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단독취재

노무현 정권, ‘박근혜 X-파일’ 제작 이명박 정권, 박근혜 견제 위해 X-파일 활용說

  •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노무현 정권, ‘박근혜 X-파일’ 제작 이명박 정권, 박근혜 견제 위해 X-파일 활용說

2/6
2004년 7월 ‘뒷조사’ 개시

노무현 정권, ‘박근혜 X-파일’ 제작 이명박 정권, 박근혜 견제 위해  X-파일 활용說

한나라당 경선 당시 박근혜 전 대표 관련 의혹을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구속영장이 청구된 김해호씨가 2007년 7월19일 호송차에 오르고 있다.

사정기관 관계자 A씨는 “박근혜 대표가 한나라당 대표로 재선출된 2004년 7월 무렵 노무현 정권의 국정원에서 박근혜TF 성격의 움직임이 처음으로 형성됐다. 이후 수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박 전 대표에 대한 뒷조사가 이뤄졌다. 정수장학회, 고(故) 최태민 목사, 신기수 전 경남기업 회장 관련 부분 등 다방면에 걸쳐 정보가 수집됐다”고 증언했다.

2004년 7월19일 박근혜 의원은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됐다. 원희룡, 김영선, 이강두, 이규택 의원이 뒤를 이어 최고위원이 됐다. 3개월여 전인 같은 해 4월 박근혜 대표 체제로 한나라당이 총선을 치르고 난 뒤 제2기 박근혜 체제가 출범한 것이다.

‘박근혜 조사가 왜 2004년 7월경 이뤄졌는가’에 대해 A씨는 “당시는 박 전 대표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선전(善戰)을 이끈 데 이어 한나라당 대표로 재선됨으로써 가장 강력한 야권 주자로 부상했고 박 대표의 저항에 막혀 여권은 지지율 폭락의 위기를 맞던 시점이었다. 박 대표에 대한 뒷조사의 필요성이 컸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무렵 여론조사기관 TNS의 조사에 따르면 야당 대선주자 호감도에서 박근혜 당시 대표는 52.7%를 기록,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17.0%)과 손학규 당시 경기지사(14.9%)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있었다. 전체 여야 대선 주자 선호도에선 범여권 주자인 고건 전 총리(60.0%)가 1위였고 강금실 전 장관(47.3%)과 박근혜 당시 대표(46.5%)가 근소한 격차로 2, 3위에 올라 있었다(리서치플러스 조사).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4월 총선에서 승리한 직후부터 박근혜 체제의 한나라당과 이념공방을 벌였다. 이는 이후 국가보안법, 사립학교법, 과거사진상규명법, 언론관계법의 4대 법 개정을 둘러싼 갈등으로 격화됐다.

그런데 2004년 4~7월 여론 선전전(戰)에서 열린우리당은 박근혜 대표에게 확연히 밀렸다. 4월 총선 때 정점에 도달한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7월 들어 심각한 수준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4·15 총선 당시 부동의 1위를 달리던 열린우리당 지지도가 6~7월 사이 급격히 하락, 열린우리당은 이제 한나라당과 선두 다툼을 해야 하는 상황까지 왔다.”(‘내일신문’ 2004년 7월22일자)

이처럼 7월 들어 여권의 위기감이 극대화한 가운데 박근혜 당시 대표는 7월22일 “정부가 국가정체성을 흔드는 상황이 계속되면 야당이 전면전을 선포해야 할 날이 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말 그대로 여권에 전면전을 선포한 것이다. “이 정부가 경제를 살려낼 능력이 있느냐는 생각이 든다. 간첩이 군사령관을 취조하는 나라면 볼장 다 본 것 아니냐. 서해 북방한계선(NLL) 사건도 군대는 나라를 제대로 지켰다. 나라가 너무 이상하게 가고 있다.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간첩과 빨치산을 민주화 인사로 판정했는데 대통령이 경고 한 번 하지 않고 있다.”(박근혜 당시 대표 발언)

A씨에 따르면 국정원 조사 시점과 여권이 ‘박근혜 개인’을 타깃으로 공격을 퍼붓기 시작한 시점은 바로 이 시기로 일치한다. 열린우리당은 7월28일 ‘정수장학회 진상조사단’을 구성했다. 열린우리당 측은 “박근혜 대표의 선친인 고 박정희 대통령 측이 과거 김지태씨로부터 부일장학회를 강압적으로 빼앗아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5·16장학회를 만들었으므로 박 대표는 정수장학회를 내놓으라”고 공세를 폈다. 당시 일부 언론은 “여권은 이미 정수장학회에 대한 사전조사도 상당 수준 진행시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TF는 없지만 ‘TF 기능’은 있다”

국정원의 특정 직원들이 박근혜 전 대표 주변을 내사한 것을 두고 박근혜TF 활동으로 단정하기에는 애매한 점이 있다는 견해도 있다. 사정기관 관계자 B씨는 “2004년 국정원의 몇몇 직원이 박근혜 대표 관련 의혹들을 조사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 중 일부 직원은 정치인 사찰 논란을 우려해 중도에 덮었고, 다른 일부 직원은 끝까지 갔다. 이들을 ‘박근혜TF’라고 묶는 것은 무리다. 이명박TF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지난 대선 기간 국정원 측은 “부정부패TF 실무 직원이 부정부패 방지 차원에서 이명박 전 시장 측 인사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적은 있지만 이명박TF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정황에 대해 다른 해석도 있다. 정치인 사찰은 은밀하게 진행해야 하는 측면 때문에 특정인TF를 공식적으로 두지는 않는다고 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형식적 기구의 유무가 아니라 ‘실제 동원된 인력 수, 조사의 심층성, 지휘 계통’이라는 것.

2/6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노무현 정권, ‘박근혜 X-파일’ 제작 이명박 정권, 박근혜 견제 위해 X-파일 활용說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