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고 테마파크·컨벤션센터 건설’ 허가 조건으로 내걸라

카지노 빗장 연 싱가포르에서 배울 것

‘최고 테마파크·컨벤션센터 건설’ 허가 조건으로 내걸라

1/3
  • ● 투자액보다 ‘Non-Gaming’ 늘리는 게 중요
  • ● 한국 관광산업에 수익 재투자하게 해야
  • ● ‘매우 까다롭게’ ‘아주 엄격하게’
  • ● 수요예측 실패하면 '대박' 아닌 '쪽박'
‘최고 테마파크·컨벤션센터 건설’ 허가 조건으로 내걸라

싱가포르 복합리조트 MBS.

돌을 던지면 쨍하고 깨질 것처럼 하늘이 청명하다. 2월 26일 오전 11시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Marina Bay Sands·이하 MBS) 호텔. 엘리베이터를 타고 57층에서 내리면 수영장이다. 높이 250m. 러시아 여인이 야외 풀에서 햇볕에 몸을 맡긴 채 비키니 입은 몸매를 뽐낸다.

2010년 4월 개장한 MBS는 1인당 국민소득 5만6113달러(2014년)를 자랑하는 이 도시국가의 랜드마크. 트럼프 카드 두 장이 기대어 선 듯한 모양의 마천루 기둥 셋이 배 모양의 하늘공원(Sky Park)을 떠받친다. 한국의 쌍용건설이 시공했다. 하늘공원에 수영장이 있다. 3개의 마천루 아래 지하 공간은 카지노다.

57층 수영장에서 내려다본 싱가포르 금융가의 풍경은 어린이용 블록으로 지은 장난감을 떠올리게 한다. 하늘공원의 길이는 343m. 뱃머리, 배꼬리에 돌출해 서 있는 전망대 앞으로 펼쳐지는 장관이 눈이 어릿어릿할 만큼 찬란하다.

80조 시장을 잡아라

MBS는 카지노, 호텔, 컨벤션센터, 쇼핑몰, 테마파크, 공연장 등으로 이뤄졌다. 글자 그대로 복합리조트(Integrated Resort)다. 건축주는 라스베이거스 샌즈 코퍼레이션(이하 샌즈) 회장 셸던 애덜슨(82). 샌즈는 한국 카지노 시장 진출도 희망한다.



싱가포르는 1965년 말레이시아에서 독립했다. 국부(國父)로 추앙받는 리콴유(李光耀·1923~2015)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부국으로 우뚝 섰다. 도덕국가, 윤리국가, 금욕국가로도 불린다. 그런 싱가포르가 카지노를 허용한 까닭은 뭘까.

2021년 음력 1월 1일, 중국인 사업가 린사오량(林紹良) 씨가 춘제(春節)를 맞아 여동생 가족과 함께 인천 영종도 복합리조트 P호텔을 찾는다. 동생 가족이 테마파크에서 즐길 때 린씨는 카지노에서 바카라를 한다. 아내는 면세점에서 ‘설화수’ 화장품을 고르느라 여념이 없다. 딸은 송도의 한 병원에서 쌍꺼풀 수술을 받는다.

한국 정부가 1월 18일 내놓은 ‘제7차 투자활성화대책’에 담긴 복합리조트 구상을 바탕 삼아 구성한 가상의 스토리다. 한국은 수출 제조업을 중심으로 세계 8위 무역대국으로 성장했으나 대기업 집단이 만들어내는 취업유발효과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카지노는 ‘죄악(sin)산업’이다. 복합리조트라는 도덕의 옷을 입혔으나 외국인을 유치해 내수를 살리겠다는 한국 정부 구상의 핵심은 카지노다. 복합리조트는 컨벤션센터, 테마파크 등으로 방문객의 접근을 용의케 해 카지노로 돈 버는 곳이다.

싱가포르 정부 역시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해 돈을 쓰게 하면서 내수시장을 키우겠다는 의도로 카지노를 허용했다. 1985년부터 경제 침체기마다 복합리조트를 세우자는 주장이 나왔으나 사회 기강 해이, 가계경제 파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리센룽 총리가 직접 나서 시민을 설득했다. 제조업 관광산업 침체를 극복해야 한다면서 카지노 허용을 밀어붙였다.

외국인 관광객 59.8% 급증

전 세계 카지노 산업의 규모는 1500억 달러에 달한다. 그중 절반이 아시아 시장에서 창출된다. 80조 원 시장을 두고 아시아 각국, 카지노 자본이 뒤섞여 경쟁하는 것이다.

한국은 싱가포르를 벤치마크로 삼았다. 복합리조트 사업자 3곳이 결정됐으며, 올해 중 2곳을 더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수요 산정을 올바르게 하지 않고 카지노에 다 걸기 한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파라다이스그룹은 지난해 11월 2일 영종도에서 첫 삽을 떴다. 리포·시저스 컨소시엄(LOCZ코리아), 람정제주개발이 각각 영종도와 제주도에서 올해 중 복합리조트를 착공한다. 한국 정부는 3곳 외에 추가로 허용하는 복합리조트 한 곳당 1조 원의 투자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1/3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관련기사

목록 닫기

‘최고 테마파크·컨벤션센터 건설’ 허가 조건으로 내걸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