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神 중심의 세계관 허물고 인간·과학의 세계를 열다

神 중심의 세계관 허물고 인간·과학의 세계를 열다

1/2
神 중심의 세계관 허물고 인간·과학의 세계를 열다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br>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음, 서해문집

“닉,자네 책일세! 방금 뉘른베르크에서 도착했어. 완성되었네!” 그러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아주 느리게 고개를 옆으로 돌렸다. 그의 손은 거의 느낄 수 없는 힘으로 책을 지그시 눌렀다. 그는 몹시 애쓰는 목소리로 말했다. “완성되었군!” 이루 형언할 수 없는 열락(悅樂)의 빛이 창백하고 야윈 그의 얼굴을 스치고 지나갔다. “완-성-되었어!” 그는 들릴 듯 말 듯한 소리로 다시 한 번 이렇게 말했다. 얼마 후 그의 머리가 갑자기 툭 떨어졌다. “돌아가셨습니다.” 방 안의 누군가가 조용히 말했다. “죽다니? 아니야, 코페르니쿠스 같은 사람이 죽을 수는 없어! 그는 이 책 속에서 살아 있어!” (‘코페르니쿠스의 연구실’ 데이바 소벨, 웅진지식하우스)

지동설을 처음 주장한 폴란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는 과학혁명의 서막을 연 역작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원제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가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로 막 출간되던 1543년 5월 24일 세상을 떠났다. 책의 탄생과 저자의 죽음이 공교롭게 교차한 것은 숙명인지도 모른다. 과학 암흑기인 중세에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열심히 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생각이 무엄하기 그지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성스러운’ 지구를 중심으로 우주가 회전한다는 우아하고 장엄한 성경의 세계관에 비기면 지나치게 ‘혁명적’이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책이 나오기 30여 년 전 지동설을 처음 떠올리고 20여 년 뒤 원고를 완성했으나, 종교계의 저항과 탄압이 두려워 출판을 꺼렸다. 종교개혁가인 마르틴 루터의 언급은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에 대한 개신교계의 저항 가운데 하나다. “어떤 신출내기 천문학자가 이 하늘, 해, 달이 아니라 지구가 움직인다고 주장하는 것에 사람들이 귀를 기울였다고 한다. 이 바보는 모든 천문학을 반대로 만들려고 한다. 하지만 신성한 성경에서 이르기를 여호수아는 지구가 아닌 태양에게 그대로 머물러 있으라고 말하였다.”

우주는 구형이다, 지구도 둥글다

이 책은 출간 당시 분위기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내용 자체도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론으로 가득하다. 수리천문학 전문교육을 받은 사람만 이해할 수 있는, 지독하게 난해한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우주는 구형이다’ ‘지구도 역시 구형이다’ ‘땅과 물이 어떻게 하나의 구체를 형성하는가’ ‘지구의 세 가지 운동의 증명’ 등을 통해 지구가 둥글고 움직인다는 걸 논증했다. 지구의 세 가지 운동설은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며, 태양 주위를 1년에 한 번 공전하고, 지구 축이 회전한다는 내용이다.

그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는 사실을 다른 행성과의 관계 속에서 수학적으로 증명한다. 그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했던 지구 중심 체계와 ‘지구-달-금성-수성-태양-화성-목성-토성’이라는 천체 순서를 부인했다. 태양 중심 체계에 따라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의 순서를 주장했다. 완벽한 구 모양을 띤 모든 천체가 일정한 중심을 지니고 등속 원운동을 한다는 이론도 들어 있다.

지축의 선회 운동에 의한 세차 운동을 포함한 지구의 운동, 춘분점의 이동에 대한 수학적인 설명도 담았다. 달의 운동과 행성의 경도 방향 운동, 행성의 위도 방향 운동에 대해서도 증명으로 보여준다. 이 책에는 현대에 밝혀진 오류도 있지만, 훗날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의 타원 운동을 체계화해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의 단점을 보완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더욱 정밀한 관측으로 지동설을 뒷받침했다.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 의해 마침내 지동설은 정설로 굳어지게 됐다.

그가 천동설에 의문을 갖기 시작한 것은 관측 사실과 전통적 학설의 불일치 때문이었다. 새로운 천체관을 찾던 그는 고대 문헌으로부터 지동설을 어렴풋이 짐작하게 됐다.

이 책에는 천문학적 내용 외에 교황과 교회를 자극하지 않기 위한 글이 많이 담겨 있다. 코페르니쿠스는 주위의 권유에 못 이겨 이 책을 출판하며, 교회가 곤란해 하던 역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애써 강조한다. 그뿐 아니라 교회와 논쟁거리가 될 만한 내용은 모두 뺐다. 서문과 교황에 대한 헌정사를 읽으면 이 책 곳곳에서 이단으로 몰리지 않으려는 눈물겨운 고뇌가 엿보인다. 그럼에도 이 책은 루터파 교인들로부터 엄청난 공격을 받았다. 코페르니쿠스가 가톨릭 사제였기 때문이다.

저명한 언론인이자 소설가인 아서 케스틀러는 ‘몽유병자들’에서 이 책을 ‘역사상 가장 판매가 신통치 않은 책’이라고 낙인찍는 것으로 부족해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라고 별명을 지었다. 지나치게 어려웠던 탓이다. 사실 코페르니쿠스 스스로도 책에 모순되는 부분이 많고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적지 않아 자신의 대작이 비웃음의 대상이 되거나 아무에게도 읽히지 않는 책이 되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한다.

그의 유일한 제자 레티쿠스는 스승에게 책의 출판을 설득하기 위해 3년 앞서 코페르니쿠스의 천문학을 소개하는 소책자를 펴낸다. 이 소책자는 은밀하면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누려 이듬해 재판이 발행된다. 레티쿠스는 출판을 망설이는 스승을 아랑곳하지 않고 당대 최고의 인쇄업자인 뉘른베르크의 페트레이우스에게 최종 원고를 가지고 간다. 세상을 바꾼 이 책은 이런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세상으로 나온다.

1/2
김학순 | 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북칼럼니스트 soon3417@naver.com
목록 닫기

神 중심의 세계관 허물고 인간·과학의 세계를 열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