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어공주’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지닌 독특함은 엄마가 사라졌다는 사실에 있다. 엄마가 사라지고 없기 때문에 엄마라는 인물은 누군가의 기억에 의해 재생된다. 기억은 편린이다. 조각이기 때문에 완벽한 한 인간을 완성하기보다 인간의 한 측면을 재구성해 낼 수밖에 없다. 첫째딸의 시선에서, 아들의 시선에서, 엄마는 각기 다른 인물로 조형된다. 누군들 그렇지 않으랴. 세상 누구라도 보는 사람, 그리고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이게 마련이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이렇게 각기 다른 시각에서 재구성된 사람이 누구누구라는 고유명사를 지닌 한 여자가 아니라 ‘엄마’라는 보통명사의 일반형으로 다가온다는 사실이다. 여성은 개인이지만 엄마는 보통명사다. 엄마는 그렇게 보통명사로 기억되고 살아가고, 사라져간다.

‘맘마미아’
그래서인지 엄마는 욕망이나 욕심, 감정의 희로애락을 지닌 한 인간이기보다 성스러운 기능적 존재로 쉽게 합의된다. 이 합의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엄마답지 못하다’를 넘어서, ‘인간답지 못하다’는 비난까지 한다. 이를테면 엄마가 자식을 버렸다거나 엄마가 외도를 했을 때나 엄마가 자식의 미래보다 자신의 일이나 욕망에 충실했을 때 말이다. 그렇다면 과연 엄마는 어떤 존재일까? 엄마라는 보통명사를 벗겨낸 후 남아 있는 여자는 어떤 모습을 지니고 있을까?
미켈란젤로의 조각상 ‘피에타’는 십자가에서 내려진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마리아를 조형하고 있다. 무릎 위에 앙상하게 마른 아들을 걸쳐놓은 마리아의 표정에는 깊은 슬픔이 고여 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십자가에 못 박혔던 예수의 나이 서른셋, 그런데 예수를 안고 있는 마리아의 모습이 마치 동갑내기처럼 젊어 보인다는 것이다. 관객들은 미켈란젤로에게 물었다. “예수의 어머니가 너무, 지나치게 젊어 보이는 것이 아니요?” 이에 미켈란젤로는 대답했다. “정숙한 여인은 더디 늙는 법이오.”
여기서 말하는 정숙한 여인이란 곧 어머니의 다른 이름일 것이다. ‘어머니는 정숙하다’는 조건 명제가 아니라 필요충분 명제다. 정숙한 여인이 어머니고 어머니는 무릇 정숙해야 하는 셈이다. 이런 어머니 모습의 대표적인 예가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옥희 엄마’다. ‘계란 반찬’이라는 귀여운 투정으로 기억되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는 일찍이 과부가 된 한 여인과 죽은 남편의 친구였던 한 남자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지고지순’이라는 수식어다.
혹시 기억하는가? 최은희가 연기했던 옥희 어머니는 겨우 스물네 살이었다. 쪽 찐 머리에 단정한 한복차림의 옥희 엄마는 오늘날 우리 감각에 의하면 여섯 살 딸을 두었다는 점에서 삼십대 중후반을 연상케 한다. 하지만 옥희 엄마는 불과 이십대 초반의 어린 여자다. 철없는 나이에 시집와 아이를 낳고 사랑을 다 알기도 전에 남편을 잃은 여성이다. 옆방에 세 든 선생과는 계란을 매개로 감정의 교류가 있지만 사실상 연애 사건이라고 꼽을 만한 것은 없다. 옥희 엄마는 남편을 잃은 과부이기에 정절을 지켜야 하고, 더욱이 남편과 알고 지내던 남자와의 사랑은 안 될 일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옥희 엄마의 정절은 아름답기보다 미련에 가깝다. 하지만 이 작품이 소설로 쓰여지고 영화로 만들어졌을 당시, 옥희 엄마는 한국적 여성의 전형으로 받아들여졌다. 자신의 욕망을 옥희 엄마라는 이름에 가둔 여자, 그 여자가 바로 ‘엄마’이기 때문이다. 옥희 엄마의 욕망은 밤새 흐느껴 연주하는 풍금 소리에 녹아 있다. 풍금을 연주하며 우는 그 순간에만 옥희 엄마는 자신의 여성성을 허락한다. 영화에서는 옥희 엄마의 본명이 드러나지 않는다. 처음부터 끝까지 옥희 엄마는 옥희의 엄마여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