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탁주 양조장 앞에 선 권종옥씨와 권이준씨 부자(큰 사진). 1972년 김포탁주합동 양조장을 설립했을 때의 계약문건.
“어디 가서 막걸리 얘기를 들을 데도 없고, 함께 얘기할 데도 없어서 왔습니다.”
막걸리를 마시는 사람은 보통 막걸리를 마시며 인생사나 일 이야기를 하지 막걸리 자체에 대해서 얘기하지는 않는다. 막걸리 만드는 사람들도 막걸리 제조 비법이 흘러나갈까봐서인지 막걸리 얘기를 되도록 아낀다. 그러다보니 막걸리라는 술 자체에 대해 논하고 까부는 자리란 사실 만나기 어렵다.
이근왕씨가 궁금했던 것은 막걸리 자체이기도 했지만, 막걸리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의 면면이었을 것이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편하게 친구가 되어, 막걸리가 왜 좋은데? 뭐가 부족한데? 어떻게 하면 더 좋은 막걸리가 될까? 하고 말을 섞을 수 있는 자리로 그는 막걸리학교의 문을 두드린 것 같다.
“대를 이을 수 있다면 하십시오”
양조업자나 양조장 가족들은 이와 비슷한 이유로 막걸리학교를 꽤 찾아온다. 막걸리학교는 5기에 이르기까지 모두 200명이 수료했는데, 그중 양조장에 관련된 사람이 15명쯤 된다. 양조장 손자도 있고, 예비 며느리도 있었다.
그중 중대한 출발점에 선 인물이 있다. 김포금쌀 양조장을 운영하는 권이준씨다. 그이는 3기 수강생으로 막걸리학교를 들어오던 당시 막걸리 양조장을 짓는 중이라고 했다. 그 규모를 몰라 “양조장 짓는 데 돈이 얼마나 들어갑니까?” 물었더니 10억이 조금 넘는단다. 10억 넘는 돈을 들여 막걸리 공장을 짓고 있는 분이 수강료가 40만원이 안 되는 막걸리학교 강좌를 찾아와 뭘 들으려 할까, 좀 걸맞지 않은 것도 같았다.
처음 막걸리학교를 열던 내 마음은 좀 재미나고 흥겹게, 문화의 한 가지로서 우리의 술 이야기를 나눠보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막상 찾아오는 사람들 중에는 권이준씨처럼 인생의 중요한 출발점이나 전환점에 선 분이 많았다. 강의를 하는 내 처지에서는 조심스럽고 어깨가 무겁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다. 막걸리학교 수강생뿐 아니라 더러 양조장을 하겠다고 내게 자문하러 오는 이들이 있다. 그럴 때 내가 하는 첫 번째 말은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