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우리나라 노인 기준연령은 만 65세. 65세가 노인의 기준이 된 것은 1889년 독일에서 비스마르크가 세계 최초로 노령연금을 도입하면서다. 당시 독일의 평균수명은 40세로, 65세 이상은 드물었다. 1950년대 말 유엔 총회에서 노인 기준을 65세 이상으로 의결하면서 보편적 기준이 됐다. 하지만 60년이 지난 지금, 선진국은 사실상 노인 연령기준을 바꾸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66~75세를 ‘younger old’, 즉 젊은 축의 노인으로 본다. 75세 이상을 ‘older old’라고 해서 진짜 노인으로 분류한다. 유엔은 80세 이상을 ‘older old’라고 일컫는다.
어버이날인 지난 5월 8일, 이심(76) 대한노인회 회장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노인 연령 상향조정 공론화’를 제안했다. 대한노인회는 전날인 5월 7일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노인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상향 조정하는 공론화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를 두고 사회적 찬반논란이 분분하다. 논란의 중심에 선 이심 회장을 만났다.
1969년 설립된 대한노인회는 전국 16개 시·도 연합회와 1개 직할지회, 244개 시·군·구지회, 6만4000여 개의 경로당과 300만 회원을 거느린 전국 최대 노인 조직이다. 전체 노인의 절반이 회원인 셈이다. 이 회장은 2010년부터 대한노인회를 이끌고 있다.
경로당이 노인회 ‘뿌리’
▼ 대한노인회와의 인연은.
“2005년경 전임 안필준 회장이 노인신문이 필요하다며 내게 제작을 부탁했다. 적자가 커 그만두려는데 자식들이 ‘아버지도 노인이니까 노인을 위해 봉사한다 생각하고 계속하는 게 좋지 않겠냐’ 해서 계속 만들었다. 그게 인연이 돼 대한노인회 부회장을 맡게 됐다. 전임 회장이 갑작스레 작고하면서 선거를 했는데, 회원들이 나를 선택했다. 잡지사를 운영한 경영 마인드로 노인회를 잘 이끌어주길 바란 것 같다.”
▼ 대한노인회는 정부 산하 단체인가.
“순수 사단법인이다보니 노인을 위한 사업을 벌이면서 어려움이 많았다. 대한민국 노인의 권익 신장, 복지 증진,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 지원법이 필요하다는 걸 실감했다. 그래서 회장에 취임한 후 ‘대한노인회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대한노인회법) 제정에 주력했다. 그 결과 2010년 5월 여야 합의로 법률이 국회를 통과했고, 2011년 3월부터 시행 중이다.”
▼ 대한노인회는 어떤 일을 하나.
“전국 270여 개 취업센터를 통해 연 3만 명에게 취업을 알선한다. 정부 사업이 아닌 순수 민간기관 취업 숫자가 그렇다. 자신의 재능을 기부하는 자원봉사센터도 운영하는데, 3만 명 정도가 활동한다. 노인 일자리사업으로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老老)케어사업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연탄을 갈 수 없어 추운 방에서 생활하는 노인이 있으면 주위에 사는 건강한 노인이 연탄불도 갈아주며 챙겨주는 식이다. 케어하는 노인과 케어받는 노인 모두 행복해지는 사업이다. 이 밖에 경로당 지원사업도 한다.”
대한노인회는 경로당이 뿌리라고 했다.
“처음 설립할 때부터 경로당을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대한노인회법에도 ‘회원은 전국에 있는 경로당 어르신을 회원으로 한다’ ‘대한노인회는 경로당을 조직관리한다’ ‘정부나 지자체는 거기에 필요한 예산을 뒷받침한다’고 돼 있다. 경로당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특별한 사랑방 모임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우리 경로당 조직을 배우러 올 정도다. 앞으로도 경로당을 기본으로 노인정책을 만들어갈 것이다.”
이 회장은 “나를 인터뷰하러 온 게 노인 기준연령 상향 논란 때문 아니냐. 본론으로 들어가자”며 웃었다.
▼ 2011년에도 노인 기준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올리자는 주장이 있었다. 그런데 당시엔 반대하지 않았나.
“당시에도 65세를 노인이라 하기엔 너무 젊다는 인식이 많았다. 그래서 기준연령을 70세로 올리자는 주장이 제기됐는데, 그때도 무조건 반대한 게 아니었다. 65~70세 인구가 170만 명이다. 아무 대책도 없이 그분들의 노령연금과 의료혜택을 갑자기 없애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기준연령을 올리려면 장기적 계획을 세우라고 이야기했다. 그런데 대한노인회가 상향 논의 자체를 반대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더 이상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가 먼저 연령 상향 논의의 물꼬를 터줘야 한다고 생각해 이번에 공식적으로 이야기를 꺼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