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이 우리 단체 생일입니다. 1991년 4월 29일 LA 흑인 폭동 때 한인이 본 피해가 컸어요. 힘을 모아 정치적 영향력을 키워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로스앤젤레스(LA),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뉴욕·뉴저지에서 한인 유권자 운동을 함께 시작했는데, 뉴욕·뉴저지만 유지되고 있어요. 현재는 뉴욕·뉴저지를 발판 삼아 LA, 샌프란시스코 등에 지역 조직을 꾸리려 합니다.”
그는 1996년 뉴욕 플러싱에서 한인유권자센터를 설립했다. 2007년 미국 하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한 일본군 강제 위안부 결의안에 그의 손때가 묻어 있다. 2008년에는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으로 변경하려던 미국 지명위원회 결정을 되돌리는 데도 기여했다. 버지니아의 동해 병기 법안 통과도 이끌어냈다. 뉴욕, 뉴저지에서도 동해 관련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0년엔 뉴저지 버겐카운티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를 세웠다.
“일본이 우리의 활동에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아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그간 일본은 고용한 로비스트만 이용해 의회에서 자신들에게 불리한 법안이 통과되는 것을 막는 정도였어요. 그런데 일본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젠 전략적으로 움직입니다. 버지니아 주의회에서 우리의 노력으로 동해 병기 법안이 통과될 때도 일본이 막으려고 시도했습니다. 뉴욕, 뉴저지에선 동해 병기 법안을 교육 관련 법안으로 상정해 통과를 추진 중인데, 굉장히 어렵습니다.”
위안부 결의안 ‘승리’
그는 뉴욕, 뉴저지 같은 대도시권에서는 일본의 간접 로비가 무섭다고 했다.
“일본이 합법적 로비스트를 통해 하는 일에 맞서는 것은 우리가 자신 있습니다. 우리는 풀뿌리 운동이니까요. 다른 나라 정부를 위해 일하는 로비스트와 시민의 힘의 경쟁에선 후자가 더 강하지만, 일본 기업의 로비에 맞서기는 버겁습니다. 일본 기업은 일본의 국익에 불리한 사안이 나타나면 알아서 움직입니다. 뉴욕에는 미쓰비시, 도요타 등 다수의 일본 기업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제2차 세계대전 때 전쟁을 통해 큰 기업이죠. 기업의 영향력을 이용해 간접 로비를 하는 겁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4월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끔찍하고 지독한(terrible, egregious) 인권침해”라는 발언을 내놓았다.
“오바마 대통령이 강경하게 말한 것은 하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한 위안부 결의안 덕분입니다. 미국에서 의회 결의는 역사적으로 사실이 입증됐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므로 거리낄 게 없는 거예요.”
미국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의결한 데는 한인유권자센터가 가랑비에 옷 젖는 방식으로 의원들을 접촉, 설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주도한 마이클 혼다 하원의원이 정치적 위기에 처했다”면서 그는 안쓰러워했다.
“혼다 의원은 7선 중진입니다. 그런데 일본계가 지지하는 후보 탓에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패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선거는 누가 돈을 많이 모았느냐가 중요합니다. 혼다는 훌륭한 분입니다. 역사의 진실, 인권, 평화를 위해 정치적인 손해를 감수했습니다.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혼다와 맞서는 인물은 연방 상무부에서 일했어요. 산업계 출신이어서 돈을 잘 모읍니다. 실리콘밸리 경기가 어려운데,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리라는 기대도 받고 있고요. 역사 인식에서는 일본에 비판적인데, 혼다 정도는 아니죠. 캘리포니아의 일본계가 보기에 아주 예쁜 것은 아니지만, 혼다보다는 훨씬 나으니까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혼다의 지역구인 캘리포니아의 한인 사회가 의리를 지키면 좋겠습니다. 한인들이 혼다 의원 지키기에 앞장서야 합니다.”
그는 1985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뉴욕시립대 헌터칼리지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앞서 언급했듯 1991년 LA 흑인 폭동 때 한인들이 일궈온 삶의 터전이 순식간에 무너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한인 사회의 정치력 신장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한인 유권자 운동 선구자
“미국에서 소수계 민족이 안정된 삶을 영위하려면 정치적인 힘을 갖추거나 정치적으로 보호받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정치적 영향력의 원천은 선거 때 행사하는 ‘표’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유대인 로비단체 미국·이스라엘공공정책위원회(AIPAC)에 참여하면서 그들의 로비 방식을 들여다봤다. 그들의 로비를 벤치마킹해 조직을 꾸리면서 표와 돈으로 움직이는 미국 의회의 작동 원리를 체득했다.
“가장 먼저 한인 유권자를 상대로 투표 참여 캠페인에 나섰습니다. 사전 등록을 해야 하는 등 절차가 까다로워 영어에 능숙하지 못한 한인 1세대의 투표율이 매우 낮았습니다. 특정 선거구에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 유권자가 1만 명이 넘으면 그 언어로도 투표 안내를 실시해야 한다는 규정을 발견한 후 당국에 요청해 관철시켰어요. 그 덕분에 1세대 어르신들이 투표자 등록을 하기가 수월해졌습니다. 2012년 총선 때 뉴저지의 한인 유권자 등록률은 53%, 투표율은 40% 수준입니다. 유대계의 등록률, 투표율은 각각 90%, 96%에 달합니다. 아직도 갈 길이 멀어요. 대만계만 해도 등록률 81%, 투표율 91%이거든요.”
그는 AIPAC의 활동에 철학적으로는 동의하지 않지만 한인 사회가 배워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AIPAC은 이스라엘 보호를 위해 미국이 아랍과 전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IPAC은 협상, 공조보다는 대결을 오히려 부추겨요. AIPAC의 목표는 600만 명이 넘는 미국의 유대인이 미국의 힘을 이용해 전 세계의 유대인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그 중심에 이스라엘이라는 국가가 있고요. 미국 대통령선거 때마다 AIPAC의 막강한 영향력을 실감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인종과 관련한 로비가 비판받는 분위기인데도, 정치인은 돈과 표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AIPAC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