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영하 17도 山中에서 새가 되어 날다

월정사의 눈발 흩날리는 새벽

영하 17도 山中에서 새가 되어 날다

1/4
  • 오호라 월정사라! 달(月)의 정(精). 기묘하고 에로틱한 이름이다.
  • 산이 처녀 젖가슴처럼 풍만하게 솟아오른 겨울날 그곳에 가봤는가.
  • 고즈넉하면서도 그윽한, 그야말로 달의 정기가 서린 그곳에서 잃어버린 ‘나’를 찾아보라.
영하 17도 山中에서 새가 되어 날다
겨울, 월정사 그리고 산야를 하얗게 뒤덮은 대설이라! 이런 어휘, 이런 이미지, 이런 절경. 곧 이러한 상태의 가히 초월적 풍경이란 좀처럼 내려지지 않을 하늘의 은혜다.

물론 눈 덮인 겨울 산사의 풍경이란 어쩌면 가보지 않고도 수십 번이나 가본 듯한 ‘진부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마치 파도가 철썩이는 동해를 보고 싶다든지, 해지는 서녘의 붉은 놀을 보고 싶다든지 하는 낭만적 수사란 1970~80년대 대중소설이나 영화에서 늘 반복되던 그야말로 진부한 형식, 진부한 틀, 진부한 언어, 그리하여 언뜻 보기에 그럴듯하지만 내용은 텅 비어 있는 공허함과 다를 바 없으나, 누구라도 실제로 그러한 풍경 앞에 서면 한없이 충일해지는 것은 거역하기 어렵다.

웃자란 젖가슴 닮은 겨울山

겨울, 눈 쌓인 월정사에서의 하룻밤!

이 또한 마찬가지다. 언뜻 진부하지만, 실제로 그러한 체험을 하기가 쉽지 않으며 어쩌다 그런 체험을 하게 되면 아마도 평생 동안 누군가에게 자랑 삼아 얘기할 만한 그런 광경이다.



“월정사 가봤어?”

“어디, 저 강원도. 거기 뭐라던가, 설악…산? 아니 오대산?”

“그렇지. 오대산 월정사!”

“삼층인가 십층인가 석탑 있는 곳?”

“8각이요 9층이지.”

“검색해볼까?”

“아냐, 됐어. 요지는 뭐냐, 월정사에 가봤냐는 거지, 월정사!”

“…?”

“눈 펑펑 내리는 날, 폭설 탓에 안전장치 없는 승용차가 도로 구석에 이마 처박던 날, 야트막한 구릉이겠거니 생각하며 상원사까지 용기백배해 올라가던 차들이 바퀴 헛돌아 맥을 못 추고 황급히 견인차 부르던 날, 인도를 벗어나면 무릎까지 눈에 파묻히던 날, 그렇게 무릎까지 파묻히는 바람에 멀리서 누가 보면 흡사 천지 간의 설경에 혼을 빼앗겨 월정사, 상원사에 이르기도 전에 벌써 삼라만상에 고개 숙여 속죄하며 흐느끼듯 보이는, 미리 다녀간 객들 때문에 전나무숲길에 발자국 요란하기는 해도 눈 돌려 숲을 보면 온갖 설화가 다투어 피던 날, 게다가 보름달이라, 아, 월정사 연푸른 밤하늘 위로 허연 달이 떠오르누나. 스무 살 여자애들 웃자란 가슴처럼 산이 풍만하게 솟아오르던 날, 달빛을 받아 오히려 적막한 산야가 더욱 그윽하고 전나무가 일제히 하늘을 향해 치성을 드리는 듯한 그런 날, 꼭 그런 날에 월정사 가봤어?”

“…아니.”

“난…가봤어. 하룻저녁을 거기서 묵었지.”

“…한 잔도?”

“허어, 안 할 수야 없지.”

1/4
정윤수│문화평론가 prague@naver.com
목록 닫기

영하 17도 山中에서 새가 되어 날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