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프로레슬러 이왕표 자반고등어조림

무와 고등어의 냄비 속 한판 대결

프로레슬러 이왕표 자반고등어조림

1/2
  • 자반고등어는 늦은 저녁 달동네 좁은 골목길을 오르는 중년의 손에 들린 검은 비닐봉지를 떠올리게 한다. 그만큼 서민적인 생선이다. 영양이 풍부해 ‘바다의 보리’로 부르기도 한다. 그 자반고등어가 얼큰하고 시원한 무를 만난다? 생각만 해도 군침이 돈다.
프로레슬러 이왕표 자반고등어조림
누구나 먹을거리에 얽힌 추억을 한두 가지 갖고 있다. 국내 현역 최고의 레슬러 이왕표(李王杓·50)씨도 예외는 아니다.

1975년 김일 문화체육관 1기생으로 레슬링을 시작한 이씨가 합숙훈련을 할 때의 일이다. 지금이야 국내 레슬링계의 거목이지만 당시엔 새카만 막내였다. 음식 준비나 빨래는 당연히 이씨 동기들의 몫이었다. 이씨의 동기는 김일의 친동생인 김광식, ‘역발산’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양승희 그리고 임대수 등이었다.

눈 오는 추운 겨울 어느 날, 선배들이 정신교육을 시킨다며 이씨에게 양말은 고사하고 슬리퍼도 신지 않은 맨발로 자반고등어를 사오라고 했다. ‘하늘’같은 선배가 시키면 ‘무조건 복종’말고는 다른 길이 없었다. 그게 싫으면 레슬링을 그만둬야 했다.

이를 악물고 자반고등어를 사와서 조림을 만들었다. 옛날 어머니가 해주시던 기억도 나고, 시장 아주머니에게 배운 것도 있고 해서 한번 만들어본 것이다. 결과는 대성공. 그렇게 호랑이같이 무섭던 선배들이 자반고등어조림 앞에서 무너졌다. 힘든 훈련 속에서 그나마 먹는 게 낙이던 때의 일이다.

이씨는 꼬박 2년을 그렇게 보냈다. 그리고 1977년 장충체육관에서 일본 선수 오니다와 드디어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이씨는 손 한번 써보지 못하고 지고 말았다. 그가 짜릿한 첫 승리의 맛을 본 것은 그로부터 다시 20번을 내리 패배한 뒤였다. 그렇게 그의 레슬링 인생은 시작됐다.



당시 운동을 했다면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이씨의 집안은 그리 가난하지 않았다. 고향 충남 천안 동면에서 어머니는 농사도 짓고 시장에서 포목가게도 운영했다. 그가 다섯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지만 어머니 혼자서도 그다지 어렵지 않게 가계를 이끌었다.

이씨는 고등학교 시절 어머니를 따라 서울 이문동으로 이사한다. 그의 어머니도 여느 부모와 마찬가지로 아들이 운동보다는 공부하기를 희망했다. 하지만 이씨의 마음은 이미 오래 전부터 레슬링에 대한 꿈으로 가득 차 있었다. 초등학교 3학년 때 TV에서 본 당대 최고의 프로레슬러 김일의 포효가 어린 그의 영혼을 사로잡아버린 것이다.

그후 그는 태권도, 합기도, 유도 등 닥치는 대로 운동을 했고, 어느 날 신문에 실린 ‘김일 문화체육관 1기생 모집’ 광고는 마치 운명처럼 그를 체육관으로 이끌었다.

그로부터 꼭 30년이 지난 지금 이씨는 대한종합격투기협회 회장 겸 한국프로레슬링연맹 대표를 맡고 있다. 선문대 체육학과 겸임교수로 1주일에 한 번 강의도 나가고, 경기도 부천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이왕표 스포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스포츠센터 회원은 1000여 명. 소탈한 성격 덕분에 ‘아줌마 팬’도 적지 않다고 한다.



1/2
글·엄상현 기자 gangpen@donga.com / 사진·김용해 부국장 sun@donga.com
목록 닫기

프로레슬러 이왕표 자반고등어조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