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인터뷰

‘차기’ 급부상… 오세훈 서울시장

“대권 도전? 나, 시장 한 번 더 할 겁니다!”

  • 구미화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hkoo@donga.com

‘차기’ 급부상… 오세훈 서울시장

1/6
  • 취임 직후 파악한 서울시…‘처음부터 끝까지 다 손봐야’
  • “창의시정, 공무원 퇴출제는 내 존재 이유, 단위사업으로 평가받지 않겠다”
  • “무자비한 원칙주의자? 앞뒤 안 재고 시민고객만 생각”
  •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디자인과 신설…중앙정부는 여전히 관할 다툼
  • “‘자율형 사립고 100개’ 공약은 비현실적”
  • “규제완화면 다 된다? 서울시가 안 나서면 ‘아니올시다’예요!”
‘차기’ 급부상… 오세훈  서울시장
다행히 기억하고 있었다. 2006년 4월14일 오후, 거의 녹초가 된 채 여의도 선거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난 일을. 당시 한나라당 서울시장후보 경선을 앞두고 있던 그는, 한때 등 돌리고 떠난 정치판의 냉혹함과 다시 맞닥뜨려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하루 4시간밖에 못 자며 밀어붙이는 강행군으로 눈꺼풀이 천근만근이라면서도 ‘문화도시 서울 만들기’ 계획을 조목조목 설명하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 역시 “선거 당시 유일하게 문화시정에 대해 얘기할 수 있던 인터뷰라 고마운 마음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했다. 이후 한나라당 서울시장후보로 당선되고 본선에서 승리해 벌써 시장 취임 3년차로 접어드니, 상투적이지만 세월 참 빠르다는 걸 실감할 수밖에 없다.

오세훈(吳世勳·47) 시장은 후보 시절 인터뷰에서 “서울시장에 당선되면 한 1년은 묵묵히 시정을 파악하면서 보내겠다”고 했다. 변호사에서 국회의원으로 변신했을 때도 그랬다면서.

하지만 취임한 지 얼마 안되서부터 자의반 타의반 언론의 집중조명을 받았다. 뉴타운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창의시정, 3% 공무원 퇴출제, 디자인본부 신설…. 조용할 것만 같던 그의 공격적 행보는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낳고 있다. 더욱이 전임, 그것도 직전 서울시장이 대통령으로 선출됨에 따라 그의 향후 행보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한층 노골화하고 있다.

▼ 취임 1년 반, 서울시가 좀 달라진 것 같습니까.

“저 자신은 엄청나게 바꿔놓았다고 생각하는데, 밖에서는 어떻게 평가하는지 궁금해요.”



▼ 취임 당시 파악한 서울시는 어땠습니까.

“끊임없이 혁신을 강조하는 시대적 트렌드와 유리된, 변화를 수용하는 데 인색한, 상당히 고집 센 조직이었어요. 어느 기업이나 인사, 교육훈련, 서비스-서울시로 보면 민원처리 시스템-를 계속해서 업그레이드하는데, 서울시는 인사제도도, 교육훈련제도도, 민원 시스템도 10년, 20년 전 것을 그대로 존치해온 조직이었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다 손봐야겠다고 생각했죠. 선거 준비할 땐 처음 1년은 지켜보겠다고 얘기했는데 그걸 안 지킨 셈이죠. 들어오자마자 두 팔 걷어붙이고 뜯어 고치기 시작해서 이제는 거의 기반이 잡혔어요. 일에 치여 정신없었지만, 한편으론 할 일이 많아 행복한 1년 반이었어요.”

“나는 시장 아닌 시민대표”

▼ 지난해 서울시 공무원 3% 퇴출제도와 창의시정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혁신의 대상이 된 서울시 내부 직원들로선 부당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텐데요. 서울시 직원들과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저항이 없지 않았지요. 지금도 마음 한구석에 그런 게 남아 있을 겁니다. 왜 우리가 변화의 대상이 돼야 하는가 하는 불만이 여전히 있을 거예요.

하지만 예상했던 것 이상으로 협조적이었어요. 그건 제가 제시한 비전이 결코 틀린 방향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시에 들어와서 처음 두 달간 집중적으로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서울시에 상당한 잉여 인력이 있는 걸 파악했어요. 임기 중에 꼭 손을 봐야겠다는 강한 동기유발이 그때 이미 된 겁니다.

1/6
구미화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hkoo@donga.com
목록 닫기

‘차기’ 급부상… 오세훈 서울시장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