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8월 처음으로 복수 후보가 출마해 김명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회장(14대)에 당선됐다. 하지만 김 회장은 재임 1년 만에 인사청탁, 금품비리 의혹에 휩싸여 지난해 9월 사퇴했다. 이후 회장대행 체제로 운영되다 올 2월 25일 보궐선거를 치렀다.
4명이 출마한 이 선거는 청와대 낙점설, ‘박심(朴心)’ 논란으로 시끄러웠다. 결국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사장을 지낸 허준영(63) 전 경찰청장이 당선됐다. 당선 직후 그는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대의원들 도움으로 선출됐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취임식 다음 날인 3월 25일 자총 회장 집무실에서 진행됐다.
트레이드마크인 ‘올백’ 스타일 머리와 여유로운 표정, 느릿느릿한 말투는 여전했다. 주황색 넥타이가 눈길을 끌었다. 주황색은 의욕 넘치고 사교성 강한 사람이 좋아한다고 했던가.
“나는 ‘알부남’인데…”
▼ 어제 취임식을 치렀다. 소감이 어떤가.
“(당선 이후) 한 달 일하고 보니 새로운 기분이 든다. 앞으로 보람 있게 잘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들었다. 취임식장에 사람이 차고 넘쳤다.”
그가 사진기자에게 “웃는 모습만 찍어달라”고 농담을 건넸다. “내가 ‘알부남(알고 보면 부드러운 남자)’인데 강성 이미지만 부각돼서….”
선거 과정이 워낙 치열했던 탓인지 후유증이 심하다. 32표 차이(181표 대 149표)로 2위를 한 이동복 전 의원이 법원에 회장직무정지 가처분신청을 했기 때문이다. 사유는 선거법 위반.
“억지라고 본다. 선거 과정에서도 그쪽에서 고발을 많이 했다. 우리도 고발할 거리가 많았지만 연맹의 명예를 고려해 자제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전체적으로 문제없다고 결론 내린 사안이다.”
허 회장은 “선거를 치르면서 선거법 자체에 문제가 많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선거 날짜 지정, 선거인단 및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등에 불합리만 면이 많더라. 선거인단이 454명이었다. 2월 25일이 선거일인데 2월 14일부터 선거운동이 가능했다. 그것도 직접 만나선 안 되고 전화나 e메일로 해야 했다. 선거인단 명부를 2월 14일 공개했다. 내가 귀동냥으로 들은 인원보다 두 배가 많아 애를 먹었다.”
▼ 다른 후보들 사정도 마찬가지였을 텐데.
“다른 후보들은 알고 있더라. 나만 모르게 했다.”
▼ 청와대 뜻이 작용했나.
“선거 과정에서 이동복 씨가 지방 대의원들한테 ‘내가 (청와대에서) 낙점 받았다’고 공공연히 얘기했다. 녹음해놓은 게 있다. 청와대에 정식 채널로 알아봤더니 ‘우린 일절 개입하지 않는다’고 하더라. 만약 낙점한 게 사실이라면 나한테 귀띔했겠지. 내가 평생 공직에 있던 사람인데 (청와대 뜻이 그렇다면) 출마를 강행할 리 없지 않은가. 이씨는 자민련 출신이고, 나는 이 정부 탄생에 기여한 사람이다.”
이동복 씨는 1996년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소속 전국구 의원으로 국회에 진출했다. 현재 북한민주화포럼 상임대표, 자유민주주의시민연합 공동의장이다.
이명박 정부 때 코레일 사장을 지낸 허 회장은 2012년 제19대 총선 때 새누리당 후보로 서울 노원병에 출마했다. 애초 강남을에서 출마할 생각으로 예비후보 등록까지 했으나 당의 지시에 따라 ‘불리한’ 지역구로 옮겨간 것이다. 노원병 선거에선 노회찬 통합진보당 후보에게 패했다.
허 회장은 2012년 대통령선거 때 박근혜 후보 선거대책본부 사회안전본부장을 맡았다. 이듬해 2월 노회찬 의원이 안기부 X파일 사건에 대한 대법원 유죄판결로 의원직을 잃는 바람에 노원병 보궐선거가 실시됐다(노 의원은 2005년 발생한 안기부 X파일 사건과 관련해 이른바 ‘삼성 떡값’을 받았다는 검사들의 실명을 공개했다가 명예훼손으로 기소됐다). 새누리당 후보로 재출마한 허 회장은 무소속 안철수 의원에게 석패했다.