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이’ ‘친박’이라고 하는데, 아직도 경선 국면으로 착각하는 것 아니냐. ‘친이’라고 하기에 ‘친 이재오’인 줄 알았다. 국내에 내 경쟁 상대가 있나. 내 상대는 외국 지도자이고, 내 관심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4월11일 한나라당 총선 선대위 지도부와의 청와대 만찬)
“과거 친박이었든 친이였든 간에 한나라당은 하나가 돼 국민이 기대하는 경제 살리기를 이뤄내야 한다. 어떠한 계보도 국민이 바라는 경제 살리기 앞에선 힘을 쓸 수 없고, 국민도 바라지 않는다.”(4월13일 춘추관 기자회견)
이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을 놓고 한나라당 내에선 구구한 해석이 나왔다. 친이 진영에선 총선 과정에서 ‘해당(害黨) 행위’를 한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했다. 반면 박 전 대표 측에선 “친이 실세들이 공천 과정에서 우리를 겨냥해 숙청의 칼을 휘두른 게 대표적인 계보정치”라고 반박했다.
이명박의 ‘영남 충격’
이 대통령은 이번 총선 결과 영남권에서 68석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22석을 비(非)한나라당 후보들에게 내준 데 대해 커다란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후보들의 영남권 약진은 실망스러운 결과였다. 영남은 이 대통령의 고향이지만 대선후보 경선 때도 박 전 대표에게 패배한 곳이다.
이 대통령은 4월11일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 별도 회동을 가진 자리에서 턱걸이 과반 의석을 확보한 4·9 총선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가운데 “수도권 111석 가운데 80석 이상을 얻은 것은 수도권에서는 사실상 지역정서가 없어졌다는 얘기 아니냐”며 의미를 부여했다. 또 청와대 참모들과 사적인 대화를 나누다가 “이제 우리는 ‘영남당’이 아니라 ‘수도권당’이다”라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의 이런 언급은 영남에서의 패배를 수도권 승리로 덮으면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일으킨 ‘박풍’을 애써 외면한 것이다. 그러나 속으론 ‘영남= 박근혜’라는 인식을 지우지 못하는 듯하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4월13일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엔 친이가 없다고 본다”고 말한 뒤 “친박은 있을지 몰라도…”라고 덧붙여 묘한 여운을 남겼다.
이 대통령의 고민은 친박 세력의 존재뿐만이 아니다. 자신을 도와 정권을 창출한 친이 세력마저 새 정부 각료 인선과 총선 공천 과정에서 여러 갈래로 분화되자 현실정치의 어려움을 절감했다는 전언이다. 4·9 총선을 통해 의회권력도 자신의 핵심 측근들이 장악해야 향후 국정운영에 차질을 빚지 않을 것으로 보고 이 대통령이 총선에 ‘올인’하다시피 했다는 말도 들린다.
개국공신 3인의 몰살
특히 선거를 불과 나흘 앞두고 최측근인 이재오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 뉴타운 건설 현장을 전격 방문, 선거개입 논란을 자초한 것은 초조함의 발로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의 은평 뉴타운 방문은 실패작이었다는 시각도 있다. 이재오 의원이 초반의 열세를 딛고 역전의 발판을 만들어둔 상황에서 오히려 지역여론의 역풍을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어쨌든 총선 투표함 뚜껑을 열어본 결과, 한나라당은 전체 299석 가운데 153석을 얻어 불안정하나마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 이 대통령이 우려했던 친이 계열만 따져도 한나라당 당선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105명 정도. 여당에 ‘MB당’ 색채를 입히는 데는 성공했다. 그러나 이는 양적인 풍작에 불과하다. 질적으로는 탄식이 절로 나올 정도의 흉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