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인터뷰 내내 새누리당 7·14 전당대회 당권 경쟁자인 서청원 의원을 자극하는 말을 되도록 자제했다. 옛 상도동계 정치동지이자 선배인 서 의원에 대한 호칭도 ‘서청원 선배’라고 깍듯이 붙였다. 대신 세월호 참사로 어려움에 처한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집권여당을 어떻게 이끌어나갈지 청사진을 밝히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다만 서 의원 측에서 ‘박근혜 마케팅’을 하면서 당 지도부 경선을 ‘친박(親朴) 대 비박(非朴)’ 대결구도로 몰아가는 데 대해선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 아울러 청와대 일부 참모들이 자신을 견제하기 위해 모함까지 서슴지 않는다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런 인식은 한때 절친한 사이였던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 경선 초반 판세가 유리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 여론이나 당원들 사이의 분위기가 좋은 거 같네요. (쓴웃음을 지으며) 그런데 이른바 ‘박심’을 (서 의원 측에서) 너무 많이 팔고 있어서… 다들 ‘어느 말이 맞는가’ 중간에서 눈치를 보는 그런 게임이 시작됐네요.”
박심(朴心) 그만 팔아야
▼ ‘박심’의 실체가 있다고 보나요.
“우리가 박 대통령을 잘 알잖아요. 당 대표 경선에 이래라저래라 할 분이 아니죠. 실체가 없는데 마케팅 대상으로 이용만 되는 거죠. (‘휴~’ 하고 긴 한숨을 내쉰 뒤) 집권여당 대표를 선출하는데 ‘박심’을 팔아서야 되겠어요? 모든 일이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하는 건데, 일부 후보가 ‘박심’을 맹렬하게 팔고 있어요. ‘박심’ 없이 혼자 힘으로는 (경선 승리에) 자신이 없다는 의미가 될 것도 같고….”
새누리당은 지방선거 막바지에 박근혜 마케팅으로 승부를 걸었다. ‘박근혜 정부에 한 번만 더 기회를 달라’고 했다. 윤상현 사무총장, 박대출 대변인 등 당직자들은 6월 1일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도와주세요’라고 쓴 팻말을 들고 1인 시위 형태로 지지를 호소했다. 김 의원 역시 지역구인 부산 영도에서 ‘도와주십시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김무성’이라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 지방선거 때는 여당 전체가 박근혜 마케팅을 벌이지 않았나요?
“부끄럽더라고요. 대통령에게 미안한 거죠. 나 스스로 ‘아직도 대통령을 팔아야 되느냐’ 하는 자책도 했어요. 이제 당이 자생력을 갖고 홀로서기를 할 때가 됐어요. 언제까지나 홀로 서지도 못하는 무기력한 정당으로 추락할 수만은 없죠.”
▼ 서 의원 진영에서는 왜 ‘박심’ 마케팅을 하는 걸까요.
“허허… 그게 유리하다고 판단하는가 보죠. 서청원 선배 본인이 그렇게 한다기보다는 참모들이 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 서 의원이 당 대표 경선 맞상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나요.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사법처리를 당했던) 서청원 선배가 지난해 경기 화성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면서 제게 ‘억울해서 못 살겠다, 명예회복을 꼭 해야겠다’고 하시더군요, 저는 ‘네 형님, 명예회복 하셔야죠’라고 했어요. 그때 제게 ‘나는 이미 12년 전에 당 대표를 했는데 다시 할 생각은 전혀 없다. 내가 당신과 대표 자리를 놓고 경쟁하겠느냐’고 한 적은 있어요.”
▼ 서 의원 본인은 당 대표 뜻이 없는데 특정 세력이 ‘김무성 견제’를 위해 경선 출마를 권유한 걸까요.
“그건 모르겠지만, 서청원 선배 본인이 언론 인터뷰에서 ‘나는 생각이 없었는데 주변에서 자꾸 나가라고 해서 출마했다’는 말씀을 했다더군요.”
서 의원은 6월 12일 한 방송에 출연해 당 대표 출마 이유를 묻자 “주변에서 하도 ‘당신이 적격자다. 지금 국가에 어려운 일이 많으니 경험을 쏟아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또 당에서도 많은 의원이 그런 요청을 했다”고 답변했다.
▼ 오랫동안 봐온 서 의원의 가장 큰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던가요.
“서청원 선배는 친화력이 매우 좋고, 매사에 적극적이죠. 순발력이 있고 그밖에 여러 장점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