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

메가 서울, 왜 살아 있는 뇌관인가

[Special Report | 大서울, 욕망을 간질이다] 與, 상위중산층 욕망하는 ‘移住 세대’ 겨누다

  • reporterImage

    고재석 기자

    jayko@donga.com

    입력2023-12-04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與 서울 키우자 vs 野 균형발전

    • 서울 전출자→하남·화성·김포·시흥

    • 한강신도시, 미사강변신도시 주목

    • ‘신규 주택 공급’이 주요 이주 원인

    • 평균연령이 36.8세에 불과한 도시

    • 30·40 화이트칼라, 민주당 지지층

    • 오세훈 대권가도와 불가분의 관계

    경기 김포시 고촌읍 육교에 박진호 국민의힘 김포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박해윤 기자]

    경기 김포시 고촌읍 육교에 박진호 국민의힘 김포갑 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박해윤 기자]

    ‘메가 서울’은 미풍에 그칠까. 그럴 수도 있다. 내년 총선만 놓고 보면 그럴 개연성도 있다는 얘기다. 멀리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훗날의 정치사가(史家)들은 2023년을 어떤 변곡점으로 기록할지도 모른다. 지방자치제 부활 이래 분권과 균형은 도전받지 않는 대의(大義)였다. ‘지방분권 vs 중앙집중’이 마치 선악 논쟁 같은 뉘앙스를 풍겼다. 서울을 더 키우자는 목소리가 없지 않았으나 소수의견으로 치부됐다. 구도가 그랬다. 서울이 좁다고 하면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던진 ‘행정수도 이전’은 이런 흐름의 집약판과도 같았다.

    ‘메가 서울’은 이 구도와 흐름을 단번에 뒤집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해외 사례들을 봤을 때 인구 대비 면적으로도 서울시의 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이 김포 땅을 확보”한다는 표현을 썼다. 경기 김포시가 아니라 서울을 주어로 삼았다. 10월 30일의 일이다. 금세 ‘서울 확장론’이 공론장 한복판에 들어왔다. 논란을 촉발할지언정, 아예 말이 안 되는 얘기로 취급받지는 않는다. 그에 대한 가치판단과는 상관없이 어젠다의 생명력을 확보했다. 김 대표가 얼떨결에 한국 정치에 새 장을 열어버렸다.

    거대한 이주 행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월 8일에야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서울 확장 정책”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토 균형발전이란 측면에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행정구역 문제를 즉흥적으로 표가 되지 않을까 싶어 마구 던지듯 일을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포시의 서울 편입에 대한 여론이 호의적이지만은 않다는 판단이 읽힌다. 행간을 보면 흥미로운 포인트가 있다. ‘균형발전’이라는 단어를 쓰긴 했는데, 적극적으로 분권을 앞세운 모양새는 아니다. 수도권에 기반을 둔 정치인의 딜레마가 엿보인다. “지도부는 분권 정당인 민주당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라”(김두관 의원)는 주장과는 온도차가 있다.

    분권은 비단 민주당만의 트레이드마크가 아니다. 한국 진보의 도시정책을 상징하는 단어다. 나누자는 얘기니 도덕적으로도 우위에 있는 가치다. ‘서울공화국’이라거나 ‘지방에도 사람이 산다’는 표현은 이제 제법 익숙해졌다. 그렇다면 옳고 그름의 가치 판단을 배제하고 보자. 지역을 언제든 떠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주자들에게도 분권이 흡입력 있는 가치일까. 김포에 오랫동안 터를 잡고 살아온 사람과 서울에 살다가 여러 이유로 김포로 온 사람에게 다가오는 의미가 다를 것이다. 마침 수도권은 이미 거대한 이주 행렬을 이루고 있다.

    지난해 5월 서울연구원은 통계청의 2020년 국내인구이동통계와 자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수도권 내 서울 인구 전·출입 패턴과 요인’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서울에서 157만8127명이 전입했고, 164만2977명이 전출했다. 서울시민이 가장 많이 전출한 지역은 경기 하남, 화성, 김포, 시흥시다. ‘신규 주택 공급’이 가장 큰 이주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대해 서울연구원 측은 “서울 인구 전출을 유발한 주요 원인은 양질의 주택 수요와 맞물린 수도권 주택지 개발, 신도시 건설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중 화성은 예외적 사례다. 이곳에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기반으로 동탄신도시가 조성돼 재정과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올해는 재정자립도가 61.1%로 서울 강남구(60.4%)와 경기 성남시(59.6%)를 제치고 전국 1위다. 즉 화성은 서울에서 밀린 사람들이 둥지를 튼 도시가 아니다. 삼성전자와 협력업체 등에 일터를 둔 직장인들이 자발적으로 옮겨간 도시다. 자연히 화성에 살면서 화성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다. 자족도시(自足都市·self-contained city)다.

    외려 주목할 사례는 김포와 하남이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30·40 화이트칼라 직장인이 많은 도시다. 위의 보고서가 2020년 통계를 기반으로 작성됐다는 점에 주목하자. 이즈음 수도권 부동산값이 폭등했다. 연일 ‘영끌족’에 대한 보도가 등장했다. 서울 근교에서 대안으로 주목받은 곳이 김포의 한강신도시와 하남의 미사강변신도시다. 서울과 가깝되 대형 건설사들이 지은 ‘브랜드 아파트’들이 있어 관심을 끌었다.

    실제로 위의 서울연구원 조사를 보면 서울에서 경기로 전출한 이들 중 아파트 거주 비율은 42.6%에서 66.8%로 큰 폭으로 늘었다. ‘메가 서울’ 논쟁의 도화선이 된 김포의 경우, 한강신도시가 조성된 마산동·장기동·구래동·운양동에 외지(外地) 인구가 몰렸다. 덕분에 김포는 2020년 기준으로 전국 인구 증가율 1위 지자체에 올랐다. 특히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많았다. 막연한 예측이 아니라 통계로 드러나는 바다.

    김포시청은 매달 홈페이지에 ‘인구브리핑’을 공개한다. 김포시청은 지역을 북부권(통진읍·양촌읍·대곶면·월곶면·하성면)과 중부권(장기본동·장기동·구래동·마산동·운양동), 남부권(고촌읍·김포본동·사우동·풍무동)으로 구분했다. 동네 이름에서 드러나다시피 중부권이 한강신도시와 상당 부분 겹친다. 이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김포시 전체 인구(48만5943명) 중 43.14%(20만9679명)가 중부권에 살고 있다. 중부권의 평균연령은 38.3세로 북부권(51.2세) 및 남부권(42.1세)에 비해 매우 젊다. 그중 구래동의 평균연령은 36.8세에 불과했다. 이를 포함해 중부권 모든 동네의 평균연령이 40세 이하다. 올해 대한민국 중위연령은 45.6세다.

    김포 표심의 급변

    경기 김포시의 한 거리에 있는 이정표. [박해윤 기자]

    경기 김포시의 한 거리에 있는 이정표. [박해윤 기자]

    원래도 수도권 선거판은 유동성이 크다. 보수정당이 강세를 보이던 김포에서도 표심이 급변했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김포시 갑과 을 지역구 공히 민주당이 석권했다. 두 곳 모두 민주당 후보가 53% 넘는 지지를 받았다. 부동산값 폭등이 만든 수도권 내 이주 행렬이 정치 지형마저 바꿔놨다. 이번에는 같은 해(2022) 치러진 제20대 대선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레이더를 돌린다.

    먼저 대선이다.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김포에서 15만3206표(51.07%)를 얻어 13만6814표(45.61%)에 그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비교적 넉넉한 격차로 이겼다. 읍 단위에선 1000표 차 이내의 백중세거나 되레 윤 후보가 소폭 앞섰다. 마산동·구래동·운양동 등 신도시 지역에선 이 후보가 2000~4000표 이상 격차로 압승했다. 정치에는 영원한 ‘텃밭’이 없다는 점을 각인한 사례다.

    국민의힘이 대승한 지방선거의 경우다. 경기도지사 선거 당시 김포에서는 9만8054표(50.48%)를 득표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9만2596표(47.67%)를 얻은 김동연 민주당 후보를 이겼다. 김포시장 선거에서는 김병수 국민의힘 후보가 10만1566표(52.42%)를 받아 8만6798표(44.79%)를 얻은 정하영 민주당 후보를 적잖은 격차로 앞섰다. 몇 달 새 김포 유권자들이 다시 변심한 걸까.

    그렇지 않다. 대선에 나선 후보들이 얻은 득표수와 지방선거에 나선 후보들이 얻은 득표수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1위를 한 후보의 득표수를 기준으로 보면 약 5만 표의 차이가 있다. 국민의힘의 득표도 줄었으나, 민주당의 득표가 더 크게 줄었다. 민주당 지지자 상당수가 투표에 불참한 결과로 해석할 소지가 크다. 그 반사이익을 국민의힘이 고스란히 누렸다.(*바꿔 말하면 이런 상황에서 경기지사직을 꿰찬 김동연 후보의 경쟁력을 높이 평가할 수도 있다.)

    동 단위로 보면 도지사 및 시장 선거 공히 마산동, 구래동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를 소폭 앞섰다. 운양동은 시장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앞섰지만 도지사 선거에선 민주당이 이겼다. 좀 더 구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의원 개표 결과도 살펴봤다. 흥미롭게도 김포시 선거구 4곳 중 3곳을 국민의힘이 가져갔는데, 김포시 제4선거구에서는 이기형 민주당 후보가 2만3914표(51.11%)로 2만2870표(48.88%)에 그친 양형용 국민의힘 후보를 꺾었다. 이곳은 장기본동·마산동·운양동 등 한강신도시가 위주인 선거구다. 같은 행정구역 안에서도 토박이들이 주로 사는 곳과 신도시 표심이 갈린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에는 6월 9~12일 동아일보가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경기 지역 성인남녀 802명을 대상으로 ‘내년 총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느냐’고 물은 조사를 소개한다. 조사에서는 경기도를 6개 권역으로 나눴다. 김포는 고양·파주와 함께 북서해안권으로 분류됐다. 고양에는 1기 신도시인 일산이 있고 파주에는 운정신도시가 있다. 경기 전체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가장 높은 권역이 바로 이곳 북서해안권이다. 민주당은 39.5%를 얻고 국민의힘은 28.1%를 기록해 격차가 오차범위 밖인 11.4%포인트다.

    “서울 외곽 자치구에도 호재”

    정리하면 이렇다. 경기 신도시에서는 여전히 민주당이 헤게모니를 쥐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40% 이하로 하락한 현시점에서 총선을 치르면 여당이 불리하다. 30·40 화이트칼라는 전 세대와 직업을 통틀어 윤 대통령에게 가장 불만이 많은 이들이다. 조사 대상자가 3005명인 한국갤럽의 10월 통합 대통령 직무 평가 결과를 보면, 30대와 40대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각각 18%, 17%다. 화이트칼라를 뜻하는 사무/관리직에선 25%만 윤 대통령을 지지했다.(이하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메가 서울’이 김동연 경기지사가 내건 경기북부특별자치도와 결부돼 논의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경기도가 분도(分道)되면 김포는 경기북도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남도로 가면 다른 지역과 동떨어지는 모양새가 된다. 과거에는 김포가 인천시에 편입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 바 있다. 마침 현직 인천시장(유정복)은 한때 김포군수였다. 경기도민보다 서울시민의 정체성이 짙은 30·40 화이트칼라로서는 선택지 중 굳이 고르라면 ‘서울시 김포구’가 낫다는 정서가 퍼질 개연성이 높다. 김포시민에게 ‘경기북도’와 ‘인천시’ ‘서울시’ 중 선호하는 편입 대상을 고르라는 식으로 여론조사 문항이 짜인다면 결과는 지금과 달리 나올 것이다.

    이슈가 촉발된 초기에 비해 여론이 식은 듯한 지금, 여당이 믿는 구석이 바로 이것이다. 아직 본격적인 논쟁 국면은 시작하지도 않았다는 거다. 그래서인지 여당은 계속 쳇바퀴를 돌리고 있다. 11월 13일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는 수도권 주요 도시를 서울로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특별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조경태 특위 위원장은 법안에 김포만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지역 주민이 많이 원하는 지역부터 해서 총선용이 아니라는 것을 하나씩 보여드리겠다”며 “아마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메가 서울’ 논의 과정을 잘 아는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와 나눈 문답이다.

    경기 김포시의 서울 편입 이슈가 최근 잠잠하다. 반대가 많다는 여론조사도 등장했다. 그대로 추진하는 게 맞나.

    “중간에 접지 않고 그대로 추진할 것이다. 지금 나오는 여론조사는 정당 투표 비슷하게 돼버렸다. 민주당 지지하면 반대, 국민의힘 지지하면 찬성 이런 식이다. 김포·하남·구리시 내부 주민들의 여론은 다르다.”

    서울에서 경기 신도시로 이주한 젊은 부부들의 경우 민주당 지지층이 많지 않나.

    “실제로 해당 주민들에 대해 깊게 조사해 들어가면 (‘메가 서울’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게 나올 것이다. 자산가치가 오른다는 효과도 있다.”

    서울 외곽 자치구에서 활동하는 여당 당협위원장들은 반대 목소리를 내는데.

    “(편입 이슈가 있는) 경기도의 도시들과 서울 외곽 자치구는 사실상 같은 생활권이다. 경기도의 도시가 서울로 편입되면서 인근 그린벨트가 해제되고, 이곳에서 가령 ‘마곡신도시’처럼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사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서울 외곽 자치구에도 호재가 될 수 있다.”

    ‘옳은 것’보다 ‘끌리는 것’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백경현 구리시장이 11월 13일 서울시청에서 구리시의 서울 편입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만난 모습. [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백경현 구리시장이 11월 13일 서울시청에서 구리시의 서울 편입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만난 모습. [뉴스1]

    당연하게도 이것은 욕망의 정치다. 여권은 집값 상승 욕구를 부채질한다. “김포가 금포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등장했다. 사교육계는 “서울시 김포구에선 대원외고 진학이 가능하다”고 부추긴다. 대개 지갑 사정이 좋은 집의 자녀가 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에 지원한다. 이를 고려하면, 명백히 특정 계층의 욕망을 노린 마케팅이다. 서울서 밀렸지만 같은 세대에서 중상층에 해당할 30·40 화이트칼라만을 위한 정치라는 비판에 마땅한 반론을 찾기가 어렵다.

    한데 정책의 실효성을 판단하는 또 다른 주체는 수혜자다. 누군가는 욕망보다 선망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윗세대도 경험해 온 ‘자산 증식의 사다리’라고 판단할 공산이 크다. 상위중산층으로 가는 사다리라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벽돌처럼 단단하게 민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 중 선망하는 사람이 3할만 되도 선거에서는 ‘남는 장사’다. 청년 이주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장민지 경남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의 설명이다.

    “경기 신도시에 사는 30·40은 대체로 서울에 살아봤고, 서울에 직장이 있으며, 아직도 서울 위주로 생활하는 세대다. 미혼·비혼 가구보다는 가정을 꾸린 기혼 가구가 많은 편이다. 같은 세대에 속하지만 원래 경기도에서 태어난 사람들과는 정서가 다를 수도 있다. 이들에게는 ‘내가 서울 사람이 된다’는 정서보다는, 실용 차원의 목적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예컨대 다시 서울로 진입하는 데 필요한 자산가치 증식이라는 차원에서 ‘메가 서울’의 실효성을 판단할 것이다. 혹은 자녀교육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단, 이것이 옳은 정책인지는 별개의 문제다. 수도권만 팽창하는 쪽으로 귀결될 여지를 배제할 수 없다. 또 좋은 일자리가 서울로 집중된 상황에서는 후에 진입하는 젊은 세대도 서울에 착취당하는 구조로 빠져들 우려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가 서울’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권가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오 시장은 11월 13일 백경현 구리시장을 만나 “서울 인근 지자체의 편입이 시민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서울의 도시경쟁력과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 연구하고 고민하면서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했다. 앞선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지금의 서울은 면적이 좁아 뭘 하려 해도 할 수 있는 땅이 없다. ‘메가 서울’이 되면 서울이 그간 못 한 개발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 수 있다”며 “오 시장에겐 ‘그레이트 한강’을 넘어 판을 키울 기회”라고 말했다.

    오 시장의 발언에서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이라는 단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내셔널 어젠다’로 만들 수 있다는 인식이 스며 있다. 이 경우 ‘대서울’의 문을 연 시장이라는 브랜드를 거머쥘 수 있다. 논란의 중심에 서겠지만, 대권주자에게는 갈등의 크기를 키우는 어젠다가 필요한 법이다. 어디까지나 정치공학의 시각에서 도달한 결론이다. 한데 때로 세상은 도시공학보다 정치공학에 의해 좌우된다. 불편한 진실이지만 유권자는 ‘옳은 것’보다 ‘끌리는 것’에 마음이 동한다. 한복판에 30·40 ‘이주 세대’가 있다. ‘메가 서울’이 아직 살아있는 뇌관인 이유다.



    고재석 기자

    고재석 기자

    1986년 제주 출생. 학부에서 역사학, 정치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15년 하반기에 상아탑 바깥으로 나와 기자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유통, 전자, 미디어업계와 재계를 취재하며 경제기자의 문법을 익혔습니다. 2018년 6월 동아일보에 입사해 신동아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늘 조국과 비교당하며 견제받을 것

    우유 고를 때 ‘두 가지’만 확인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