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영어 강의에 대한 외국인 학생 응답자의 답변 내용.
2013년 한 언론사의 대학 평가에 따르면 전체 강의에서 영어 강의가 차지하는 비율 1위 대학이 84.8%, 10위 대학이 36.7%였다. 대학 평가는 대학에 대한 평판이나 정부로부터의 지원에 영향을 준다. 대학 평가에서 영어 강의 비율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자 대학들이 앞다퉈 영어 강의를 늘리는 추세다.
하지만 수업의 질이나 만족도와 관련해선 논란이 지속된다. 우리는 서울시내 이른바 중상위권 17개 대학에 다니는 외국인 교환학생·유학생과 한국인 재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강의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카카오톡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설문조사 링크를 배포해 답변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는데, 외국인 교환학생·유학생 31명과 재학생 117명이 답변을 해왔다. 이어 답변자들 중 일부와 대면 인터뷰를 실시했다.
“사례 설명 빠뜨려”
조사 결과, 서울 지역 대학의 재학생과 외국인 교환학생·유학생 상당수는 “영어 강의의 질이나 만족도가 충분치 않다”고 답했다. 또 “수강생의 수업에 대한 참여도와 이해도도 낮은 편”이라며 “수강생이 수업시간에 말문을 닫아버린다”고 했다.
이들의 답변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응답자의 45%는 “영어 강의에서 교수의 의사소통 능력이 유지된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31%는 “의사소통 능력이 유지되지 못한다”고 했다. 또한 응답자의 51%는 “교수가 한국어로 강의할 때 강의 내용이 훨씬 좋아진다”고 답했다.
미국에서 온 라이젤리 마디리(21) 씨는 “몇몇 교수는 매우 자신 없는 톤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영어 강의임에도 가끔 부분적으로 한국어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럴 땐 수강하는 몇몇 외국인 학생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프랑스 국적의 크리스토프 페로이드 씨도 “일부 교수는 어떤 내용을 영어로 설명할 수 없어 한국어로 설명한다. 그런데 영어로 번역을 해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출신 이멜다 찬드라 씨도 이런 지적에 동의하면서 “교수들이 훨씬 쉬운 영어 단어로 설명해 준다는 장점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모(23· S대 수학과) 씨는 “영어를 원어민처럼 구사하는 교수님은 많지 않다. 한국어를 더 잘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영어로 수업할 때 너무 버벅대면 문제가 된다. 전달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K대 재학생들은 몇몇 영어 강의에 대해 “교수가 말하는 영어를 알아듣기 힘들다”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이야기한다” “영어 강의의 질이 다소 낮다”와 같은 비판적인 글을 교내 강의 평가 사이트에 올렸다. 이 대학의 한 교수는 영어 강의를 진행하는 게 무리라고 판단해 원래 영어로 진행하던 수업을 최근 우리말 강의로 바꿨다.
응답자들은 대면 인터뷰에서도 “교수가 강의를 영어로 진행할 때와 한국어로 진행할 때 내용의 깊이가 달라진다”고 지적했다. 아래는 장모(22· K대 경제학과) 씨의 설명이다.
“2학년 때 들은 전공 수업은 각각 영어와 한국어로 개설됐다. 학기말에 두 강의를 들은 수강생들이 비교해봤는데 언어에 따라 수준 차이가 났다. 영어 강의가 같은 진도를 나갈 때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 이 때문에 내용을 얕게 훑었다. 영어강의에선 경제 개념을 찬찬히, 깊이 있게 파고들지 않았다. 한국어 강의와 달리 개념에 관한 사례를 거의 설명해주지 않았다. ‘이쯤 하면 됐다’는 식으로 넘어갔다. 영어 강의 수강생은 추상적 지식만 얻은 채 종강을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