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우 기자
안 의원은 12월 13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 야당으론 정권교체의 희망을 만들 수 없다.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는 정치세력을 만들겠다”며 신당 창당을 예고했다. 2014년 3월 민주당과 합당할 때 “맨손으로 호랑이굴에 들어가는 심정”이라던 그가 1년 9개월 만에 “안에서 도저히 안 된다면 밖에서라도 강한 충격으로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제는 허허벌판에 혈혈단신 나선다”며 초연히 당을 떠났다. 정치권은 그의 탈당에 따른 총선 ‘셈법 찾기’로 긴박하게 움직였다.
안 의원의 결단을 보는 시선은 엇갈린다. “결국 내쳤다”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탓하는 쪽과 “야권 공멸의 길로 나섰다”며 안 의원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모든 언론이 그를 주목한 12월 14일, 안 의원은 지역구 경로당을 찾아 ‘어머니들’을 만났다. 향후 ‘로드맵’을 묻는 기자들에게는 “지금 어머니들의 말씀을 듣고 있으니 나중에 시간을 내겠다”며 말을 아꼈다. 노심초사하는 야당 의원들에게 ‘나는 국민 목소리를 듣는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날 저녁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결정된 건 없다”
▼ 결국 탈당 기자회견을….“뭐, ‘대형 사고’ 쳤습니다(웃음).”
▼ 오늘은 경로당에 가셨네요.
“지역구 경로행사가 있어 어른들께 인사드리고 설명을 드렸어요. 저녁에는 지역 위원회 당직자분들에게 설명드렸고요.”
▼ 뭐라고 하던가요.
“충분히 이해한다고 하시네요.”
▼ ‘대형 사고’ 수습은 어떻게 할 겁니까.
“결정된 것은 없고, 열심히 의논 중입니다. 현장 목소리를 듣는 게 가장 중요하지 않나 싶어요. 현장의 목소리는 매번 들어도 새로워요. 제가 국회 보건복지위에 오래 있다보니 장애인 정책은 꽤 많이 파악했다고 생각했는데, 청각장애를 가진 분이 ‘신용카드를 신청했는데 본인 확인을 전화로 한다’고 하시더군요. 현장 목소리를 듣지 않으면 비합리적인 부분들을 놓치는 일이 많아요.”
▼ 깃발을 들었으면 어디로 가는지를….
“어제 국회 정론관에 기자회견 하러 걸어가면서도 기대의 끈은 놓지 않았습니다. 문 대표가 ‘모든 것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발표하지 않을까 하고. 연단에 섰을 때 ‘아, 이게 내 운명이구나’ 했습니다. 그러니 뭔가 준비할 상황은 아니었어요. 어제 처음 보좌진과 의논했어요.”
“엉뚱하게 나를 비판”
▼ 기자회견 하는 날 새벽에 문 대표가 안 의원 자택을 방문했죠.“밤늦게 직접 집에 찾아오시는 것은 최선을 다해 설득하겠다는 태도 아닌가요? 저는 설득을 하기 위한 ‘진전된 제안’을 할 줄 알았는데 전혀 없었습니다. 저는 너무나 엄중한 위기상황에서 10대 혁신안을 제안하고, 이걸(혁신 전당대회) 받아달라고 두 번에 걸쳐 말했는데.”
안 의원은 지난 9월 ‘낡은 진보 청산’ ‘당 부패척결’ ‘새로운 인재 영입’이라는 혁신안 기조를 밝힌 뒤 두 차례에 걸쳐 10대 혁신안을 발표했다. 여기엔 부패혐의로 기소돼 유죄 판결을 받거나 재판에 계류 중인 당원에 대해서는 당원권을 정지하고, 공직후보자격심사 대상에서 배제하는 내용도 담겼다.
“간단하게 지난 얘기를 말씀드릴게요. 문 대표 당선 직후 국립현충원에 참배하러 갈 때도, 전직 대표는 관례상 동행하지 않는데 따라갔어요. 전직 대표를 ‘소집’해 현안에 대해 물을 때(원탁회의)에도 빠짐없이 참석했고요. 저는 원탁회의를 하면 자칫 최고위원회의를 무력화하거나, 반대로 병풍 노릇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해 반대하던 사람입니다.”
안 의원의 목소리 톤은 차츰 높아졌다.
“지난 4·29 재보선 때 ‘문재인 오른팔’이라는 사람(정태호 후보)이 서울 관악을 공천을 받았을 때에도 열심히 그를 도왔습니다. 그 선거에서 새누리당 3석, 무소속(천정배 의원) 1석을 내주고 ‘4대 0’으로 패배했을 때에도 문 대표를 찾아갔어요. 곧 있을 원내대표 선거에서는 단일 후보를 만드는 정치력을 발휘해달라고 조언했어요. 언론에도 ‘문 대표에게 조금만 시간을 주면 좋겠다’고 부탁했고요. 나는 계속 도와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