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2012년 18대 대선공약으로 발표하고, 당선 후인 2013년 5월 방미 기간 중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이 구상의 추진을 구체화했다. 통일부는 공원 조성 종합계획 수립과 대상지 조사 등을 조만간 끝내고 북측과 대상지 선정 등을 논의한다는 계획이지만, 북한의 참여 여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협의가 지연되면 공원 조성은 장기화할 수도 있다.
경기도는 이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2013년 8월 DMZ세계생태평화공원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경기도-강원도-민군-연구기관 합동 추진단을 구성해 유치활동도 활발하게 벌여왔다. 지난해 10월 스위스 제네바 유엔사무국 연설, 11월 베이징 국제회의 개최, 경기도-강원도 일대 DMZ세계생태평화공원 다핵거점 조성안 발표 등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였다.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지사 선거 공약에 ‘미래도시 경기북부’ ‘NEXT통일’을 담아 이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DMZ는 남북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주변에 폭 4km, 길이 248km로 조성된 요충지다. 분단 62년의 세월 속에 천혜의 자연을 간직한 공간이 그곳에 만들어진 것이다.
독일 통일도 구 동독 소재 라이프치히(Leipzig) 시에 있는 성 니콜라이교회 성도들이 시작한 작은 촛불기도회가 대규모 집회로 확산되면서 이뤄졌듯, DMZ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사업도 분단 62년에 쌓인 정치적, 이념적 적폐(積弊)를 용기와 관용, 화합으로 녹여내야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국가적, 국민적 결단이 필요하다.
공존의 경기, 화합의 최적지
분단 후 62년이 지난 대한민국은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명실상부한 원조 공여국이 됐고, 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으며, 경제 규모 세계 15위, 무역 순위 세계 7위의 경제대국이 됐다. 반면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이자 마지막 냉전지역이다. DMZ는 남북 간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조성됐지만, 현재는 남북한 군사력의 70%가 집중된 일촉즉발의 위험지역이다.경기도는 이러한 동아시아, 그리고 그 가운데 있는 한반도의 한복판에 자리한 최대의 지방자치단체다. 서울을 포함할 경우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사는 곳이며, 유소년, 청장년과 노년, 전통과 첨단, 국내와 국제, 역사와 미래, 그리고 남과 북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대립을 화합으로 바꿀 장소다. 그렇기에 DMZ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최적의 장소다.
물론 북한이 호응하지 않는 가운데 추진돼 논란의 여지는 있다. 하지만 미래 대한민국의 운명은 남북관계와 국제관계 그 가운데에서 결정될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그 관계는 현재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이제는 서로 간의 갈등을 씻어내야 한다. 적폐가 가득한 DMZ에서 우리 손으로 그 여얼(餘孼)을 걷어내는 첫 삽을 떠야 한다. 통일과 평화의 길에 DMZ세계생태평화공원이 다리가 되고 디딤돌이 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