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카페의 첫 주인은 신촌서 같이 어울리던 연극패거리 중의 하나였는데 처음엔 사무실로 이곳을 얻었다가 비용조차 빠지지 않자 쓰던 소파와 의자 몇 개를 들이고는 장사를 시작한 것이다. 누구에게 부탁한 휘호인지 ‘예방(禮訪)’이라는 제법 의젓한 한자 현판도 안에다 걸고 벽에는 역시 춥고 배고프던 시절의 배우 M이 벽화 삼아 그려넣은 만화가 있었다. 내가 거길 자주 들른 것은 첫 주인이 카페를 넘기고 이탈리아로 오페라 공부를 하러 떠난 이후부터다.
몸집이 작은 소녀 타입의 두 번째 주인은 어쩌다 이쪽에서 ‘장미’를 한번 청해 들은 뒤부터 카페에 들어서기만 하면 그 노래를 틀어주었다. 나나 무스쿠리의 직직 긁히는 LP 음반이었는데, 남의 피곤과 외로움을 파고드는 그 멜로디가 유독 심상치 않아 아마 좋아하게 된 것 같다. ‘종일 귀를 기울였다’는 소리도 이런 친절함의 과장 내지 왜곡에 지나지 않는다. 서로 코빼기를 맞대다시피 해야 하는 실내 너비며 분위기나 당돌할 정도로 조숙해 노상 카페에서 살다시피 하던 여섯 살짜리 그 집 딸아이 때문에, 자리에서 일어날 무렵이면 피로가 말끔히 가시곤 했다.
‘장미’는 제니스 조플린이 처음 부른 모양이지만 들은 적이 없다(혹은 그를 두고 만들어진 노랜지도 모르겠다). 마약과 광기로 무대에서 쓰러진 조플린의 짧은 일대기를 그린 영화 ‘로즈’에서 그의 역을 맡았던 베트 미들러의 노래가 오리지널인 걸로 알고 있지만, 가객마다 맛이 다르다. ‘나 홀로’의식을 물고늘어지는 나나 무스쿠리의 것은 물론이고 북구 언어로 부르는 시슬의 것이나 예술파답게 멜로디를 넓히는 주디 콜린스, 발음이 코에 걸려 되레 철학적인 느낌의 스즈키 시게코, 반주 없이 부르는 킹 싱어즈, 국내의 록 메탈그룹으로 알려진 모비딕의 것까지 예외 없이 끈끈한 느낌의 말을 이쪽에 걸어온다.
장미를 잘 그리는 화가로 황염수(黃廉秀)가 있다. 이 원로 화백은 아마 일생 동안 그것만 그려오지 않았나 싶을 정도인데, 그만큼 그의 장미는 간결하고 온건하고 정확하다. 세련된 데생으로 표현된 그의 장미들은 화려한 외모, 화사한 봉오리의 짜임새, 꽃에 가는 마음까지 뽐낸다. 꺾어서 병 같은 데 꽂아둔 장미를 그의 화면들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데, 환경단체의 눈치를 보아서가 결코 아니다. 이런 데서도 자연에 보내는 화가의 애틋한 마음이 읽힌다. 아무리 어둡고 습한 구석지라도 그의 장미 그림이 벽에 걸리면 갑자기 주위가 환해지리라.
이 꽃이 때로 발작적으로 내뿜는 인상이 있다. 쾌락과 격정이 거기서는 보이지 않아 속이 허전하다면 르누아르의 제자였고 일본에서 그림값이 가장 비싸다는 우메하라(梅原龍三郞)의 장미를 보라. 휘두르는 붓으로 폭발하듯이 구름을 표현하던 이 화가가 만년에 그린 장미는, 향이 너무 짙어 이 생각 저 생각을 가릴 필요가 없는 성숙한 여성의 체취 그 자체다. 거기에 비해 조금 뒷세대인 하야시(林武)의 장미는 그 향내를 몰래 맡으려 고개를 돌리고 이성으로 뻗대며 붓을 휘두른 격이랄까. 황염수도 세칭 그 ‘일본 유학파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으므로, 그의 장미 역시 그쪽 색채의 영향이 없지는 않았을 것이다.
장미는 죽어서도 그 모습이 별로 손상을 입지 않는 꽃이다. 시든 것은 때로 비루하고 처량한 느낌을 자아내기도 하지만, 말라 비틀어져서도 다시 한번 자태를 되살려내는 이런 꽃은 어딘가 불가사의할 수밖에 없다. 사흘쯤 물을 갈아주면서 보고 그 다음은 줄기들을 끈으로 묶어 거꾸로 매달아 말린다. 그러면 오므린 자태 그대로 원래의 빛깔이 서서히 돌아온다. 암자주색의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그 빛깔은, 향과 액을 다 소진하고 스산한 바람에나 바스라질 듯 휘 불리며 그제서야 정작 떠들고 싶었던 침묵의 내용을 서걱대는 늦가을의 포도덩굴과 잎새들 마냥 제풀에 또 상기시킨다. 더 갈 데가 없는 곳에 다다른 빛깔과 품위….
‘장미여, 그 순수한 모순이여’라고 노래했을 때 릴케는 인간의 어떤 남모르는 쾌락과 슬픔과 소멸의 법칙을 거기서 보았더란 말인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