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래 ‘물레방아 도는데’의 기념비다. 경남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 마을 초입에 있다.
1972년 정두수의 노랫말에 박춘석이 곡을 붙인 이 노래는 이농(離農) 현상으로 도시로 몰려든 어린 노동자들의 돌아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절절한 슬픔을 형상화했다. 도시로 몰려든 그 시절 가난한 한국인에게 전대미문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사람들은 ‘물레방아 도는데’를 통해 두고 온 고향에 대한 쓰라린 슬픔을 노래했다. ‘천리타향 멀리 가더니/ 가을 다 가도록 소식조차 없는’ 떠난 이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은 지금 들어도 가슴이 먹먹해온다. 너무 가난해서 떠나왔지만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노래 밑바닥에 녹아 있는 것이다.
‘물레방아 도는데’는 남진의 ‘님과 함께’와는 여러 가지로 대조적이다.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한백년 살고 싶다’는 ‘님과 함께’는 고향을 떠나온 어린 노동자들이 도저히 이룰 수 없는 자신들의 꿈과 이상향을 노래했다. 산업화 시대에 불가능한 꿈을 노래로나마 불렀던 것이다. 힘든 야간작업을 마친 지친 노동자들은 ‘물레방아 도는데’로 노동 현장에서 겪는 고통과 향수를 노래하고 ‘님과 함께’를 통해 불가능할지 모르는, 아마 불가능할 것이 틀림없는 미래를 상상하며 스스로를 위무했던 것이다.
두고 온 고향에 대한 그리움
평론가들은 ‘물레방아 도는데’를 두고 한국 트로트 역사에서 혁명적인 노래쯤으로 평가한다. 일본 엔카가 가진 섬세하고 유약한 여성적인 발성의 틀에서 벗어나 다이내믹한 ‘뒤집기와 꺾음’을 통해 강인한 남성상을 극적으로 구현하는, 이른바 대륙적인 울림을 창조했다는 것이다. 기실 ‘물레방아 도는데’와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나 ‘기러기아빠’ ‘섬마을 선생님’을 번갈아 들어보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그러나 창법도 창법이지만 노래는 슬프고도 짠한, 그래서 종국에는 가슴 쓰리게 하는 노랫말로 개발시대 한국인들로부터 상상을 뛰어넘은 사랑을 받게 된다. ‘돌담길 돌아서며 또 한번 보고/ 징검다리 건너갈 때 뒤돌아보고’로 시작하는 가사는 ‘공순이’나 ‘식모’로 불렸던 이 땅의 수많은 어린 소녀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았다.
‘공순이’는 서러웠다. 가난하니 못 배웠고, 못 배웠으니 무식했다. 어린 여성 노동자 대부분은 가부장적이고도 ‘남존여비’의 유산 속에 남동생이나 오빠의 학비를 벌기 위해 자신의 진학을 포기하고 서울로 떠난다. 속옷에다 작은 돈주머니를 달아주던 어머니를 눈물 속에 뒤로하고 서울로 온 그들이다. 이런 까닭에 1970년대의 여공들 중에는 한글을 모르는 사람도 상당히 많았다. 지금은 화려한 구로디지털단지로 탈바꿈한 그 시절 구로공단에서 일하던 여공은 국졸 혹은 국교 중퇴가 대부분. 영어로 된 라벨을 다는 것은 한글도 모르는 소녀들에게는 고역이었고 M과 W를 혼동해 작업반장에게 따귀를 맞는 일도 허다했다고 한다.
이 같은 이촌향도(離村向都) 정서를 담은 노래는 역시 나훈아가 부른 ‘고향역’으로 정점을 찍게 된다. ‘물레방아 도는데’가 떠난 이의 노스탤지어라면 ‘코스모스 피어 있고 이쁜이 꽃분이 모두 나와 반겨주는 고향역’은 명절을 맞아 찾은 고향에 대한 짧은 순간의 환희를 노래한 것쯤으로 이해된다. ‘흰머리 휘날리면서 달려온 어머님을/ 얼싸안고 바라보았네, 멀어진 나의 고향역’이란 노랫말은 곧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숙명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물레방아 도는데’는 슬프고 비장감이 살아 숨 쉬는 노래다. 그 시절의 분노와 슬픔이 구석구석에 꾹꾹 숨어 있다. 이 노래에 3년 앞서 1969년 패티 김이 발표한 ‘서울의 찬가’와는 완전히 궤를 달리한다. “종이 울리고 꽃이 피고 새들의 노래가 즐거운 아름다운 서울에서, 서울에서 살~렵니다”는 노래는 그 시절의 정서로 봐서는 가식적인 노래일 뿐이다.
명절날 서울에서 한아름 선물을 안고 고향에 내려온 이 땅의 공순이들의 얼굴은 하얘져 있다. 아름다운 서울에서 살았기 때문이 아니다. 졸음을 바늘로 찔러가며 참아내고 공장의 창백한 형광등 불빛 아래 시달린 전쟁과 같은 밤샘근무 때문에 몰라보게 하얘졌던 것이다. 이는 곧 ‘따스한 봄바람이 불고 또 불어도, 낙엽은 떨어지고 쌓이고 또 쌓여도, 흰 눈이 온 세상에 소복소복 쌓여도, 우리네 청춘이 저물고 저물어도, 하얀 불빛 아래에서 새하얀 얼굴이 되더라도 미싱을 돌려야 한다’는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사계’ 풍경 그대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