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 : 이중톈 지음, 박경숙 옮김, 은행나무, 520쪽, 1만8000원
그런데 이 서호가에 소동파보다는 조금 늦은 남송 시대 구국의 영웅이자 ‘중국의 이순신’이라 할 수 있는 악비(岳飛·1103~1142) 장군의 무덤과 사당이 있다. 악비 장군은 알다시피 희대의 간신 진회(秦檜)의 모함을 받아 마흔의 나이에 살해당한 비운의 영웅이다. 중국인들은 억울하게 죽은 악비를 추모하고 그를 모함한 간신 진회를 응징하기 위해 악비의 무덤 앞에다 간신 진회의 상을 쇠로 주조하여 무릎을 꿇려놓았다. 그러고는 지나다니면서 진회의 상에 침을 뱉고 뺨을 때리면서 분을 풀었다. 이 때문에 진회의 상은 얼룩이 지고 파손되어 지금까지 몇 차례나 다시 주조했는지 모른다.
중국 사람들은 역사적 사실마저 조형물로 형상화해 ‘의식’이 아닌 ‘몸’으로 교훈을 체득하게 한다. 이와 관련해 현재 중국에서 커다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샤먼대학 이중톈 교수는 ‘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라는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중국인의 지각, 감수, 체험, 깨달음은 모두 몸이 먼저이고 그 다음이 마음이라는 사실은 체험이나 깨달음까지 모두 몸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들은 신체 감각 기관을 통해 판단할 수 없는 것은 믿지 않고, 자신의 온몸을 통한 체험만 믿었다. 그래서 교육에서 말하는 교육보다는 몸으로 하는 교육을 중시했다. 인지적으로도 귀로 듣는 것보다는 눈으로 보는 것을 중시했다. 학습에서는 말과 머리로 아는 것보다는 노력해서 실천하는 것을 중시했다.’
이런 ‘체화(體化)’는 나름대로 상당한 교육적 효과와 선전 효과를 가져오지만, 자칫 지나칠 경우 ‘포퓰리즘’의 극대화로 치달아 사회와 대중을 발광상태로 몰고 갈 위험도 다분하다. 문화대혁명은 그 가장 가까운 사례에 지나지 않는다.
허벅지 살로 국 끓여 주군 대접
지금으로부터 2600여 년 전 춘추시대 초기 오늘날 산시성에 위치했던 진(晉)나라는 문공(文公) 때 와서 춘추시대 패자로 군림하며 한 시대를 이끌었다. 그런데 문공은 군주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파란만장한 삶을 겪은 입지전적 인물로 19년에 걸친 망명 생활은 그의 생애에서 단연 하이라이트였다. 망명 생활 중 문공은 숱한 고난을 경험하는데, 특히 여러 날 밥을 굶어 아사할 뻔한 상황에서 개자추라는 수행 신하 덕분에 간신히 살아난 고사가 지금도 전한다. 거의 아사 직전까지 몰린 문공에게 개자추는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고깃국을 끓여 주군을 살려낸다. 이것이 저 유명한 ‘할고봉군(割股奉君)’의 고사다.
망명을 끝내고 마침내 최고 권력자 자리에 오른 문공은 당시 자신을 수행하며 고생한 공신들에게 논공행상을 베풀었다. 그러나 어찌 된 일인지 개자추만 이 공신 명단에서 빠지는 의외의 상황이 벌어졌다.
그러자 백성들은 문공은 용이 되어 하늘에 올랐고 수행 신하들도 다 제집을 찾아들어갔는데 한 사람(개자추)만 여기저기를 떠돌고 있다는 내용의 풍자 노래를 만들어 유행시켰다. 이 노래는 전국적으로 퍼져나가 여론이 됐고, 조야가 이 문제로 시끄러워졌다. 문공은 노모와 함께 면산에 숨어 있는 개자추를 끌어내려고 산에다 불을 질렀고, 개자추는 자신의 지조를 지키기 위해 노모를 끌어안은 채 불에 타 죽었다. 후세 사람들은 이렇게 죽은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이날이 되면 태운 음식이나 더운 음식을 먹지 않았다. 바로 한식날의 기원이다.
개자추에게 별다른 정치적 능력은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도 백성들은 그가 부당하게 논공행상에서 배제됐다며 노래를 통해 항의했다. 개자추가 무엇보다 굶어 죽을 뻔한 문공을 자기 살을 베어 먹여 살렸기 때문이다. 중국인에게 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사례다. 그리고 먹는 것이야말로 정치 문제와 연계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먹는 것은 가장 일상적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은 가장 정상적인 것이다. 중국인을 이해하려고 할 때 유별난 코드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먹고 입고 사는 모습을 들여다봐야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요컨대 중국인을 알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다는 것이다. 다시 이중톈 교수의 말이다.
‘문화의 핵심은 가장 강령적인 것으로, 가장 보편적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일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분석하고 해부해야 하며, 근원을 탐구하거나 간파해서 암호를 풀어야만 비로소 비밀을 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