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기의 여행가

중동 오지 서양에 알린 여성 탐험가 프레야 스타크

사막과 산악 헤매며 세계 지도 빈 공간을 채우다

  • 권삼윤 문명비평가 tumida@hanmail.net

중동 오지 서양에 알린 여성 탐험가 프레야 스타크

1/5
  • 153cm의 작은 체구로 홀로 중동의 오지를 누비며 새로운 세계를 서양에 알린 여성 탐험가 프레야 스타크.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전해 내려오는 알라무트 요새와 인도양 연안의 고대 항구 카나에 서양인으로는 처음으로 발을 내디딘 그는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오지 탐험을 멈추지 않은 20세기 최고의 여행자였다.
중동 오지 서양에 알린 여성 탐험가 프레야 스타크
1920년대는 중동지역에서 고고(考古) 발굴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다. 영국인 레오나드 울리가 이라크 남부 우르에서 수메르 문명(인류 최초의 문명) 유적인 지구라트(계단식 신전 축조물)와 왕묘를 찾아내 1800여 점에 이르는 황금 보물을 발굴했고, 존 마셜은 지금의 파키스탄 땅 모헨조다로에서 인더스 문명 유적을 발굴했다. 하워드 카터는 이집트의 ‘왕가의 계곡’에 묻혀 있던 투탕카멘 왕의 무덤과 진귀한 보물을 발굴해 유럽대륙에 고대 이집트 붐을 일으켰다.

이러한 시기에 여자의 몸으로 홀로 중동 오지를 누비며 서양에 새로운 세계를 알리고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조국 영국을 위해 정보 수집에 열을 올린 이가 있었으니 프레야 스타크(Freya Stark·1893∼1993)가 바로 그다.

프레야는 영국 남부 데번에서 출생한 아버지 로버트가 이탈리아 태생의 어머니 플로라의 등쌀에 못 이겨 함께 그림공부를 하려고 파리에 머물던 1893년 5월 태어났다. 프레야 가족이 파리를 떠난 것은 한 살 아래의 여동생 베라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돼서였다.

유럽 곳곳을 마실 다니듯 하던 부모를 따라 프레야 또한 어릴 때부터 영국과 이탈리아 등을 오가며 자랐다. 여행가로서의 삶은 어쩌면 그의 운명이었는지도 모른다. 아홉 살 때 ‘아라비안나이트’를 생일선물로 받고는 그때부터 이야기의 무대인 오리엔트 땅으로 가겠다는 꿈을 키웠다.

그는 어른이 되어서도 체구가 왜소해 키가 고작 153cm에 지나지 않았고, 병을 달고 산다고 할 정도로 약골이었다. 그런데도 프레야는 아버지를 닮아 운동을 좋아했다. 그가 주로 살던 곳은 베네치아의 서북쪽에 위치한 중세풍의 작은 산골마을 아솔로였다.



가정은 단란하지 못했는지 프레야가 열 살 되던 해, 극심한 성격차이를 극복하지 못한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별거를 선언했고 이혼으로 이어졌다. 그후 그가 캐나다로 이주한 아버지를 본 것은 두세 번뿐이었고 대신 편지를 주고받으며 부녀의 정을 나눴다. 그는 여행을 하면서 그때그때 자신이 보고 느낀 것, 그리고 하고 싶은 말들을 편지에 적어 아버지에게 보냈다. 이때 미리 문재(文才)를 보였으며 훗날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가정형편상 제대로 된 제도권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영어와 이탈리아어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 능숙하게 구사했고, 프랑스어는 뒤마의 소설을 통해, 독일어는 할머니에게서 배웠다. 하지만 고등교육만은 1912년 런던대학 부속 베드퍼드 여자대학에 진학해 정식으로 수학했다. 전공은 영문학. 이때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이미 60대에 접어들어 중세문학과 고전학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윌리엄 페이턴 커 교수였다. 프레야는 “내가 아는 영국 문학은 모두 교수님에게서 배운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그러나 모처럼 시작한 학업도 마침 터진 전쟁으로 끝맺지 못했다. 이탈리아로 되돌아가 간호사를 자원한 그는 막판엔 전장에도 나갔는데 그게 잘 맞았던 모양이다. 텍스트에 파묻혀 지내는 것보다는 모험을 즐기는 성격이라 현장을 좋아했다. 관심도 자연스레 문학비평에서 역사로 바뀌었다.

34세 때 중동탐험 첫발

전쟁은 끝났지만 먹고 살 길은 막막했다. 이탈리아 사람 대부분이 그러했듯이 바닥을 헤매는 생활이 계속됐다. 무엇보다 지식의 향연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참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는 자신의 오랜 꿈을 이루고자 새로운 세계로 탈출을 시도했다.

커 교수는 아이슬란드어를 배울 것을 권했으나 그는 아랍어를 배우기로 했다. 아랍어 사용인구가 많은 데다 앞으로 석유가 국제정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봤다. 베이루트에서 30년간 활동하다 귀국한, 하얀 턱수염을 기른 카푸친회 수도사를 아랍어 선생으로 모시고 본격적인 수업에 들어갔다. 아랍어를 배우면 언젠가는 자신만의 꿈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안고서.

1/5
권삼윤 문명비평가 tumida@hanmail.net
목록 닫기

중동 오지 서양에 알린 여성 탐험가 프레야 스타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