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삼성 vs 김용철, ‘폭로 쓰나미’ 실체

“학연, 지연, 검찰내 평가 담은 ‘관리대상 검사’ 250명 명단 있다”

  • 조성식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airso@donga.com

삼성 vs 김용철, ‘폭로 쓰나미’ 실체

1/8
  • 은행 관계자 “임원 차명계좌는 대개 비자금 조성용…은행 협조로 가능”
  • 검찰 관계자 “대선자금 출처? 채권 구입자 ‘양심선언’ 없으면 입증 불가”
  • ‘관리대상 검사 명단’과 ‘떡값’ 전달 입증은 별개
  • 에버랜드 사건 조작, 개연성 있지만 증인 확보가 관건
  • 삼성 간부 “젊은 직원들은 에버랜드 사건에 문제 의식”
삼성 vs 김용철, ‘폭로 쓰나미’ 실체
2년 전 이른바 ‘X파일 사건’이 터졌을 때다. 삼성의 문제점을 취재하던 중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박근용 팀장에게 물었다.

“재벌기업들 중 유난히 삼성을 물고 늘어지는 이유가 뭔가.”

“유난히 삼성이 지배구조 승계와 관련해 무리수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박 팀장의 말은 삼성 문제의 핵심을 찌르는 것이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이 시민·사회단체로부터 ‘공공의 적’으로 지탄받는 가장 큰 이유도 그것이다. 삼성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의 뿌리인 셈이다.

‘삼성 저격수’로 나선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 근간도 그것이다. 김 변호사의 ‘양심 고백’ 파동은 X파일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X파일은 1997년 홍석현 당시 중앙일보 사장과 이학수 삼성그룹 비서실장의 대화를 안기부가 도청한 자료다. 정경 유착의 실상을 생생히 보여준 X파일은 ‘기업 이상의 기업’이라는 삼성의 부도덕한 일면을 세상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그때도 지금처럼 비자금과 ‘떡값 검사’가 논란이 됐다. 고발인도 똑같이 참여연대였다.



한 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2년 전엔 검찰이 수사했지만 이번엔 특검이 수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3당은 11월14일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특별검사 도입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법안은 무난히 통과될 전망이다. 세 당의 의석을 합하면 과반수에 이르는 데다 한나라당도 조건부이긴 하지만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변호사가 폭로한 내용은 크게 네 가지. ▲차명계좌를 통한 불법 비자금 조성 ▲2002년 대선 자금의 실체 ▲‘떡값 검사’ 명단 ▲에버랜드 전환사채(CB) 저가발행 사건 조작이다.

물론 삼성은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대부분 근거 없는 일방적 주장이며 음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주도하고 있는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하 사제단)은 기자회견 등을 통해 삼성을 거세게 압박하고 있다. “김 변호사의 주장을 믿을 만한 근거가 충분하고, 입증할 만한 자료도 많다”는 것이다.

과연 김 변호사의 주장은 어디까지 사실일까. 일단 지금까지는 삼성이 수세에 몰리는 양상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 그의 주장이 워낙 폭발적이어서 국민정서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 국민의 신뢰도가 높은 편인 사제단의 전폭적 지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렇지만 삼성의 반박에도 일리가 있다. 김 변호사의 주장에 허점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증거 싸움이 될 것이다.

불법 비자금

“나도 모르게 내 명의로 개설된 은행계좌에 50억원대 현금과 주식이 들어 있었다. 이는 삼성이 불법으로 조성한 비자금이다.”

10월29일 사제단이 기자회견을 통해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선언’이라며 밝힌 내용이다. 사제단은 은행계좌 3개와 증권계좌 1개를 물증으로 제시했다. 사제단에 따르면 김 변호사의 2006년 금융소득 종합과세 납부실적에는 1억8000여만원의 이자소득이 발생한 것으로 돼 있다. 연 이율을 4.5%로 계산하면 예금액이 50억원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1/8
조성식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airso@donga.com
목록 닫기

삼성 vs 김용철, ‘폭로 쓰나미’ 실체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