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재계 이슈

한화갤러리아·유진기업 ‘여의도 면세점’ 도전장

정치·금융 1번지에서 한류관광 허브로?

  • 최호열 기자 | honeypapa@donga.com

한화갤러리아·유진기업 ‘여의도 면세점’ 도전장

1/3
  • ● 한화(63빌딩)·유진(구 MBC 사옥), 쇼핑-문화-관광 접목 시도
  • ● 명동, 동대문 편중된 외국인 쇼핑관광 다변화 기대
  • ● 공항 접근성, 원활한 교통, 관광지 이동 편리 장점
한화갤러리아·유진기업 ‘여의도 면세점’ 도전장
서울 종로구 세종로 동화면세점 앞. 주차장에 대형 관광버스가 들어서더니 승객들이 우르르 내린다. “칭건워라이(저를 따라오세요).”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면세점으로 들어서자 실내는 이내 시끌벅적해진다. 유커(游客·중국인 관광객)들이다. 최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 때문에 숫자가 좀 줄었다지만, 명동, 동대문, 광화문 등 서울 도심에서 여전히 흔하게 보는 풍경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420만 명에 달한다. 전년보다 17% 늘어난 수치다. 이들이 국내에서 쓴 돈은 20조 원이 넘는다. 가장 적극적으로 지갑을 여는 건 아무래도 쇼핑할 때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외국인 관광객 1만20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 방문을 선택하게 된 요인으로는 ‘쇼핑’(72.3%·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꼽혔다.

쇼핑 장소로는 명동(42.4%)에 이어 시내면세점(41.4%)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매출이 1조9000억 원으로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1조8000억 원)을 넘어섰다. 면세점 시장은 2010년 이후 연평균 29.1%씩 성장했다. 올해는 1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기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성장세는 제자리걸음이지만 면세점 사업은 매년 껑충껑충 뛰고 있다. 유커가 갑자기 줄어들지 않는 이상 한동안 계속 갈 사업”이라고 내다봤다. 유통업계에서 면세점을 황금알 낳는 거위로 보는 이유다.

서울 시내에는 현재 16곳의 면세점이 있다. 이번에 15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 3곳이 추가된다. 지난 6월 1일까지 희망업체들로부터 신청을 받았는데, ‘면세점 대전(大戰)’이라 할 만큼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사활을 거는 양상이다. 면세점 허가의 정식 명칭은 ‘보세판매장 설치·운영 특허’다. ‘특허’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보세판매장(면세점) 사업에 국가 주요 수입원인 세금을 면해주는 특혜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면세점 ‘그 이상의 역할’ 해야



한화갤러리아·유진기업 ‘여의도 면세점’ 도전장

한화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지도가 높은 63빌딩에 면세점을 만들어 쇼핑과 관광의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

관세청은 대기업까지 참여할 수 있는 일반경쟁으로 2곳, 중소·중견기업만 참여할 수 있는 제한경쟁으로 1곳에 특허권을 줄 방침이다. 접수 결과 일반경쟁에 7곳, 제한경쟁에 14곳이 참가하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최종 심사 결과는 7월 중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신규 시내면세점 특허권 경쟁에서 주목되는 것은 어느 지역에 면세점이 들어서느냐다. 면세점 입점으로 지역상권이 활성화할 수도 있지만, 교통혼잡 가중 등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면세점 허가를 심사할 때 주차장 확보 등 교통난 해소 방안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서울시가 요청할 정도다.

접수 결과 가장 많은 기업이 선호한 지역은 동대문이었다. 대기업 2곳과 중소기업 6곳 등 8곳이 선택했다. 기업들은 그다음으로 명동권역(대기업 1곳, 중소기업 2곳), 인사동권역(중소기업 2곳) 등 유커들이 많이 찾는 시내 중심가를 선호했다. 면세점 매출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유커를 집중 공략하기 위해서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유커는 600만여 명. 이들이 즐겨 찾는 관광지는 명동(86.7%)-동대문(72.0%)-인사동(28.7%) 순이었다. 하지만 이 지역은 이미 인근에 면세점이 있고 교통체증이 심하다는 게 단점이다.

전문가들은 면세점이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장소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관광, 문화예술 체험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실제로 그간 면세점들은 호황을 누리면서도 외국인 관광객들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방문 비율이 매우 낮다는 게 그 반증이다. 관광가이드 김모(43) 씨는 “명동, 면세점, 남산, 동대문, 광화문 등 서울 중심 여행 코스는 여행사마다 그게 그것”이라며 다양성 부족을 지적했다.

이주형 경기대 관광학부 교수는 “시내 면세점이 외국인 관광객에게 단순한 명품 쇼핑 공간이 아니라 국내 우수 중소기업 상품도 적극 판매하고, 다양한 문화·관광·레저 상품과도 연계하는 등 지역과 국가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면세점 ‘그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1/3
최호열 기자 | honeypapa@donga.com
목록 닫기

한화갤러리아·유진기업 ‘여의도 면세점’ 도전장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