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회장은 이력도 남다르다. 중졸 학력으로 친환경·자원재활용이라는 21세기형 신사업을 일궜는가 하면, 늦깎이 대학생이 되더니 환갑이 넘은 나이에 대학원에 진학했다. 경영철학도 특이해 직원들에게 독서와 학습을 강요한다. 영업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학습 실적이 나쁘면 승진을 안 시킨다. 한 달에 한 번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직접 인문학 강의도 진행한다. 젊은이들 유행어로 ‘뭐ㅇ미?’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小平小道를 거닐다
▼ 덩샤오핑 평전을 펴냈다.
“중국에서 15년 정도 사업을 하면서 많은 중국인을 만났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인물이 세 명 있었다. 저우언라이(周恩來)와 덩샤오핑, 마오쩌둥(毛澤東)이다. 저우언라이는 중국인의 어머니로, 덩샤오핑은 중국인을 먹고살게 해준 지도자로, 마오쩌둥은 중국인을 해방시킨 사람으로 존경을 받았다. 그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 많이 들어 관심을 갖고 자료를 모았다. 5년 전 저우언라이에 대한 책을 썼고, 이번에 덩샤오핑 평전을 완성했다. 앞으로 마오쩌둥에 대한 책도 쓸 계획이다.”
▼ 정치인이야 중국 지도자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겠지만, 기업가가 사회주의자에게 관심 갖는다는 게 뜻밖이다.
“덩샤오핑은 자본주의 DNA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이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혼합해 중국식 사회주의라는 독특한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정치사상과 관계없이 그분 인생 자체가 훌륭해 경영인으로서 배울 점이 많다.”
▼ 어떤 점이 그런가.
“그는 자신이 가는 길이 옳으니까 지금은 어려워도 반드시 잘될 거라는 낙관을 가졌다. 막연한 낙관이 아니라 신념이 있는 낙관이었다. 그게 경영자의 덕목이 아닐까 싶다.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덩샤오핑 같은 분도 있는데 이 정도 시련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위안을 하며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 책까지 쓴 이유는.
“젊은 친구들에게, 그리고 은퇴를 준비하는 50대들에게 새로운 인생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는 70세가 넘은 나이에 권력을 잡았으며, 20년 동안 나라를 잘 이끌어갔다. 나이 들어서도 값진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들려주고 싶었다.”
▼ 책 제목 ‘소평소도(小平小道)’는 무슨 뜻인가.
“덩샤오핑이 걷던 오솔길을 말한다. 덩샤오핑은 문화대혁명으로 난창에 귀양을 갔는데, 홍위병들이 해코지를 할까봐 저우언라이가 군부대 안에 머물게 했다. 군부대에서 그가 일하는 공장으로 가는 길이 2km 남짓한 오솔길이었다. 베이징대를 나온 엘리트 아들이 홍위병들에게 맞아 불구가 됐다. 자신도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한 상태에서 3년 4개월을 그 길을 걸었다. 보통 사람이었다면 좌절과 절망의 길이었겠지만, 그는 그렇지 않았다. 라디오 하나 없는 노동자들의 빈곤한 삶에 마음 아파하며 오직 중국 인민을 잘살게 할 구상만 했다. 1978년 권력에 오른 그가 중국을 개혁한 기본 구도는 바로 그 길을 걸으며 구상한 것이다. 지난해 여름 나도 그 길을 걸으며 그의 삶을 돌이켜보면서 나태해졌던 마음을 다잡고 힘을 얻었다.”
그는 오랜 시간 덩샤오핑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웬만한 전문가 못지않은 깊은 식견을 느낄 수 있었다.
114정신
김 회장은 원래 중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였다. “집이 가난했던 것도 있지만 공부를 안 한 것도 이유였다”며 웃었다. 그러다 끌려간 군대에서 그는 인생의 전환을 맞는다.
“밤에 보초를 서면서 이런 생각 저런 생각하다 나를 돌아보게 되었다. 배운 것도 없고, 집에 돈도 없고, 부모님은 연로하고, 어디 의지할 데도 없고…, 퍼뜩 이렇게 살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무작정 책을 보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부터 시작해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독파했다. 스스로 깨우치는 것만큼 좋은 스승은 없었다. 당시 부대장이 내가 공부하는 걸 좋게 생각해 말뚝보초를 서게 했다. 아침에 나가 저녁까지 12시간 동안 계속 보초를 서면서 책만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