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유재 회장은 오늘의 에넥스가 있기까지 니시다 야스마루 회장(오른쪽 사진)의 도움이 컸다고 말한다.
주방가구 전문기업 에넥스(ENEX)의 박유재(朴有載·72) 회장은 우리나라 부엌을 현대적으로 바꾼 일등 공신이다. 1971년 ‘오리표싱크’를 설립해 입식부엌 도입에 앞장선 그는 1992년 회사명을 에넥스로 바꾸고 신세대 주부의 감각에 맞는 주방가구를 속속 내놓고 있다. 박유재 회장은 국경을 초월해 자신에게 큰 도움을 베푼 소중한 인연을 간직하고 있다.
박 회장의 꿈은 과학자였다고 한다. 세월 따라 꿈도 변하게 마련이지만 박 회장은 꿈을 바꾸기 전에 이미 사업가가 되어 있었다.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그렇게 됐다. 대학시절 가정형편이 어려운 그는 삼중물산 박진권 사장이 주는 장학금을 받아 학업을 이어갔다. 당시 무역회사이던 삼중물산의 박 사장은 동향(同鄕)의 고학생들에게 월 5000원씩을 지원했다. 고향이 같다지만 일면식도 없는 풋내기에게 흔쾌히 장학금을 지원해준 게 고마워 박 회장은 일주일에 한 번씩 삼중물산에 나가 일을 도왔다. 무역은 박 회장에게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었다. 매주 한 번 경험하는 무역 업무에 흠뻑 빠져든 박 회장을 눈여겨본 삼중물산 박 사장은 그에게 졸업 후에도 계속 회사에 나오라고 권했다. 정식 입사를 제안받은 것이다.
그렇게 삼중물산에서 사회생활의 첫발을 내디딘 박 회장은 1963년에 회사를 나와 독립했다. 그때 나이 겨우 스물아홉. 제일도기라는 상호를 내걸고 외국에서 도기를 수입해 국내 도기상에 파는 일을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외국의 선진 부엌가구를 접하고 본격적으로 사업가의 길로 들어선다.
선사하고픈 부엌
“외국인 친구의 집에 초대받아 가보면, 부엌이 정말 환상적이었어요. 어머니는 물론 모든 한국 여성에게 외국의 부엌을 통째로 들고 가 선사하고 싶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죠.”
196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재래식 부엌을 개량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늘었다. 1962년 6월6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누구나 꾸며놓고 싶은 합리적인 시범부엌’ 기사에는 당시 연세대 건축사무소장 유관우씨가 설계한 2평 크기의 ‘시범 부엌’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화덕 2개에, 연탄가스와 음식냄새를 빼내는 환기 장치, 그리고 싱크를 설치했다. 싱크 아래에 만든 수납장은 바닥을 시멘트로 해서 김치항아리를 넣게 하고, 싱크 위 왼쪽엔 주걱걸이용 못을 댓 개, 그 아래엔 행주걸이 막대기를 서너 개, 오른쪽엔 긴 나무에 길쭉한 구멍을 뚫어 칼꽂이를 만들었다. 옆으로 꺾여선 꽤 큼직한 ‘카운터(조리대)’를 꾸미고 그 아래에 쌀뒤주를 장모양 함께 붙여서 짰는데, 속엔 함석을 사용하여 습기를 방지하게 되었다. 천장은 ‘텍스’, 부엌바닥은 ‘타일’을 깔았다.”
행운의 여신이 함께하다
박 회장은 이런 시류를 읽고서 직접 부엌가구를 생산하기로 마음먹는다. 일단 일본행 비행기에 올랐다. 당시 우리나라보다 10년은 앞서 있던 일본의 부엌가구 시장을 둘러보기 위해서였다. 일본에서 3개월을 머물다 돌아와 공장설계 및 기계발주를 거쳐 1971년, 서울 신정동에 오리표싱크의 전신인 서일공업사를 열었다.
그런데 당시만 해도 부엌가구 생산 공정이 영세해 표면이 매우 거친 제품이 만들어졌다. 표면을 사포로 갈았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거금 5000만엔을 들여 일본 와코사(和光製作所)의 연마기를 수입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 연마기 생산업체 1위인 와코사의 니시다 야스마루(西田泰丸·81) 회장을 처음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