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복선과 도발의 저격수 - 이불

몸 오브제로 역설의 하이브리드 똥침 날리다

복선과 도발의 저격수 - 이불

1/5
  • 문화 취향이든, 재테크든 미술품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지식의 뒷받침이 없는 미술품 구입은 ‘묻지마 투자’일 뿐이다. 독자의 미술지식 함양을 위해 세계적 미술전문 사이트 아트택틱(ArtTactic.com)이 전세계 작가들을 대상으로 매긴 평가순위에서 상위에 오른 젊은 한국 작가들을 매달 한 명씩 소개한다. 이들은 그야말로 세계의 미술전문가들이 검증한 미래의 블루칩 작가들이다.
복선과 도발의 저격수 - 이불

▼ 1964년 강원도 영월 출생<br>▼ 홍익대 미대 조소학과 졸업<br>▼ 베른미술관, 르 콩소시움, 뉴 뮤지움, 글래스고 현대미술센터, 오하라 미술관, 캐나다 파워플랜트 갤러리, 시드니 현대미술관 등에서 전시회<br>▼ 후쿠오카 아시아 트리엔날레, 아시아 태평양 트리엔날레, 이스탄불 비엔날레, 사라예보 2000 등에 참여

세계 미술계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자존심을 세우고 있는 이불(44)은 ‘백남준 이후’를 기대하게 하는 작가로 손꼽힌다. 그는 1980년대 중반 그룹전 ‘뮤지엄’과 각종 기획전에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아니 도저히 작품이라고 볼 수 없는 기괴한 작품으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1988년 열린 개인전에서도 도발적인 작품들을 내놓아 ‘튀는’ 작가로 회자됐다.

언론은 줄곧 그의 도발적인 작품과 퍼포먼스, 행동에 주목했지만 그는 이에 신경 쓰지 않고 내공을 다졌다. 그 결과 이제 아무도 그의 이름 앞에 ‘세계적인’이란 수식어를 붙이는 데 토를 달지 않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서 발생한다. 미술을 단지 바라보는 것, 아름다운 것으로만 생각해온 사람들은 그의 작품을 받아들이기가 어색하다. 아니, 동의할 수 없다. 그들이 알고 있는, 그간 보아온 미술과는 거리가 너무도 멀기 때문이다.

‘세계적인’이라는 수식어에 동의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시세를 거스를 수도, ‘왜, 무엇 때문에 그런 거창한 말을 붙이는가’라는 질문을 던지지도 못하는 이들에게 이불과 이불의 작품은 불편한 존재다. 그들은 그의 작품과 이렇듯 불편하지만 불편하다고 말하지도 못하는 어색한 공존을 하고 있다.

이불의 작품이 낯설고 때로는 괴이하게 보이는 것은 미술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미술이란 언제나 아름다운 것이고, 그 아름다움이란 마치 꽃과 같아서 늘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것이어야 했다. 그리고 실제와 얼마나 똑같이 그렸느냐가 그림의 유일한 평가기준이었다. 사과를 그린 그림을 보고 진짜 사과 같다는 생각이 들어야만 잘 그렸다고 하는 ‘눈속임 기법(Tromp e d’Oeil)’ 회화가 우리의 그림 평가 척도였다.



돌이켜 보면 우리가 잘 그렸다고 하는 그림, 명작이라고 하는 것들은 거의 모두 이렇게 닮은, 또는 진짜와 똑같이 그려진 작품이었다. 그러나 세상이 변하면서 사람들이 눈에 의해 속아왔음을 인식하면서 미술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그런데 그림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여전히 가상현실 세계에 머물고 있어 이불의 작품에 대해 “당최 모르겠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당찬, 그리고 야심만만한

1997년경 이불이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프로젝트 룸에서 개인전을 연다는 소식을 접했다. ‘MoMA’는 전세계 미술인에게 꿈의 무대다. 하지만 국내의 반응은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다. 믿기지 않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필자는 마침 뉴욕 출장을 앞두고 있었다. 출장 목적은 다른 데에 있었지만 나는 어떻게든 그의 전시를 둘러볼 참이었다. 아침 일찍 미술관이 문을 열자마자 프로젝트 룸으로 달려갔다. 그런데 갤러리는 텅 비어 있고 입구에 조그만 안내문이 나풀거리고 있었다. ‘미술관 사정상 전시를 진행할 수 없어 작품을 철수했다’는 내용이었다. 아, 그 허무함이란. 그때는 황당하고 아쉬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또한 이불의 의도된 복선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1/5
정준모 미술비평가 curatorjj@naver.com
목록 닫기

복선과 도발의 저격수 - 이불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