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육학교 시절. 체육학교 축구부는 정규 학과수업을 다 받으며 운동을 병행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고교축구 전국대회 3관왕에 오르는 금자탑을 쌓았다. 앞줄 왼쪽 세 번째가 신문선, 뒷줄 왼쪽 여섯 번째가 이계근 선생.
살벌하다는 표현을 쓴 이유는 간단하다. 체육학교는 특수목적을 위해 만들어졌기에 일반 학교와는 달리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며 군대처럼 기상점호와 취침점호를 하는 등 엄격한 생활을 했다. 이뿐 아니다. 일반 학교와 똑같은 학과 수업을 받았고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에서 낙제할 경우 아무리 운동을 잘해도 퇴교 조치를 당했다. 또한 아무리 공부를 잘해도 운동을 못하면 역시 퇴교 조치됐다.
이런 분위기는 나를 강하게 만들었다. 새벽 6시에 일어나 오후 3시까지 학과 수업을 받은 뒤, 쉴 틈도 없이 운동장으로 달려가 축구공과 뒹굴었다. 또한 저녁식사 후에는 지친 몸을 추슬러 다시 책과 씨름했다.
1970년대 초반은 어려운 시절이었기에 나랏돈으로 먹여주고 재워주며 공부까지 시켜주는 것은 큰 혜택이었다. 이 혜택에서 낙오자가 되지 않기 위해 남들과는 물론, 나 자신과도 피 말리는 경쟁을 해야 했다.
혹독한 단련
시험이 끝나면 시험 성적과 석차를 전교생이 다 볼 수 있도록 대자보로 붙였던 게 지금도 기억에 생생하다. 대자보가 붙기 전까지 가슴을 졸이던 긴장감은 말로 다 표현 못할 정도였다. 대자보가 붙는 날이면 성적이 부진한 학생은 이불 보따리와 개인물품을 챙겨 학교를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시험기간에는 며칠 밤을 새우며 공부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학생들의 치열한 노력과 더불어 선생님들의 열성적이고 헌신적인 가르침도 잊지 못할 추억이다.
담임선생님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을 열심히 가르치는 것은 물론, 방과 후에도 퇴근을 미루고 밤 늦게까지 남아 있었다. 취침점호가 끝나면 자신의 반 학생들 기숙사를 찾아가 소등된 침상 머리맡에서 30cm 대자를 들고 영어 책을 외우라며 다그치곤 했다. 우리는 1과부터 36과까지 있는 영어 교과서 중에서 선생님이 지정해준 부분을 달달 외워야 잠을 잘 수 있었다. 외우지 못하면 어김없이 대자의 날선 면이 까까머리에 불똥을 튀게 했다.
체육학교 1기생으로 모두 210명이 입학했다. 하지만 중·고등학교 과정을 끝내고 무사히(?) 졸업한 학생은 121명뿐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체육 엘리트를 육성하기 위해 세운 이 학교가 엄격한 학칙을 바탕으로 일반 학교와 다름없이 학과 공부를 강하게 시킨 배경은 간단했다. ‘운동선수는 깡패’ ‘운동선수는 깡통’이라는 당시 사회적 편견을 타파하라는 최고통치권자의 지시로 학교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교장선생님을 비롯해 일반 과목 선생님, 체육선생님, 각 종목 감독선생님들은 한국 체육의 체질과 풍토를 바꿀 엘리트를 육성한다는 사명감에 혼신을 다해 제자들을 강하게 단련했다.
축구계와 체육계, 언론계에서는 나를 보고 ‘축구계의 야당’ 혹은 ‘축구계의 쓴 소리꾼’이라고 부른다. 축구협회 회장과 집행부를 향해 끊임없이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왔기 때문일 것이다. 들어서 기분 좋은 덕담과 공치사는 제쳐두고 듣는 사람이 불편해할 쓴소리를 하고 아픈 곳을 찔러대는 칼날 같은 글을 쓴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