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벌교 가면 ‘부용산’ 빼곤 노래 얘기는 꺼내지도 마라

안성현 ‘부용산’

벌교 가면 ‘부용산’ 빼곤 노래 얘기는 꺼내지도 마라

1/3
  • 1947년 목포 항도여중 교사 박기동이 24세에 요절한 누이를 추모해 시를 지었다. 여기에 같은 학교 음악교사 안성현이 열여섯 살 여제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선율을 붙였다. 달 밝은 밤, 빨치산들이 부르던 노래, 그래서 오랫동안 금지곡이었던 노래. 벌교 사람들은 꼬막 팔아 번 돈으로 이 노래 ‘부용산’을 살려냈다.
벌교 가면 ‘부용산’ 빼곤 노래 얘기는 꺼내지도 마라

부용산 자락에서 내려다 본 벌교읍내 전경. 한적한 포구였지만 수탈을 목적으로 일제가 개발해 오늘에 이르렀다.

역사의 시곗바늘을 몇 년 전으로 돌려보자. 부엉이바위의 비극이 발생하기 22일 전.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되고, 한나라당이 재선거에서 전패한 2009년 4월 30일 밤이다.

서울 종로구 운현궁 뒤켠 주점 ‘낭만’에 애절한 노랫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신기하게도 부르는 목소리는 각기 달랐으나 노래는 딱 한 가지, 대중에게는 낯선 단 한 곡의 노래를 번갈아 가며 정성을 다해 부르고 있었다. 모인 사람들은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만한 정·관계, 문화계를 움직이던 쟁쟁한 인사들.

이들이 이날 이 허름한 주점을 찾은 이유는 간단하다. 참석자 저마다 노래 ‘부용산’을 돌아가며 부르고 또 듣기 위한 것이었다. 딱 한 곡을 두고 40여 명이 젖 먹던 내공까지 다해 노래를 부르는 해괴한 풍경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술자리는 점차 숙연해져 비장감마저 넘쳐흘렀다. 부르는 이마다 제각기 간절함을 더해 각기 다른 가락으로 뽑아낸다. 어떤 이는 남도 민요조로, 또 어떤 이는 엄숙한 성악풍으로, 저마다 노래에 사연을 녹여내 ‘부용산’을 불렀고 한쪽 구석에서는 숨죽여 훌쩍거리는 소리가 터져 나왔다.

무슨 사연이 있고 무슨 까닭이 있기에 이다지도 많은 사람이 단 한 노래를 구슬프게 부르고 또 불렀던 것일까? 거슬러 본 사연은 노랫가락만큼이나 기구하고 애절하다. 한때 이 땅에서 ‘부용산’을 부르면 곧바로 당국에 끌려가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뒷골목 술집에서 주위를 살피며 숨죽여 노래를 불렀다. 단장이 끊어질 듯한 노래는 오랜 시절 금지곡으로 묶여 박제화되었다가 1980년대 후반 민주화와 더불어 햇빛을 보고 조금씩 일반 대중에게 다가가게 된다.

악보 없는 노래



벌교 가면 ‘부용산’ 빼곤 노래 얘기는 꺼내지도 마라

서울 종로 운현궁 뒤켠 허름한 골목길에 위치한 낭만식당. 노래 ‘부용산’ 부르기 경연대회가 열린 바로 그 공간이다.

그러던 어느 날 언론인이었던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과 서상섭 전 국회의원, 김도현 전 문화부 차관 등이 ‘부용산’을 흥얼거리다 ‘(악보가 없어) 사람마다 곡조가 다르니 누구 노래가 더 나은지 한번 겨뤄보자’고 의기투합했다. 이를 들은 이두엽 교수(군산대)가 이날 행사를 기획, 진행하게 된다. 악보마저 금지되어 오랫동안 구전으로 전해온 연유로 음정도 박자도 제멋대로인 노래이지만, 이참에 마음 터놓고 한번 불러보자며 ‘작당’한 것이 바로 이날 노래 한마당이었다. 이날 노래자랑은 한겨레신문에 이같이 소개되면서 알려진다.



이날 노래자랑에는 김도현씨가 심사위원장, 소리꾼 임진택씨는 사회를 맡았다. 더벅머리의 송상욱 시인. 기타의 트로트풍 선율에 맞춰 나긋한 음색으로 ‘부용산’ 가사를 곱씹었고 지역 대표라는 벌교의 쪽물 염색 장인 한광석씨는 시원시원하면서도 구슬픈 여음 남는 목소리로 박수를 받았다. 감옥에서 노래를 익혔다는 운동권 출신의 서상섭 전 의원은 낭랑한 저음을 깔았다.“…피어나지 못한 채 병든/붉은 장미는 시들어지고/부용산 봉우리에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한국전쟁 때 낙오한 인민군 장교에게 가락을 처음 들었다는 이계익 전 교통부 장관은 아코디언으로 애달픈 선율의 ‘부용산’을 들려주었고, 연주는 곧 합창으로 바뀌었다.



누가 누가 잘하나. 인사동 주점 ‘소설’의 주인인 ‘재야가수’ 염기정 씨의 차례에서 노래 마당의 흥은 절정에 올랐다. 문인들이 읊조린 노래를 어깨너머로 들으며 외웠다는 그는 매혹적인 탁성으로 고즈넉하게 ‘부용산’을 불러 열광적인 앙코르 요청을 받았다. 분위기가 이슥해지자 김도현 씨가 불콰한 얼굴로 일어났다.

“오늘은 진보, 보수 모두 실패한 날, 누구도 이기지 못한 날입니다. 노래를 들으며 좌절과 절망을 추억하고, 희망과 낙관을 떠올려봅시다.”

이날 심사 결과는 끝내 나오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밤늦도록 술잔 기울이며 ‘부용산’과 자기네 삶에 얽힌 이야기꽃을 피웠다. ‘부용산’이 엮어낸 애잔한 풍류의 밤이었다는 게 한겨레신문이 전한 내용이다.

‘부용산’은 슬픈 노래다. 누구나 한번 들으면 그 비장미에 온몸을 부르르 떨게 된다. 당초 출발은 한 요절한 누이를 추모하는 현대판 ‘제망매가’쯤 되는 노래였지만 세월을 잘못 만나 1960~80년대에는 저항가요로 한 시대를 장식한다. ‘부용산 산허리에 잔디만 푸르러 푸르러/ 솔밭 사이 사이로 회오리바람 타고/ 간다는 말 한마디 없이 너만 가고 말았구나….’ 60년 묵은 구전가요 ‘부용산’은 이렇게 시작된다.

1/3
글·김동률|서강대 MOT대학원 교수 yule@empas.com 사진·권태균|사진작가·신구대 교수 photocivic@naver.com
목록 닫기

벌교 가면 ‘부용산’ 빼곤 노래 얘기는 꺼내지도 마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