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적 패션모델이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

여성할례를 고백해 세상을 바꾼 사막의 꽃 “운명에 맞서지 않으면 운명은 언제나 당신을 나락으로 잡아끈다”

세계적 패션모델이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

1/6
  • 소말리아 유목민 소녀에서 세계적 패션모델이 됐다는 점에서 현대판 신데렐라인 와리스 디리.
  • 그러나 그녀의 미덕은 극적인 신분상승을 일궈낸 인생역전의 주인공이라는 점이 아니라 여성할례라는 비극적 경험을 세상에 고백해 할례문제를 세계적 인권이슈로 만들어냈다는 데 있다.
공병호씨는 최근 펴낸 ‘대한민국 성장통’이란 책에서 지금 이 시대 대한민국 사람들이 느끼는 고통과 불편함의 근원이 ‘당연히 이 정도는 (월급을) 받아야 한다’거나 ‘당연히 이 정도 생활수준은 유지해야 한다’는 기대수준에 있다고 꼽는다. 그는 “한국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과거보다 아주 잘살게 되었는데 이런 소리를 하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화를 내는 사람이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객관적인 수치를 들이댄다.

알다시피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만달러 안팎이다. 글로벌리서치리스트라는 웹 사이트를 이용해 계산해보면 이 소득수준은 전세계 부유층 인구의 상위 11%, 다시 말해 약 60억 지구촌 인구 중 6억6964만2941명 안에 든다. 또 우리 사회에서 매달 200만원을 버는 사람은 연봉 수준이 매우 낮다고 생각하겠지만 중국만 해도 대도시 대졸자 초임이 우리 돈으로 34만원, 대학원졸업자는 51만원에 불과하다.

좀 더 극단적인 사례로 들어가 보면 세계은행은 2004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 중 하루 1.25달러(1500원) 이하로 생활하는 절대 빈곤층이 무려 9억6800만명이라고 밝혔다. 하루 수입이 그보다 적은 사람을 포함하면 14억명이나 된다. 물론 사회적 격차는 벌어지고 있지만 시선을 우리 안이 아니라 바깥으로 돌리면 한국인의 삶이 그리 나쁜 상황이 아니라는 것, 오히려 꽤 괜찮은 상황이라고 공씨는 말한다.

물론 최악의 경우와 비교해 현재 상황이 낫다고 말하는 것에는 어폐가 있지만 공씨의 말대로 눈을 돌려 세계를 보면 아직도 문명과 물질의 혜택에서 소외된 지구촌 사람이 수도 없이 많다.

아프리카 소말리아에서 태어나 일약 세계적인 모델로 성공한 와리스 디리의 삶을 보면 연민과 함께 정말 우리는 행복한 나라에 태어났구나 하는 안도감이 든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와리스 디리는 소말리아의 유목민 소녀에서 세계적 패션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현대판 신데렐라다. 그러나 그녀의 미덕은 단순히 극적인 신분상승을 일궈낸 인생역전의 주인공이라는 점이 아니라 비극적인 경험을 솔직하게 세상에 털어놓아 다른 사람을 구해내고자 하는 의지에 있다. 다름 아닌 할례(여성 성기 절제)라는 참혹한 자신의 비밀을 세상에 고백해 할례문제를 세계적인 인권 이슈로 만들어내고 유엔 인권 특별대사로까지 임명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잠깐 소말리아가 어떤 나라인지 보자. 아프리카 동부 인구 800만명의 이 나라는 1991년 1월 시아드 바레 독재정권이 무너진 이후 지금까지 끊임없는 내전 상태에 있다. 유엔은 6월4일 수도 모가디슈 병원 세 곳에 최근 몇 주 동안 적어도 1400명의 내전 부상자가 입원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4분의 1 정도는 아이들이었다고 덧붙였다.

현재 소말리아 정부는 5300명의 아프리카 연합 평화유지군에 힘입어 수도 일부 지역만을 겨우 통치하고 있다. 국제 뉴스를 접하다보면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를 뒤지는 시민들의 모습이라든지 반군과 정부군 사이의 충돌과정에서 숨진 사람들이 거리에 늘어져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들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소말리아가 최근 들어 유명해진 것은 해적 때문. 소말리아 해적은 알카에다의 빈 라덴에 버금가는 지구촌의 골칫거리다. 이 나라 앞바다의 해적행위는 2008년 이후 폭증했다. 2004년만 해도 10건에 불과했던 민간 선박 피랍은 2008년 111건, 2009년 217건에 달했다. 인도양과 수에즈 운하를 낀 홍해를 잇는 이 지역은 연 3만척 이상의 선박이 지나며 세계 원유의 25% 정도가 움직인다. 3000㎞에 달하는 긴 해안선은 해적이 서식하는 데 더없이 좋은 조건이다.

해적들은 처음에는 고무보트를 타고 소총과 기관총만 사용하는 ‘생계형’이었으나 날이 갈수록 규모와 세력이 커졌다. 이들은 화물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선원을 인질로 잡아 석방대금을 현금으로 챙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해 인질 몸값으로 1억5000만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된다. 이렇다보니 소말리아에서 해적행위는 국민 70%가 지지하는 가장 큰 사업이자 일종의 지역공동체운동으로까지 간주되고 있다.

1/6
허문명│동아일보 국제부 차장 angelhuh@donga.com│
목록 닫기

세계적 패션모델이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