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메모의 ‘각주’에 해당하는 그의 50분짜리 생전 육성도 세상에 나왔다. 이 인터뷰를 딴 신문사는 포커판의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 같은 특종 뉴스를 연일 보도한다. 여기에 물린 ‘선수’들은 ‘트위터 계정 삭제’(홍준표)나 ‘전화 스토킹’(이완구) 같은 ‘멘붕’ 정신상태를 드러낸다. 그 어떤 드라마 작가도 상상하지 못한 충격적이고, 기상천외하고, 블랙코미디 같은 상황이 현실에서 전개된다.
“한동안 나라 문 닫을 뻔”
한 여권 인사는 농담 같지 않은 농담을 한다. “메모지의 이병기, 이완구 뒤에도 숫자가 적혀 있었으면 한동안 나라 문 닫을 뻔했다”고. 당장 드러난 폭로만으로도 현직 대통령 측의 불법 대통령선거자금 수수가 의심되는 판이다.
검찰은 특별수사팀을 꾸려 수사에 나섰다. 그러나 고약한 것이, 검찰도 ‘하명 수사’니 ‘별건 수사’니 하는 논란으로 이 사달을 낸 ‘플레이어’ 중 하나다. 그러니 1라운드도 안 끝났는데 벌써 특별검사로 바꾸자는 말이 나온다.
야당은 연일 로비 실체를 규명하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러나 자기네 집권시절의 악취 나는 ‘성완종 사면’은 방어하기 바쁘다. 좌우, 위아래에 폭넓게 걸쳐져 향후 파장을 가늠하기 어렵고 정치권 전체의 리더십이 흔들흔들한다.
성 전 회장의 정치적 삶이 어떠했기에 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됐는지를 취재했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하나의 키워드는 ‘충청’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많은 이야기가 가지를 뻗었다. 성 전 회장 및 그의 형제들과 두루 친분이 있는 충청권 인사 A씨와 대화를 나눴다.
▼ 성 회장은 집념이 강한 분인 것 같아요.
“남이 하면 안 되는 일을 어렵게 어렵게 결국은 되게 만드는 사람? 불가능한 목표를 이루는 사람? 충청지역에선 그에 대한 평가가 엇갈려요. 좋게 보는 쪽은 ‘추진력이 대단한 사나이’로 봅니다. 자살 소식을 듣고도 ‘의지가 강한 사람이 오죽하면 그랬을까’라고 해요. 죽기 전날 기자회견도 마치 ‘태진아 기자회견’처럼 울면서 하던데 동정이 간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러나 그를 비판적으로 보는 쪽은 ‘수단방법 안 가리는 사람’으로 봐요. 충남 서산 출신인 성 전 회장은 충청도 지연(地緣)을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 즉 충청 인맥을 중시했어요. 기본적으로 이런 인맥으로, 로비의 힘으로, 어떠한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고 본 거죠. 그러나 이번에 그렇게 믿은 인맥에서 모든 게 막히니까 극단적 선택을 한 것 같아요.”
▼ 성 전 회장은 32세에 대아건설 사장이 되고 2003년 경남기업을 인수하면서 사업가로 승승장구했죠. 그러나 언제부터 정치권과 연이 닿았는지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 사정은 내가 좀 알아요. 그는 사업 초창기인 1980년대 초반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육사 11기 동기생으로 실세이던 안교덕 당시 민정당 의원을 만나면서 정치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어요. 이어 오장섭 전 의원 같은 충남 출신 청년 기업인들과 함께 민정당 재정위원 등으로 활동했죠.”
이와 관련해 다른 충청 출신 인사 B씨는 “성 전 회장은 민정당에서 활동하던 시절부터 이병기 대통령비서실장을 알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두 사람은 친한 사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1985년 2월부터 1988년 3월까지 민정당 총재 보좌역으로 활동했다. A씨는 “성 전 회장은 정권과 정권을 넘나들며 끊임없이 정치인들을 만났다”고 했다. 이어지는 A씨와의 대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