. 이 단체는 수상인명구조원과 래프팅 가이드 양성 교육도 실시한다.

전문가 부재와 허술한 통합지휘체계는 결국 민간 잠수사의 희생으로 이어졌다. 조씨는 5월 7일 밤, 세월호 수색 과정에서 숨진 잠수사 이광욱 씨의 빈소에 오랫동안 머물렀다. ‘잠수업계의 전설’로 통하는, 이씨의 부친 고(故) 이진호 씨와 가깝게 지낸 인연 때문에 슬픔이 남달랐다. 인터뷰는 그다음 날 진행됐다.

잠수 전 적응 기간 필요



▼ 상가 다녀온 얘기부터 하자.

“구조에 참여했던 동료 잠수사 몇 명이 와 있더라. 조화가 대통령 것부터 총리, 장관… 100개가 넘어 보였다.”

▼ 고인의 부친과 잘 알고 지냈다는데.

“한국 다이빙계, 잠수계의 거장이다. 1960~70년대 물속에서 하는 큰 공사는 다 참여했다고 보면 된다. 잠수협회 창설에도 공이 컸다.”

▼ UDT에서 같이 근무했나.

“그건 아니다. 그 양반은 UDT에서 오래 근무하진 않았다. UDT 훈련 중 수중공사를 하는 그와 몇 번 만난 적이 있다. 내가 전역 후에도 계속 바다에서 활동했기에 가까이 지냈다.”

▼ 아들(고 이광욱 잠수사)은 본 적이 있나.

“부친 생전에 그 집에 가끔 들러 식사도 하고 술도 했다. 아들은 어릴 때 한두 번 봤다.”

예비역 해군 대령인 조씨는 자타가 인정하는 ‘바다 사나이’다. 그는 해군 최정예 특수부대 UDT의 신화적 인물로 통한다. UDT 교육훈련대장을 세 번 맡고, 해군 첩보부대로 북파공작에 관여한 UDU(Underwater Demolition Unit) 대장도 지냈다. 구축함 함장과 경비전대장을 역임한 후 초대 특전전대장에 임명돼 현 UDT/SEAL 부대의 기틀을 마련했다. SEAL은 ‘Sea Air Land’의 약자로 육해공 전천후 특수팀을 뜻한다. 전역해서는 UDT전우회를 전국조직으로 창설했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당시 구조작전에 참가했으며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고인은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입수했고, 물속에서 가이드라인과 공기 호스가 엉킨 것이 사고 원인이라고 한다. 뭐가 잘못된 건가.

“잠수 작업을 지휘하는 쪽에서 워낙 실적에 쫓기다보니 벌어진 일이다. 이런 위험한 곳에서는 잠수사의 수중 적응이 필요하다. 전날 도착한 사람을 이튿날 새벽에 입수하게 한 건 무리한 처사였다.”

▼ 잠수 능력과 상관없이 말인가.

“그렇다. 잠수 능력이 뛰어나도 그런 험한 해역에서 다이빙 할 때는 어느 정도의 적응기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수중 가이드라인 설치는 가장 위험하고 체력 소모가 큰 작업이다. 조류에 낙엽처럼 휩쓸리면서 (선체 집입구를) 찾아 묶어야 하니까.”

1/5
조성식 기자 | mairso2@donga.com
목록 닫기

“민간 잠수사, 통제하는 게 옳았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