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문재인 부산 강동洞 부동산 투기 의혹

“퇴비창고 있는 집과 논 文辯이 농사지려고 샀겠능교?”

문재인 부산 강동洞 부동산 투기 의혹

1/3
  • ● 부산항 개발 수립 두 달 前 대지·논 346평 매입
  • ● 개발제한구역 묶이기 전 팔아…매수자는 울상
  • ● “1980년대 후반에 장기투자처로 인식”
  • ● 주민들 “文, 농사짓는 것 한 번도 본 적 없다”
  • ● 몇 해 전 공시지가로 재산 ‘다운 신고’ 의혹도
문재인 부산 강동洞 부동산 투기 의혹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1989년 5월에 산 농가(작은 사진)와 논. 현재는 조립식 공장이 들어섰다. 공장 터 주변으로 펜스가 설치된 곳이 논이 있었던 곳이다.



10월 5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은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의 경남 양산시 매곡동 자택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1998년 지어진 양산 자택은 2008년 1월 문 후보가 사들인 것으로, 대지 2635㎡(798평)에 본채(243.1㎡), 작업실(86.3㎡), 사랑채(38㎡) 등 3개 건물로 이뤄졌다. 이 중 한옥인 사랑채 처마 일부(5㎡)가 하천 위를 지나가 미등기 불법 건축물로 확인됐다. 양산시청이 철거를 권고했지만, 문 후보는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 중이다. 일부에선 집을 좀 고치면 될 텐데 굳이 소송까지 하는지 모르겠다는 소리도 나온다.

소유권 이전 등기 일자를 놓고 ‘양도세 회피용’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 집의 등기부등본상에는 매매 계약은 2008년 1월로 돼 있으나 소유권 이전 등기는 2009년 2월로 돼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2008년 초 부산과 서울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두 채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던 문 후보가 3주택자 양도세 중과세(60%)를 피하려 한 것”이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2008년 4월 퇴직 공직자 재산공개 때도 이 집은 문 후보의 재산으로 신고 되지 않았다.

문 후보 측은 “2008년 1월 매도자가 보유하고 있던 양산 주택과 문 후보가 갖고 있던 부산 집을 맞바꾸고 차액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뒤 2월 말 양산 집에 입주했다”며 “하지만 10년째 미등기 주택이었던 데다 매도자가 문 후보의 집을 인수하지 못하게 되면서 당초 계약이 어그러졌다”고 했다. 부산 집을 팔아 양산 집값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됐는데 집이 잘 팔리지 않아 2009년 1월에야 대금을 치르고 등기했다는 해명이었다.



문 후보는 자신의 책 ‘문재인의 운명’ 380쪽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세상과 거리를 두면서 조용하게 살고 싶었다. 스스로를 유배 보내는 심정이기도 했다. 그래서 시골에 살 곳을 찾았다. 경제적 사정도 있었다. 원래 저축해놓은 게 많지도 않았지만 청와대 있는 동안 다 까먹었다…그래서 고른 곳이 지금 살고 있는 양산 매곡이다. 헌집을 하나 샀다. 마당이 널찍해서 좋고 주변의 환경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퇴비창고 있는 ‘진짜 헌집’

이 ‘헌집’의 구입가격은 총 9억 원이었다. 평소 소탈하고 서민적이라는 문 후보 이미지와 ‘9억 헌집’은 맞지 않다는 얘기가 나왔다.

그런데 문 후보는 양산 매곡동 헌집을 사기 전인 1989년 5월에 346평(1141㎡)짜리 ‘진짜 헌집’과 논을 산 적이 있다. 부산 강서구 강동동 4716-6번지의 이 집은 대지 654㎡에 목조 슬레이트로 지은 주택(63.5㎡)과 블록 슬레이트로 지은 창고(70.8㎡), 퇴비사(25.9㎡) 3개 건물이 들어서 있다. 퇴비사는 가축 분뇨와 짚, 톱밥 등을 쌓아 썩혀서 거름으로 이용하기 위해 마련해둔 창고다. 그는 이 집을 사면서 집을 둘러싼 논 487㎡도 함께 샀다. 퇴비사까지 있는 집과 논. 문 후보는 고된 변호사 일을 그만두고 농부가 되려 했을까.

10월 8, 9일 부산 강서구청에서 차로 30분을 달려 도착한 이곳은 아스팔트 도로를 벗어나 차 한 대 다닐까 말까 한 흙길을 따라 200m는 들어가야 도착할 수 있었다. 문 후보의 책 내용처럼, 탁 트인 김해평야 한가운데서 세상과 거리를 두면서 조용하게 살기에는 안성맞춤이었다. 넓은 황금벌판 위로 김해공항에서 날아오르는 비행기가 오후의 감미로움을 더했다. 집과 논은 통합창원시, 김해시와 가까운, 낙동강 삼각주 서쪽 끝에 자리한다. 집을 중심으로 논이 ‘L’자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현재는 주택과 퇴비사가 있던 자리에 조립식 공장 건물이 들어섰고, 논이 있던 자리는 텃밭으로 바뀌었다. 대략 20m 간격으로 집과 조립식 공장 건물이 듬성듬성 눈에 띄었다.

문 후보는 자신의 책에서 “1988년 4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회 입성으로 ‘일은 바빠졌지만 삶에서 가장 안정된 시기’”라고 회고한다. 그는 ‘안정된 시기’에 이 집과 논을 샀다. 1988년 6월에는 제주 북제주군 한경면 청수리 1844번지 임야도 샀다. 4485㎡의 임야를 자신을 포함해 4명이 샀는데, 지금도 1121.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부산의 인기 변호사가 김해와 가까운 강서구에서 논농사를 짓고, 가끔 제주도에 가서 조림을 했을 수는 있다. 상식적으로 보면 농사를 짓지 않는다면야 퇴비사까지 있는 집과 논을 살 리 만무하다. 그러나 기자의 이런 생각은 취재를 하면서 차츰 바뀌어갔다.

동의대 사건 변호 때 땅 매입

집과 논을 산 때는 문 후보가 ‘변호사하는 동안 맡은 형사사건 중 규모가 제일 큰 사건’이라고 한 부산 동의대 방화사건 변호에 진력하고 있을 때였다. 동의대 방화사건은 1989년 5월 3일 동의대생들이 도서관으로 진입하는 경찰을 저지하기 위해 던진 화염병이 대형화재로 번져 경찰관 7명이 숨지고 학생과 경찰 11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이다.

“민변 변호사들에게 부탁해 공동 변호인단을 꾸렸고 사건을 분담했다. 그래도 사건 전체, 피고인 전체를 총괄하는 사람이 필요했다. 내가 그 역할을 맡지 않을 수 없었다. 동의대 사건은 8건으로 나눠 재판했지만 나는 전 재판에 다 참여했다. 매 건마다 하루 종일 재판을 하다시피 했다. 재판 준비가 힘들기도 했지만 재판하는 날이면 맡고 있는 다른 사건을 재판할 시간 여유가 없었다. 정말 고생 많이 했다.”(‘문재인의 운명’ 85쪽)

문 후보는 1989년 5월 22일 이 집과 논을 샀다. 부산 동의대 사건으로 바쁜 와중에 집과 논을 보러 다녔다는 얘기다. 대리인이 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농사를 지으며 조용히 살기 위해 마련한 집은 아니었다.

1/3
배수강 기자| bsk@donga.com
목록 닫기

문재인 부산 강동洞 부동산 투기 의혹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