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 김동만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 김동만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 김동만
“박근혜 정부의 정책에선 ‘노동’이 실종됐어요. 소통이 없습니다.”

김동만(55)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신임(제25대) 위원장은 “정부가 노동을 무시한 채 일방통행식, 밀어붙이기식 노동정책으로 일관하면서도 대화를 하자는 건 노동계를 대화 파트너로 인정치 않고 들러리 세우는 것”이라며 노·정 관계 단절의 책임을 고스란히 정부에 돌렸다.

1월 22일, 조합원 93만6800여 명과 단위노조 3300여 개(2013년 12월 현재)를 거느린 한국노총의 새 수장(首長)으로 선출된 김 위원장은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다. 스스로는 강성(强性)임을 부인하지만, 주위의 시각은 그렇지 않다. 이미 “경찰의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침탈에 대한 정부의 사과 없이는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하지 않겠다”고 못 박은 데다 통상임금, 임금체계, 노동시간 단축 등 굵직한 노동 현안이 산적한 미묘한 시기여서 노·정 간 대화 재개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김 위원장은 또한 정부가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 현안을 다루기 위해 추진 중인 ‘임금·근로시간특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대신 현안을 다룰 기구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내 특별위원회 설치를 조만간 공식 제안할 것임을 밝혔다.

대화는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를 기본 조건으로 한다. 강경투쟁을 예고한 김 위원장이 3년 동안 이끌어갈 한국노총과 정부는 그간의 ‘평행선 대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옛 한일은행(현 우리은행) 노조 간부로 노동운동에 몸담은 김 위원장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전태일 열사 기념사업회 이사, 중앙노동위원회 근로자 심판위원, 한국노총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신동아 2014년 3월호

글·김진수 기자 jockey@donga.com 사진·홍중식 기자
목록 닫기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 김동만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