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의 확장
그러나 순수현재 외에 현재와 과거, 미래에 걸쳐 있는 사실을 말할 때도 현재형을 쓴다.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러한 사실을 표현하는 경우다. ‘현재의 확장’인 셈. 다음 6가지 경우가 대표적이다.
(1) 진리
The sun rises and the sun sets, and hurries back to where it rises. The wind blows to the south and turns to the north; round and round it goes, ever returning on its course. All streams flow into the sea, yet the sea is never full. To the place where the streams flow, there they flow again.
(해는 뜨고 지고, 떠오른 곳으로 서둘러 돌아간다. 바람은 남으로 불다가 북으로 돌아간다. 돌고 돌아 계속해서 불던 곳으로 돌아간다.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흐르되 바다를 채우지는 못한다. 모든 강물은 흘러나온 곳으로 되돌아가 다시 흐른다.) 솔로몬(기원전 4세기)
(2) 금언
속담이나 격언은 시대를 가리지 않는다. In headaches and in worry vaguely life leaks away.(삶은 근심과 걱정을 통해 희미하게 새어나간다.) 영국계 미국 시인 오던(Wystan Hugh Auden·1907~1973)의 말이다. 시인은 삶(life)을 새는 용기에 담긴 액체에 비유하고 있다. 이 표현에서 우리는 삶이란, 깨진 그릇에서 물 새듯 태어난 날부터 조금씩 사라지고 마는 것임을 느낄 수 있다. ‘The mills of God grind slowly but surely’란 경구는 ‘하늘의 벌은 늦어도 반드시 온다’ 혹은 ‘하느님의 맷돌은 더디지만 곱게 갈린다’ 두 가지 의미로 통한다.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는 ‘직업을 자주 바꾸면 돈이 안 붙는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가 하면 ‘늘 활동하는 사람은 침체하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쓰인다. 전자와 같은 의미의 표현으로는 Plant often removed can′t thrive(자주 옮겨 심는 나무는 잘 자라지 않는다)가 있다.
(3) 소유
I have a house(나는 집을 소유하고 있다)에서 have는 과거 현재 미래에 걸친 장기간의 소유상태를 말한다. I have hands which clamor to be put to use, arms which will not hang idle.(나에게는 사용해달라고 아우성치는 손이 있고, 한가하게 매달려 있으려 하지 않는 팔이 있다.)
(4) 성질
[작문] 그는 화를 잘 내는 사람이다.
(1) He loses his temper.
(2) He gets out of his temper.
temper에는 ‘화’라는 뜻도 있고 ‘참을성’이라는 의미도 있다. 전자는 ‘참을성을 잃다’란 의미고, 후자는 ‘참을성으로부터 빠져나오다’란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