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선양(瀋陽) 주재 북한 통일전선부(통전부) 관계자들이 탈레반 인질사태에 대해 조사하고 다녔다. 그들에게서 인질 1인당 대가가 200만달러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8월 초. 탈레반 쪽 정보를 얻기 위해 정보기관들의 촉수가 그 쪽으로 향했다. 당시만 해도 2차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된 비용 이야기는 수면 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인질 문제가 해결된 뒤부터 중국 쪽에서 정상회담의 대가설이 나오기 시작했다. “1000만~2000만달러 정도 받는다고 별 문제는 없을 거야!” 하는 식이었다.
▼ 상황 2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이 끝난 뒤(10월10일 이후)
2차 남북정상회담이 끝난 직후 북측의 각 부서는 분위기 탐색을 위해 중국 선양, 베이징 등지로 나와 정보를 탐색했다. 이때 중국교포 K씨는 통전부 고위간부인 A씨와 식사 도중 놀라운 이야기를 듣는다. “만일 남측이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돈을 보내왔다면 차기 정부에서도 특검이 열려야 하느냐”는 질문이었다. 이를 일종의 ‘역정보 흘리기’라고 생각한 K씨는 대수롭지 않은 듯 “줬다면 특검인데, 금액이 문제 아니겠느냐”라고 답했다. 그러자 A씨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돈이 오지 않았다면 이런 이야기를 왜 물어보겠나.”
▼ 상황 32007년 12월 초순(대선 전) 평양을 방문하고 베이징으로 나온 재일교포 총련 C씨가 지인들과 만난 자리에서 털어놓았다는 이야기.
“노무현 대통령도 돈을 주고 정상회담을 했다더라. 몇 차례 확인을 해봤는데, 금액을 털어놓지는 않지만 돈을 준 건 사실이라고 한다. (북측 관계자들이) 금액 이야기에 대해선 고개를 흔들다가 난데없이 탈레반 인질사태 얘기를 꺼내서 놀랐다. 국정원에 대해서도 얘기하더라.”
▼ 상화 42007년 12월19일 대선 후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압승한 직후 베이징에 나와 있던 북측 정보 관계자가 지인들에게 털어놓았다는 말.
“이렇게 되면 정상회담 때문에 내년에도 또 특검이 있겠구먼. 받아도 탈, 안 받아도 탈이니 걱정이다. 내년에도 북남관계가 잘되어야 할 텐데, 없는 나라가 돈 몇 푼 받은 것 가지고 또 말이 많을 게 걱정이다.”
“뒷돈 줬다”… 무성한 소문들
지난해 10월2~4일 평양에서 열린 2차 남북정상회담의 성사 배경에 대해 그동안 전문가들 사이에 이런저런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그 핵심 중 하나는 ‘북이 과연 아무런 대가 없이 정상회담을 수용했겠느냐’는 점이다. 2000년 6월 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한은 5억달러를 받아 챙겨 노무현 정부 출범 직후 대북송금 특검이 실시된 바 있다.
북한체제의 특징에 대해 웬만큼 아는 사람들은 북한 쪽 입장에서 절박한 이유가 없는 한 “김정일 장군을 ‘알현’하기 위한 성의 표시는 예외 없는 원칙”이라고 말한다. 이런 마당에 2007년 10월에 열린 2차 정상회담이 노무현 정부의 주장처럼 ‘조건 없이’ 이뤄졌다고는 상상하기 어렵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