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경제로 풀어쓴 현대사

세계지도 다시 그린 육·해상 인프라 혁명

대양을 호수로, 대륙을 마을로

  • 조인직 | 대우증권 도쿄지점장

세계지도 다시 그린 육·해상 인프라 혁명

1/3
  • ● ‘정복 루트’ 수에즈 운하, 런던-봄베이 24일 단축
  • ● 1820년부터 100년간 유럽→북미 3600만 이민
  • ● 英 방사형 철도 유럽 확산…현대 국민국가 형성 기여
  • ● 시카고~샌프란시스코 美 대륙횡단열차, 태평양 시대 열어
20년 전, 인터넷 발달에 의한 ‘정보화 혁명’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았다. 세계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정보망 속에서 새로운 산업이 꽃을 피웠고 구글, 알리바바 등 초대형 정보통신(IT) 기업들이 전면에 등장했다. 덕분에 세계경제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셰일가스 혁명’이 어떻게 진행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한정된 석유 자원의 풀(Pool) 자체를 늘려주는 무진장(無盡藏) 자원 공급이 가능할지, 얼마나 싸고 효율적으로 공급될지, 가능하다면 시점은 언제부터일지 등등.

혁명이란, 기존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이다. 그 옛날 ‘산업혁명’에 비하면 사실 요즘은 혁명이란 게 좀 가볍게 느껴진다. 특히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이 중심이 되어 일궈낸 육상 및 해상 인프라 혁신은 지금 관점에서 보면 ‘혁명’을 넘어 ‘천지개벽’에 가깝다.

역마차 시대를 끝낸 ‘철도교통’을 통해 개조(改造)에 가까운 국가 및 지역개발을 일궈내기도 했고, 이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원자재(금광)가 발굴되기도 했다. 누적인원 수천만 명이 이민을 통해 혁신된 인프라의 혜택을 누렸고, 혹자는 대대적인 자본을 축적했다. 제국주의의 발현과 패권국을 향한 경쟁 구도가 교직(交織)돼 ‘많이 누린 자와 덜 누린 자’는 분명 존재하지만, 결과론적으로 인류사회의 진화를 재촉했다. 당시의 혁신 노하우가 DNA로 남아 전수를 거듭했기에 옛 유럽 및 오늘날의 미국계 주류가 아직도 ‘창의적 선도자(First Mover)’의 잠재력을 발휘하며 패권을 쥐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시아 시장 진출 교두보



망망대해 대서양이 ‘거대한 호수’처럼 변한 데는, 1840년부터 증기선이 범선(帆船·돛단배)을 대체한 영향이 컸다. 미국이 영국과 함께 ‘대유럽(Greater Europe)’의 양대 축으로 자리잡은 것도 증기선의 등장과 무관치 않다. 증기선에는 오늘날에도 쓰이는 3개의 스크루가 장착돼 배의 추진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동시에 목조 위주의 선체를 철판으로 대체하면서 항해 효율도 높여갔다. 항로상 요충지에 해당하는 항구에 석탄저장고를 만들어놓고, 항해하면서 연료를 보충하는 방식으로 물류이동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축했다.

결과적으로 제국주의의 ‘정복 루트’로 쓰였다는 게 좀 그렇지만, 1869년 개통된 수에즈 운하는 당시만 해도 미개척의 땅이던 아시아와 유럽의 거리를 대폭 줄여주는 기능을 했다. 아프리카 대륙으로 돌아갈 필요 없이 지중해에서 인도양으로 곧바로 가로지르는 지름길이 된 이 운하 덕분에 당시 런던과 인도 봄베이(현재 뭄바이)까지의 거리가 이전의 3분의 1에 불과한 약 5300km로 줄었다. 시간상으로는 24일이나 단축됐다. 한마디로 혁명적 고속 수로(水路)였던 셈이다.

수에즈 운하는 프랑스 외교관 페르디낭 레셉스(1804~1894)가, 자신이 승마를 가르치던 이집트의 태수 무함마드 사이드를 설득해 ‘만국수에즈운하회사’를 설립한 뒤 10년 동안 1억 달러의 건설비를 투입해 완공했다. 이후 보수비용으로만 건설비의 3배 이상이 들 정도로 대공사였다. 결국 1875년 재정난에 빠져 곤경을 겪던 무함마드 사이드는 운하 주식을 매각하게 되고, 당시 영국 총리 디즈레일리는 재빨리 유대계 금융자본 로스차일드의 힘을 빌려 매입을 결정한다. 이후 수에즈 운하는 영국의 ‘아시아 시장 진출’ 교두보 노릇을 했다.

1867년에는 독일 지멘스가 세계 최초로 발전기를 발명하면서 증기기관을 대체하는 새로운 동력으로서 전력(電力)이 새롭게 부상했다. 오늘날 풍력과 태양광발전의 대중화보다 더 파격적인 변화였다. 이 때문에 전력의 등장은 ‘제2차 산업혁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1882년에는 세계 최초의 발전소가 뉴욕에서 가동됐다. 송전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발전 초기에는 주로 공장의 야간 조명용으로 공급됐다.

유럽의 혁명이 지구촌 각지로 전파된 주요인의 하나는 해외 이민이었다. 1912년 청나라 멸망 이후 중국인의 해외 이민도 급증했지만, 역시 유럽인의 이민율이 가장 높았다. 1820년부터 100년 동안 3600만여 명이 유럽에서 미국과 캐나다로, 360여만 명이 아르헨티나 등 남미대륙으로, 200여만 명이 호주와 뉴질랜드로 옮겨갔다. 세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족이동이다.



1/3
조인직 | 대우증권 도쿄지점장
목록 닫기

세계지도 다시 그린 육·해상 인프라 혁명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