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론 눈 덮인 겨울 산사의 풍경이란 어쩌면 가보지 않고도 수십 번이나 가본 듯한 ‘진부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마치 파도가 철썩이는 동해를 보고 싶다든지, 해지는 서녘의 붉은 놀을 보고 싶다든지 하는 낭만적 수사란 1970~80년대 대중소설이나 영화에서 늘 반복되던 그야말로 진부한 형식, 진부한 틀, 진부한 언어, 그리하여 언뜻 보기에 그럴듯하지만 내용은 텅 비어 있는 공허함과 다를 바 없으나, 누구라도 실제로 그러한 풍경 앞에 서면 한없이 충일해지는 것은 거역하기 어렵다.
웃자란 젖가슴 닮은 겨울山
겨울, 눈 쌓인 월정사에서의 하룻밤!
이 또한 마찬가지다. 언뜻 진부하지만, 실제로 그러한 체험을 하기가 쉽지 않으며 어쩌다 그런 체험을 하게 되면 아마도 평생 동안 누군가에게 자랑 삼아 얘기할 만한 그런 광경이다.
“월정사 가봤어?”
“어디, 저 강원도. 거기 뭐라던가, 설악…산? 아니 오대산?”
“그렇지. 오대산 월정사!”
“삼층인가 십층인가 석탑 있는 곳?”
“8각이요 9층이지.”
“검색해볼까?”
“아냐, 됐어. 요지는 뭐냐, 월정사에 가봤냐는 거지, 월정사!”
“…?”
“눈 펑펑 내리는 날, 폭설 탓에 안전장치 없는 승용차가 도로 구석에 이마 처박던 날, 야트막한 구릉이겠거니 생각하며 상원사까지 용기백배해 올라가던 차들이 바퀴 헛돌아 맥을 못 추고 황급히 견인차 부르던 날, 인도를 벗어나면 무릎까지 눈에 파묻히던 날, 그렇게 무릎까지 파묻히는 바람에 멀리서 누가 보면 흡사 천지 간의 설경에 혼을 빼앗겨 월정사, 상원사에 이르기도 전에 벌써 삼라만상에 고개 숙여 속죄하며 흐느끼듯 보이는, 미리 다녀간 객들 때문에 전나무숲길에 발자국 요란하기는 해도 눈 돌려 숲을 보면 온갖 설화가 다투어 피던 날, 게다가 보름달이라, 아, 월정사 연푸른 밤하늘 위로 허연 달이 떠오르누나. 스무 살 여자애들 웃자란 가슴처럼 산이 풍만하게 솟아오르던 날, 달빛을 받아 오히려 적막한 산야가 더욱 그윽하고 전나무가 일제히 하늘을 향해 치성을 드리는 듯한 그런 날, 꼭 그런 날에 월정사 가봤어?”
“…아니.”
“난…가봤어. 하룻저녁을 거기서 묵었지.”
“…한 잔도?”
“허어, 안 할 수야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