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정권 들어 지표상 노사관계는 개선됐다. 그러나 이는 노 정권의 성과라기보다 노조파업에 부정적인 사회 분위기와 민주노총의 노사정위원회 불참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그럼에도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실질국민소득(GNI)의 증가율은 2.2%에 불과했고 체감실업률은 8% 가까이 됐다. 불평등도와 양극화지수도 악화돼 서민빈곤층의 생활은 더욱 어려웠다. 서민빈곤층을 위한 정부라고 했지만 경기침체와 불평등 심화를 동시에 초래해 서민빈곤층을 더 힘들게 만든 것이다. 기업들도 수출기업과 IT기업들은 세계경제와 중국경제의 호황 덕에 대체로 양호한 실적을 올렸지만, 내수기업과 비(非)IT기업들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 노무현 정권의 반(反)기업정서와 노사관계 불안으로 인해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의욕을 잃어 5년 내내 체감경기가 좋지 않았다.
1960년대 이래 모처럼 찾아온 세계경제의 최호황기를 맞아 우리 경제가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음에도 노 정권의 과거지향적·국론분열적 국정운영, 반기업·반시장적 경제정책, 성장과 경쟁보다는 분배와 평준화·균형발전을 더 중시하는 정책 탓에 그 기회를 살리지 못한 안타까움이 있다. 다시 말해 더 잘할 수 있었음에도 정권에 내재된 강한 반기득권 정서로 인해 그렇게 하지 못한 5년이었다. 2007년 대선은 이러한 노무현 정권의 국정실패에 대한 준엄한 심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5년 동안의 경제성과를 거시경제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다양한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구분해 그 내용을 따져보고 노 정권 경제성과의 시사점을 분석하기로 한다.
‘표1’에서 보듯이 우리 경제의 GDP 기준 경제성장률은 노무현 정부 출범 첫해인 2003년에 3.1%로 급격히 하락한 이후 5년 내내 잠재성장률(4.8∼5%)을 하회했다. 수출의 지속적인 두 자릿수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를 포함한 내수의 부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자물가와 실업률 모두 정권 출범 이전보다 높아졌지만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연도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
경제성장률 | 7.0 | 3.1 | 4.7 | 4.0 | 5.0 | 4.7 | |
민간소비 | 7.9 | -1.2 | -0.3 | 3.6 | 4.2 | ||
설비투자 | 7.5 | -1.2 | 3.8 | 5.7 | 7.6 | ||
건설투자 | 5.3 | 7.9 | 1.1 | -0.2 | -0.4 | ||
대외 거래 | 수출 | 13.3 | 15.6 | 19.6 | 8.5 | 12.4 | |
수입 | 15.2 | 10.1 | 13.9 | 7.3 | 11.3 | ||
경상수지 | 54억달러 | 120억달러 | 281억달러 | 166억달러 | 61억달러 | ||
소비자물가 | 2.7 | 3.6 | 3.6 | 2.8 | 2.2 | ||
소비자물가 | 3.1 | 3.6 | 3.7 | 3.7 | 3.5 | ||
주: 2007은 2007년 12월 현재 전망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