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낮밤 뒤바뀐 생활로 뇌일혈

큰 질병 없던 고종

낮밤 뒤바뀐 생활로 뇌일혈

1/4
당뇨·심장 질환 등을 통칭하던 성인병(成人病)이란 명칭이 생활습관병으로 바뀌었다. 대한내과학회는 2003년 “이른바 성인병은 대부분 흡연, 과식, 과음,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의 반복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올바른 생활습관을 지녀야 한다는 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성인병’이란 명칭을 ‘생활습관병’으로 개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사실 질병은 대부분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인 고종(高宗·1852~1919, 재위 1863∼1907)은 나름대로 건강한 체질이었다. 조선 말기 대다수 왕이 병과 싸우면서 많은 처방 및 치료 기록을 남겼지만, 고종은 ‘조선왕조실록’과 ‘태의원일기’ 모두 소화불량이나 가벼운 피부염에 대한 기록밖에 없다. 하지만 생활습관에 선 유별나게 낮과 밤이 뒤바뀐 생활을 오래하면서 야식을 먹었다.

명성황후의 영향력

‘경성일보’ 1919년 1월 24일자엔 덕수궁 촉탁의인 가미오카의 구술담이 실렸다. 고종의 평상시 생활습관에 대한 것이다. 고종은 평소 새벽 3시에 침소에 들었고 오전 11시경 기상해 오후 3시경 아침식사를 하고 점심은 과자나 죽을 먹었으며, 저녁식사는 밤 11시에서 12시경에 했다고 했다. 키는153cm, 몸무게는 70kg 정도였으며 시력은 좋아서 노안이나 근시의 징후 없이 건강했다고 했다.

고종은 늦게 자고 야식을 반복해 소화력이 떨어지면서 소화제를 복용하고 수면제 격인 온담탕을 복용했다. 하지만 건강은 약이 아니라 생활습관에서 만들어진다. 늦게 자고 야식을 먹는 습관은 결국 중풍을 유발했고, 이는 3·1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 한 사람의 생활습관이 세상을 뒤흔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이렇게 올빼미 생활을 하는 데는 명성황후의 영향이 컸다. 비록 양자로 들어왔지만 자신의 오빠였던 민승호가 폭탄테러로 사망한 사건 이후 명성황후는 공포와 원망, 두려움으로 잠들지 못했다.

폭탄테러의 진상은 이렇다. 민승호의 생모가 죽고 난 후 상중에 함 하나가 배달됐다. 밀실에서 자물쇠를 열어 함을 확인하려는 순간 폭탄이 터져 민승호와 그의 아들, 할머니가 온몸이 숯처럼 타서 죽었다. 이 사건의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1895년 8월 6일 이노우에 가오루가 일본 외무성에 보고한 내용엔 그가 고종과 명성황후를 접견했을 땐 명성황후가 흥선대원군이 민승호를 죽였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왕실의 관행으로 본다면 왕비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마땅하다. 그러지 않는다는 건 고종의 동의 내지 묵인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한 술 더 떠 같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났다는 건 명성황후가 고종을 완전히 장악했다는 방증이다.

고종의 생활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명성황후의 간택 과정은 잘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이 명성황후 민씨가 고아였다고 알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 점은 ‘매천야록’에 소개된 글 중 고녀(孤女)라는 표현 탓에 잘못 알려진 것이다. 매천야록은 “김병학은 흥선대원군과 밀약하여 딸을 왕비로 간택하기로 하였다. 외척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임금이 즉위하자 흥선군은 대원군이 되었는데 곧바로 김병학을 배신하고 민치록의 고녀에게 국혼을 정하였다”고 기록했다.

낮밤 뒤바뀐 생활로 뇌일혈

근대의 초상화가 채용신이 그린 ‘고종 어진’(왼쪽)과 작가 정종미 씨의 작품 ‘명성황후.’

민승호 죽음 이후 불면

명성황후의 아버지 민치록은 민유중의 5대 종손인데 민유중은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로 가난하지도 않았고 혈혈단신도 아니었다. 또한 국혼 당시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므로 편모 슬하의 외동딸이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민치록은 10촌 형제가 되는 민치구의 둘째아들 민승호를 양자로 들였다. 민승호는 흥선대원군의 부인 민씨와 친누나, 동생 사이였다. 중종반정 이후 노론의 사대부들이 국혼을 놓치지 말자고 했던 만큼 흥선대원군이 얼마나 치밀하게 며느리를 들였는지 잘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고종 8년 11월 4일 명성황후는 원자를 낳았지만 원자는 항문이 막혀 죽고 만다. 실록의 기록은 간결하다. “오늘 해시(亥時)에 원자가 대변이 통하지 않는 증상으로 불행을 당하고 말았다. 산실청(産室廳·조선시대 왕비와 세자빈의 출산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관청)을 철수시키도록 하라.”

호사가들은 이런 원자의 불행이 흥선대원군의 음모로 산삼을 먹인 결과 나타났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태아에게 항문이 형성되는 시기는 임신 10주 이내인데, 명성황후가 산삼을 먹은 시기는 그 후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임신 맥(脈)이 나타나 임신 여부를 가릴 수 있는 시기는 임신 6~7주가 지나서이며, 입덧은 아무리 빨라도 5주 정도 지나야 나타난다.

1/4
이상곤│갑산한의원 원장·한의학 박사
목록 닫기

낮밤 뒤바뀐 생활로 뇌일혈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